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몽골제국9

<두개 세계의 전쟁: 동서방 2,500년의 싸움>을 읽고.... 글: 사로(思蘆) 는 미국의 역사학자 Anthony Pagden이 2008년에 쓴 책이다. 이 책의 동서방은 유라시아대륙의 동서부분 즉 유럽과 아시아를 의미한다. 광의의 서방은 유라시아대륙을 넘어, 영미를 대표로 하는 서방문명이다. 작자는 페르시아-그리스전쟁부터 동서방간의 전쟁사를 이야기한다. 동서방간에 존재하는 영원한 적의 및 지속적인 충돌의 근원을 분석한다. 동서방의 실력이 교차하는 역사와 원인에 대하여 상세히 분석했다. 작자는 많은 서방의 문명은 동방에서 기원했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서방문명의 발원지는 아시아의 메소포타미아지역이고, 서방의 기독교도 중동의 유대교에서 기원했다고 말한다. 기독교의 기원은 중동이다. 심지어 나중에 유럽 확장주의의 핵심특징이 되는 보편주의도 페르시아의 제국확장에서 기원.. 2023. 3. 6.
당나라때 강성했던 토번(吐蕃)은 왜 신속히 쇠락했을까? 글: 남방적하(南方的河) 지도를 펼쳐보면, 아시아의 청장고원(靑藏高原)은 확실히 두드러진다. 거기에는 신성한 설산이 있고, 독특한 기후가 있고, 순박한 유목민이 있다.거기에는 일찌기 강대한 정권이 출현했었다. 그 정권은 당나라, 아랍제국과 삼국정립의 형세를 이룬다. 그것은 바로.. 2019. 5. 21.
원나라는 왜 위대한 왕조인가? 글: 탁은다(托恩多) 1206년, 몽골족의 위대한 지도자 징기스칸이 막북(漠北)을 통일하고, 몽골제국을 건립한다. 1260년에는 쿠빌라이가 칸에 오르고 연호를 '중통(中統)'이라 한다. 1271년에는 국호를 '원(元)'으로 바꾼다. 왜 원왕조는 위대한 왕조인가? 이유는 다음의 몇 가지에 있다. 첫째, .. 2017. 7. 9.
호유용은 일본과 결탁하여 모반하려 했는가? 글: 정만군(程萬軍) 대명의 개국황제 주원장에 의하여 <간신록>에 들어가게 된 호유용은 주원장이 제거한 중국의 마지막 승상이다. 호유용은 주원장이 전우를 도살하는데, '한마공로(汗馬功勞)'를 세운다. 그러나, 결국 그도 '토사구팽'의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다. 권력야수 주원장은 .. 2013. 11. 23.
몽골인의 현재 세계에서의 갈래들 글: 노군사(老軍士) 역사상 징기스칸 및 그 후손들은 유라시아대륙을 아우르는 몽골제국을 건립했다. 멀리는 원(元)나라를 제외하고도, 오고타이한국, 차카타이한국, 일한국 및 킵차크한국이 있다. 그래서 현재 세계상에는 중국(내몽고), 몽골(외몽고)에 몽골인이 있는 외에, 러시아연방, .. 2012. 9. 19.
몽골제국: 평가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글: 왕기조(王紀潮) 오스만 투르크가 동서방의 교통을 차단한 후, 컬럼버스는 스페인의 군주 페르디난드 2세(Ferninand II, 1452-1516)에게 건의한다. 그는 해로로 동방으로 가서 새로 서방과 몽골 대칸과의 연결을 새로 건립하겠다고 한다. 컬럼버스가 새로 항로를 개척하려고 한 유인중 하나는.. 2012. 6. 30.
원나라 멸망이후의 몽골역사 작자: 미상 1368년, 100년도 버티지 못한 원나라는 주원장(朱元璋)이 이끄는 군대에 멸망한다. 요(遼), 금(金), 서하(西夏)등 소수민족정권과는 달리,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원순제(元順帝) 토환테무르(妥歡帖木兒)는 전사하지도 않았고, 자살하지도 않았다. 왕족과 잔여군대를 이끌고 자신.. 2012. 3. 1.
몽골제국은 전성기에 어디서 패전했는가? 글: 노위병(路衛兵) 13세기, 몽골의 철기(鐵騎)는 유라시아대륙에서 막을 자가 없었다. 아시아의 각지역은 생령이 도탄에 빠지고, 전체 유럽도 공황에 빠졌다: 영국인들은 감히 바다로 나오지를 못했고, 독일인들도 두려움에 떨었으며, 러시아에서는 '황화(黃禍)'라는 말이 나왔다. 전쟁의 신화를 창조.. 2009. 10. 11.
몽골제국 전성기에 실패한 정벌 글: 노위병(路衛兵) 13세기, 몽골의 철기(鐵騎)는 유라시아대륙에서 그 기세를 막을 자가 없었다. 아시아의 각지는 그들의 말발굽아래 도탄에 빠졌고, 전체 유럽은 공황상태가 되었다. 영국인들은 감히 바다로 나가지 못했고, 독일인들은 놀라서 어찌할 바를 몰랐고, 러시아에서는 '황화(黃禍)'라는 말.. 2009.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