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기139

비장군 이광(李廣)이 평생 제후에 봉해지지 못한 이유는? 글: 진사황(秦四晃) 한나라장수 이광은 농서 성기(成紀), 즉 지금의 감숙성 태안 사람이다. 사마천은 그의 조적은 기실 섬서 흥평이라고 했다. 이씨가족의 조상은 전투를 잘 했고, 활쏘기는 가전의 절기였다. 진나라때 유명한명장을 배출하는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진나라가 연나라를 .. 2015. 3. 26.
무정(武丁)의 "난처(難處)" 글: 독서삼매(讀書三昧) 무정(武丁)의 지명도는 상(商)왕조의 군주들 중에서 거의 개국군주인 탕(湯)과 망국군주인 주(紂)만이 그에 비견할 수 있을 정도일 것이다. 다만, 주처럼 폭군이 되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탕처럼 명주(明主)가 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런데, 무정은 바로 그런 명주.. 2015. 2. 24.
제(齊): 춘추전국시대의 상업패주(商業覇主) 글: 양반(梁盼) 한 국가의 인민이 부유한지 아닌지를 알아보려면 경제왕래가 활발한지 여부가 하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왜냐하면 수요와 공급이 모두 만족되면, 보편적으로 백성과 상인은 모두 각자가 원하는 것을 얻고 서로 만족하기 때문이다. 경제왕래가 활발한지 여부는 주로 민.. 2015. 2. 10.
장오(張敖): 유방의 사위는 얼마나 힘들었는가? 글: 진사황(秦四晃) 장오라는 사람은 원래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방의 큰딸 노원공주(魯元公主)와 결혼하는 바람에 많은 주목을 받게 된다. 장오는 자신의 혼인이 부친들끼리 정해준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생각은 전혀 근거없는 것이 아니다. 유방, 장이(張耳)는 항상 함.. 2015. 2. 10.
하왕조(夏王朝)의 전설은 진실일까? 글: 장경위(張敬偉) 하왕조는 도대체 존재했었는가 아닌가? 이것은 사학자와 고고학자들이 지금까지도 논쟁을 계속하고 있는 문제이다. 다만 사실은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명확하고 상세하게 이렇게 적고 있다는 것이다: 기원전2070년, 선양제의 마지막 수혜자이자 치수영웅인 대우(大禹).. 2014. 10. 7.
중국고전소설에 나오는 '축구' 글: 고오광생(孤傲狂生) 축구는 고대 중국에서 "축국(蹴鞠)"이라고 불렀다. 일찌기, <전국책>과 <사기>에 모두 축국에 관한 문자가 기록되어 있다. 나중에 나온 고전소설에서의 축국에 대한 기술은 대부분 아주 간략하다. 예를 들어, <삼언이박(三言二拍)>, <홍루몽>, <아.. 2014.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