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걸11 상관황후(上官皇后): 중국역사상 유일한 동양식(童養媳, 민며느리) 황후 글: 서문(瑞文) 동양식은 대년식(待年媳)이라고도 하며, 고대 민간에는 이런 유형의 결혼이 많이 있었다. 그녀들은 대체로 빈곤한 가정의 어린 딸을 역시 한미한 시집으로 보내고, 성년이 되어 비로소 남편과 정식으로 결혼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하면 여자의 집에서는 인구부담을 .. 2015. 1. 14. 곽씨일족(霍氏一族)은 왜 한선제에게 멸족당하는가? 글: 왕전휘(王田暉) 서한의 곽씨일족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라 할 수 있다. 이 방대한 가족은 한무제, 한소제, 한선제의 3황제시기에 권력이 조야를 뒤흔들었고, 온갖 영광을 누리다가, 최종적으로 멸족당했다. 곽씨일족의 성공은 한무제시기부터 시작한다. 한선제때 곽광(霍光)이 보.. 2013. 5. 19. 한소제(漢昭帝) 죽음의 수수께끼 글: 유병광(劉秉光) 유불릉(劉弗陵)은 한무제(漢武帝)의 어린 아들이고, 8살에 등극하여, 21세때 붕어했다. 13년간 재위했으며, 역사상 한소제로 불린다. 한소제의 죽음에 관하여, <한서.소제기>와 <자치통감>은 모두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원평원년(기원전74년), .....여름사월 계미.. 2013. 4. 13. 균형의 타파와 재건 글: 왕립군(王立群) 세력간의 균형은 제국정권을 안정시키는 중요한 방식의 하나이다. 다만, 이런 균형은 가장 취약한 형태이기도 하며, 아주 쉽게 타파되기도 한다. 일단 균형이 타파되면, 제국정권의 안정성은 심각한 도전을 받는다. 균형이 타파되는 것은 어느 일파가 특정한 역사조건.. 2011. 4. 27. 염철회의(鹽鐵會議) 염철회의시의 조정의 권력관계 한무제가 후원2년(기원전87년)에 사망하면서 어린 아들 불릉(弗陵)을 한소제(漢昭帝)에 앉혔다. 이 때 한소제는 겨우 8살이었으므로, 한무제는 유조(遺詔)로 곽광(&#38669;光), 상홍양(桑弘羊), 김일제(金日제), 상관걸(上官桀), 전천추(田千秋)의 다섯 명을 고명대신(顧命.. 2007. 1.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