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측천113

당중종(唐中宗) 이현(李顯) 사망의 수수께끼 글: 유계흥(劉繼興) 무측천의 철혈통치가 끝나고 당현종(唐玄宗)의 개원성세(開元盛世)가 도래하기까지의 8,9년간은 상층통치계급이 흔들리고 동요하던 시기였다. 평범한 황제인 당중종 이현은 전형적인 "현부양부(賢夫良父)"였다. 후궁에서는 위후(韋后)의 권력남용을 종용하고, 딸인 안락공주(安樂.. 2009. 10. 29.
당나라의 공주들은 왜 여도사(女道士)가 되었는가?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여도사는 당나라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황실공주인 여도사라면 더욱 그렇다. 당나라때는 공주들이 여도사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당나라때 공주가 출가하여 여도사가 된 얘기를 하자면 옥진공주(玉眞公主)를 빠트릴 수 없다. 이 옥진공주는 여황제 무측.. 2009. 10. 10.
무측천(武則天)이 무자비(無字碑)를 남긴 이유는? 글: 침묵과담(沈默寡談) 산서성 건현(乾縣)의 현성 북쪽에 있는 양산(梁山)에 위치한 건릉(乾陵)은 당고종 이치와 여황제 무측천의 합장묘이다. 중국역대제왕의 능원중 유일한 부부황제 합장묘이다. 묘앞에는 두 개의 거대한 석비(石碑)가 세워져 있는데, 서쪽에 있는 것은 "술성기비(述聖記碑)"로 무측.. 2009. 2. 12.
당중종: 세명의 여인에게 시달린 가여운 천자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천자(天子)는 하늘의 아들이다! 손에는 천지를 욺켜쥐고, 앉아서 천하를 호령한다. 생사여탈권을 쥐고 있어 하고 싶은대로 할 수 있으며, 더더구나 삼천미녀가 곁에서 시중을 든다. 고대에 황제의 보좌에 오르는 것을 꿈꾸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역대왕조에서 왕이 .. 2008. 10. 10.
신룡정변(神龍政變): 무측천의 최후의 나날 (II) 5 소위 "남총(男寵)"은 바로 면수(面首)이며, 자신의 몸을 가지고 권세를 가진 여자를 기쁘게 하는 남자를 말한다. 무측천도 정상적인 생리적 욕구가 있고, 거대한 심리적 압력을 받았다. 복잡한 정무를 처리한 후에는 그녀도 안위가 필요했다. 누군가 곁에 있어주어야 했다. 나이가 들면서, 무측천은 권.. 2008. 10. 8.
내준신(來俊臣): 당나라의 가장 지독한 관리 글: 곽찬금(郭燦金) 내준신은 하나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사양부론(正邪兩賦論)"을 가장 완벽하게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홍루몽>>을 보면 조설근은 가우촌의 입을 빌어 이런 말을 한다: "하늘과 땅이 사람을 만들 때, 대인(大仁) 대악(大惡)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큰 차이가 없.. 2008. 9. 22.
무측천이 황위에 오르기까지의 6차례 모살사건(謀殺事件) 글: 수은하(水銀河) 황위전승에 있어서, 당나라는 피비린내가 가장 짙은 왕조이다. 많은 황제들은 모살사건을 거친 후에 황위에 등극하였다. 예를 들면, 당태종은 현무문의 변으로 자신의 두 친형제를 죽였다; 당현종의 황위는 백부, 백모 및 고모를 죽이고 얻었다; 당대종도 당숙종황후를 모살한 후 .. 2008. 9. 18.
태후조희(太后趙姬)의 진실 작자: 미상 사마천의 <<사기>>에서 진시황을 깍아내리는 것으로는 2가지가 핵심이다: 하나는 "한단헌희(邯鄲獻姬)" 즉, 한단에 인질로 잡혀와 있던 진시황의 부친 이인에게 여불위가 임신한 조희를 바쳐 진시황을 낳았으므로 진시황의 생부는 여불위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태.. 2008. 6. 27.
무측천의 연호(年號) 글: 독서삼미(讀書三味) 무측천이 사용한 연호는 아주 많다. 그녀가 태후(太后)의 자격으로 임조칭제(臨朝稱制, 조회를 주재하고 초고명령을 내리는 것)할 때 쓴 것이 4개이고, 정식으로 대주(大周)의 황제가 된 이후에 쓴 것이 13개이다. 첫번째 연호: 광택(光宅) 이것은 무측천이 임조칭제한 첫해에 붙.. 2008. 2. 21.
당태종 이세민은 왜 무측천을 좋아하지 않았는가? 글: 몽만(蒙曼) 무측천은 아주 뛰어난 여영웅이었음에도, 어찌 당태종의 궁중에서의 12년간 전혀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쓸쓸하게 시간을 보냈을까? 필자의 생각으로는 무측천이 왜 당태종의 마음을 얻지 못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본다. 먼저 당태종이 어떤 여인을 좋아하였는지를 분석해 보자.. 2008.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