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마의60

육항(陸抗)과 양호(羊祜): 삼국말기 적이자 친구인 두 명의 위대한 모사(謀士) 글: 정정(丁丁) 삼국시대 말기 모사라 칭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 게다가 위대한 모사라고 불릴만한 사람은 더더욱 적다. 위대한 모사라고 이름붙일만한 사람을 억지로 찾는다면 4명정도가 있을 것으로 본다: 첫째는 당연히 동오의 육항이다. 둘째는 당연히 서진의 양호(이때는 이.. 2016. 7. 17.
해혼후(海昏侯) 유하(劉賀): 권신이 괴뢰황제를 고르는 것도 기술이 필요하다. 글: 악치(岳峙) 한(漢)나라 400년 역사상, 겨우 27일간 황제를 지낸 해혼후 유하의 존재감은 아주 낮다. 그를 얘기하는 사람은 드물었다. 우연히 그의 이름을 꺼낸다고 하더라도, 그저 조롱의 대상으로 삼을 뿐이었다. 그러나, 해혼후묘가 발굴되면서, 유하는 돌연 함어변신(鹹魚變身)한다. .. 2016. 3. 8.
[황자쟁위술] 이세탈인술(以勢奪人術) 천사재화패(天賜才華牌) 사마휼편외 진무제(晋武帝) 사마염(司馬炎)은 비록 조위(曹魏)로부터 선양을 받아 황위에 올라 천하를 통일하지만, 황위의 승계에 있어서 하늘이 그에게 점지해준 적장자 즉, 나중의 진혜제(晋惠帝) 사마충(司馬衷)은 조부 사마의(司馬懿)나 부친 사마염을 닮지 않고, 일반인의 아이큐에도 못미쳤다. .. 2015. 10. 11.
제갈량의 팔진도는 얼마나 대단했을까? 글: 복녕객(福寧客) 팔진도전설은 삼국시대때 제갈량이 만들었다는 하나의 진법이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제갈량은 적을 맞이할 때 돌맹이로 석진을 쌓아서, 둥갑으로 생(生), 상(傷), 휴(休), 두(杜), 경(景), 사(死), 경(驚), 개(開)의 8개 문(門)을 만들어 변화가 많아서, 10만정병을 막아.. 2015. 6. 16.
유선(劉禪): 그는 기백이 큰 황제였다. 글: 유아독존(惟我獨尊) 성명: 유선 별명: 자 공사(公嗣), 아명 아두(阿斗), 촉후주(蜀後主) 성별: 남 연대: 삼국시대 종년: 64세 어록: 차간락(此間樂), 불사촉야(不思蜀也). 평가: 도와줘도 안되는(扶不起來) 촉의 유비가 죽기 전에 유선을 제갈공명에게 탁고(托孤)하였고, 유선은 촉후주가 .. 2015. 3. 5.
조조의 처첩과 자녀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자고이래로 영웅은 미인을 좋아한다. 조조도 자연히 예외는 아니다. 그가 일생동안 가진 여인은 무수히 많다. 그중 처첩이 된 여인으로 기록된 사람만 15명에 이른다. 각각 정부인(丁夫人), 유부인(劉夫人), 변부인(卞夫人), 환부인(環夫人), 두부인(杜夫人), 진부인(.. 2015.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