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벌11

"칠종칠금(七縱七擒)"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글: 호각조(胡覺照) 2년을 준비한 후, 원래 이엄(李嚴)이나 다른 장수가 맡으려던 남정(南征)업무를 제갈량은 "여러 장수들의 재능이 나만 못하다"는 것을 이유로, 친히 나서기로 결정한다. 이에 대하여, 심복인 왕련(王連) 마저도 상소를 올려 제지한다: "이곳은 불모의 땅이고, 전염병이 .. 2015. 2. 10.
황포신화의 파멸 작자: 미상 항전을 되돌아보면, 갈라진 후의 공산당을 이끈 무장역량을 중점적으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은 항전의 중요한 역량중 하나였다. 도한 황포신화에 열중하는 독자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팔로군"에는 얼마나 많은 황포의 혈통이 있을까? ".. 2013. 8. 17.
중국역사상 실패한 "북벌" 작자: 일명(佚名) "북벌(北伐)"은 중국역사의 긴 흐름에서 아주 유행하던 단어였다. 그것은 왕왕 역대 남방정권이 중원을 회복하기 위하여 장강, 황하의 천험을 넘어, 전국을 통일하려는 거동이었다. 그러나, 실제효과는 왕왕 사람의 뜻과는 달리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 역사상 중국의 북.. 2012. 9. 19.
최초의 홍군은 왜 홍일군(紅一軍)이 아니라 홍사군(紅四軍)일까? 글: 유계흥(劉繼興) 추수의거가 좌절된 후, 의거 참가인원들은 유양(瀏陽)의 문가(文家)시로 철수했다. 문가시에서 전선회의를 개최한다. 중공호남성위 전적위원회서기인 마오쩌둥이 제안한 장사(長沙)공격을 포기하고, 남으로 이전하여 적의 통치역량이 박약한 농촌, 산지로 가서 근거.. 2012. 8. 15.
국민당은 왜 남경을 수도로 정했는가? 작자: 미상 1840년대부터, 중국의 국가안전은 서방열강의 위협을 받아왔다. 신해혁명후, 어느 곳을 중국의 새로운 정치중심으로 할 것인가는 혁명당인들이 직면한 중대한 정치이슈였다. 각파는 우선 새로운 정치중심을 놓고 무창(武昌)과 상해(上海)를 놓고 다투게 된다. 무창은 신해혁명이 일어난 곳.. 2010.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