본문 바로가기

상국20

한고조 유방과 그의 장남 글: 동리채국(東籬採菊) <사기>의 "고조본기"를 세심하게 읽은 독자라면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고조 유방이 한왕에 봉해지기 전에 부인이 있었는데 그녀는 바로 여태공의 딸인 여치(呂稚), 즉 나중의 여후(呂后)이다. 여후는 평생동안 자식을 둘 낳는데, 한 명이 효혜제(孝惠帝)이.. 2013. 8. 15.
동탁(董卓)의 실패원인 글: 진사황(秦四晃) 동한말기, 만일 황제위를 빼앗고 스스로 왕조를 세운다면, 동탁이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결국 성공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다. 주관적으로 분석하면 동탁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허작가(弄虛作假) 동탁이 하진(何進)의.. 2013. 6. 26.
이신(李信)의 경적(輕敵)이 패전의 원인인가? 작자: 미상 사서에 기록된 이신(李信)의 연나라공격과 초나라공격의 시간순서는 약간 혼란스럽다. 이신은 한나라의 비장군 이광의 조상이다. 그의 평생사적은 정사에 그다지 상세히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단지 <사기.왕전백기열전>에 몇 마디 언급되어 있을 뿐이다. 이신은 총사령관.. 2012. 10. 5.
평원군(平原君)의 일생최대의 실수는? 글: 유연빈(劉宴斌) 평원군(? - 기원전253년)의 성은 조(趙)이고 이름은 승(勝)이며, 전국시대 조나라의 종실대신이고, 조무령왕(趙武靈王)의 아들이며, 조혜문왕(趙惠文王)의 동생이다. 동무(東武, 지금의 산동성 무성)에 봉해졌고, 호는 평원군이다. 조혜문왕과 조효성왕(趙孝成王) 시기에 .. 2012. 8. 15.
일본(日本) 국호의 유래 글: 중국신문망 2004년, 중국 시안(西安)에서 일본견당사 정진성(井眞成)의 묘지가 발견되었다. 묘지명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국호는 일본(日本)이며, 재주는 하늘이 내렸다. 그래서 명을 받아 먼나라로 가서 상국(上國)을 돌아다녔다." 묘지명에는 '일본'이라는 국호가 쓰여있으므로, 최.. 2012. 6. 13.
제갈량과 장량의 성격이 성패를 결정했다 작자: 미상 장량과 제갈량은 중국역사상 걸출한 군사모략가이다. 전자는 유방을 도와서 양한 사백년의 패업을 이루어 냈고, 후자는 유비를 도와서 삼국정립의 한 다리를 형성하게 하였다. 장량, 제갈량 두 사람의 IQ는 서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소한 두 사람의 .. 2009.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