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인방31

"3중전회(三中全會)"의 특별한 의의 글: 신민주간(新民週刊) 1978년의 그해 겨울 중국공산당의 역사를 돌아보면 최소한 제11기 3중전회때부터 시작하여, 역대 당대표대회이후 3중전회는 왕왕 특수한 의의를 지녔다. 일부 중대한 전환점을 이룬 결정은 3중전회에서 이루어졌다. 모든 것은 1978년의 그해 겨울로 되돌아간다. 중앙.. 2013. 11. 13.
왕홍문(王洪文)의 최후 글: 현세보(現世報) 1977년 7월 중순, 중공10기 3중전회가 베이징에서 거행되었다. 회의에서는 <등소평동지직무회복에 관한 결의>가 통과되어, 등소평(덩샤오핑)은 다시 중공중앙 부주석, 중공중앙 군위 부주석, 국무원 부총리, 중국인민해방군 총참모장의 "삼부일장(三副一長)"의 직무.. 2013. 9. 14.
예쉔닝과 위정성: 태자당 대표인물의 관계 글: 김정(金睛)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임위원중 가장 연장자이면서 68세의 데드라인에 근접한 위정성(兪正聲)이 상임위원에 들어간 이유에 대하여는 외부에서 주목하는 부분이다. 태자당인 위정성은 외부에서 알려진 것처럼 덩(鄧)가의 가신인 것 이외에, 그들 가족은 중국공산당 정계의 .. 2012. 11. 25.
모택동의 임종유언의 역사진상 글: 학길림(郝吉林) 1976년 9월에서 10월, 중국정계는 한 마디 말을 둘러싸고 경심동백(驚心動魄)할 투쟁을 전개한다: 그것은 "기정방침에 따라 처리한다(按旣定方針辦)"는 말이다. 이 말의 영향력은 아주 크고 깊어서, 지금 생각하면 탄식이 나온다. 그리고 온갖 생각이 떠오른다. 모두 .. 2012. 4. 23.
모택동 사후의 사인방(四人幇) 글: 서염(徐焰) 1976년 9월 9일, 모택동(毛澤東)이 서거한 후 1시간여가 지난 새벽2시경 중앙정치국은 202루(樓)에서 긴급회의를 개최하여, 장례문제를 논의했다. 강청(江靑)은 회의에서 울며불며 소란을 피웠다. 그녀는 모주석이 등소평(鄧小平)때문에 화가 나서 죽은 것이라고 말하.. 2012. 1. 24.
장춘교(張春橋)의 죽음 글: 섭영렬(葉永烈) 2005년 5월 10일, 신화사는 북경발로 <<임표,강청반혁명집단사건의 주범 장춘교 병사>>라는 기사를 송고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임표, 강청 반혁명집단사건의 주범 장춘교가 암으로 2005년 4월 21일 병사하였다. 장춘교. 88세, 1981년 1월 최고인민법원 특별법정에서 사형, 2년.. 2011.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