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17

"홍콩": 중국경제 최대의 약점이 되다. 글: 노만(老蠻) 홍콩은 현재 중국경제 최대의 약점이다. 약점중 하나가 아니라. 소위 '금융거물'들이 중국의 금융방어벽을 돌파하려면 유일한 방법은 바로 홍콩을 먼저 공격하여 무너뜨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홍콩경제 자체가 안정되어 있는지 여부, 충분한 대항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가 중국금융안전을 결정하는 핵심요소가 되었다. 먼저 인구수치부터 얘기해보기로 하자. 홍콩의 취업인구는 최고치일때 388.5만명이었는데, 2022년에는 361.1만명이다. 4년간 취업인구가 21.4만명 감소했다. 그리고 감소한 노동인구는 대부분 20세-40세의 구간내에 집중되어 있다. 총인구수치를 보면 2018년 20-40세의 총인구는 207.8만명이었다. 그런데 2022년에는 181.2만명으로 줄어들어 26.6만명이 감소했다. 감소.. 2023. 5. 16.
중국부동산시장정책의 헛점. 글: 진사민(陳思敏) 현재 중국의 부동산시장은 여전히 엄격하게 통제하는 시기이다. 6월 25일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선전의 토지부동산거래센터에서 5개의 택지를 경매했는데, 거래금액최고신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부동산의 주요 원가는 토지가격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경매에서 가.. 2019. 6. 27.
중국의 식량위기 글: 문무(文武) 중국은 지금 위기가 사방에 숨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중 식량위기가 막 다가오고 있다. 중국의 식량은 4분의 1을 수입에 의존한다. 식량수입은 외환이 필요하다.외환은 첫째가 외국인투자, 둘째가 대외수출에 의존한다. 현재 미중간에 무역전이 발발하면서, 무역전이 .. 2019. 6. 2.
중국의 외환보유고를 해부한다. 글: 금우공자(金牛公子) 2018년 4월과 5월, 외환보유고는 두 달 연속 전달보다 줄어들었다. 6월에 전달보다 15억달러가 늘어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환호했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좀 더 멀리 본다면 낙관할 수만은 없다. 국가외환국이 최근 공표한 수치를 보면 2018년 6월말, 중국의 외환보유.. 2018. 8. 9.
중국의 미친듯한 토지자금수탈모델은 언제 종결될 것인가? 글: 채신곤(蔡愼坤) 중원지산연구센터가 최근에 발표한 자료를 보면, 현재까지 전국50대도시의 토지매각수입은 이미 1.77조위안을 초과했다. 그 중 90%도시의 토지매각수입은 100억위안을 넘겼고, 쑤저우, 난징, 상하이, 항저우의 토지매각수입은 더더욱 1000억위안을 넘었다. 과열도시에서.. 2016. 10. 12.
구쥔산(谷俊山)은 왜 주택을 300여채나 구매하였는가? 글: 화옥희(花玉喜) 2014년 중국의 제1차순시에서 철도부장 류즈쥔(劉志軍), 인민해방군총후근부 부부장(중장) 구쥔산등 성장급의 고관이 적발되었는데, 걸핏하면 100채이상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 부동산부패는 확실히 중요한 이슈이다. 류즈쥔사건에서는 374채의 부동산을 보유하여 .. 2014.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