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운동9 융유(隆裕): 중국역사상 가장 공헌이 큰 황후 글: 청림지청(靑林知靑) 이전에 나는 융유황후를 좋아하지 않았다. 여러분들도 아마 나와 같은 생각이었을 것이다. 그녀는 얼굴도 못생겼고, 말랐으며 등이 굽었다. 그리고 남편 광서제보다 3살이 많았다. 황후라는 명분은 있으나, 한번도 광서제의 은총을 받은 적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 2019. 1. 23. 사업을 하려면 호설암(胡雪巖)을 배우지 말고 장필사(張弼士)를 배워라 글: 정만군(程萬軍) 근세에 살았던 고대의 거상을 얘기하게 되면 아마도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인물은 그 대명자자한 만청의 "홍정상인(紅頂商人)" 호설암일 것이다. 호설암은 확실히 전설적인 인물이다. 19세기 상반기에 청왕조 도광연간의 안휘의 가난뱅이의 아들로 태어났고, 공부를 많.. 2017. 10. 2. 장개석은 어떻게 성도(成都)에서 대만(臺灣)으로 도망갔는가? ㅠ상,글: 왕풍(王豊) 장개석이 처음 사천에 온 것은 1935년 3월 2일이다. 그가 사천에 간 목적은 첫째가 독군(督軍)이다. "공비토벌" 전선을 시찰하기 위함이다. 장개석은 이렇게 말했다. 그는 전력을 다하여 사천성정부가 사천을 건설하는 것을 돕고, 사천동포의 고통을 해소시켜 주겠다고, .. 2015. 11. 2. "보로(保路)"운동의 역사진상 글: 풍학영(馮學榮) 우리는 모두 거의 알고 있다: 1911년 여름, 사천 성도에서 '보로운동'이 발생한다. 이 역사적 사건에 관하여, 예전의 견해는 이렇다: 무능한 청왕조가 '천한철로(川漢鐵路)'를 제국주의 열강에 팔아먹었고, 용감한 사천인민들이 들고 일어나서 반항하여, 결과적으로 만악.. 2014. 11. 1. 1910년 중국: 한 미국학자의 관찰 글: 김만루(金滿樓) 1910년, E. A. Ross라는 이름을 가진 미국의 사회학자가 중국으로 왔다. 그는 화남(華南)에서 화북(華北)까지 그리고 다시 서남(西南)까지 한바퀴를 돈 후에 "China in E. A. Ross's Eyes"라는 관찰집을 펴냈다. 당시 중국의 사회에 대한 상세하고 깊이있는 기록이다. 6개월간의 여.. 2012. 9. 21. 청나라말기의 "입헌"과 "혁명" 글: 뇌이(雷頤) 청나라말기에 '입헌(立憲)'과 '혁명(革命)'의 시합에서 전자는 후자에 패배한다. 이는 아쉬운 일이다. 왜냐하면 그 후에 이어진 것이 재화가 끊이지 않는 사회의 대혼란이었기 때문이다. 소건(邵建)의 <혁명이 입헌을 억제하다>와 <입헌파의 민주노선도>는 글을 읽는 사람으로 하.. 2011. 6.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