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20 모기령(毛奇齡): 학술이 단정하지 못한 대가 글: 주운(周雲) 기실 학술이 단정하지 못한 사람은 현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자고이래로 있었다. 일찌기 한나라때, 누군가 가짜경서를 만들거나, 유명학자의 제자를 사칭하며 여기저기 사기를 치고 다녔다. 그후, 이런 기풍은 계속되었다. 청나라때까지도 마찬가지이다. 청나라때의 학.. 2014. 1. 15. 춘추시대 며느리를 처로 삼은 황당한 국군들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중국고대4대미녀중 양옥환이 있다. 그녀는 당현종 이융기의 비이다. 그녀는 당시 최고미녀였고, 당현종으로부터 특별한 총애를 받아 귀비에 봉해진다. 그녀는 원래 이융기의 며느리이다. 당현종은 머리를 쓰고 수단을 써서 그녀를 차지한다. 춘추시기 이런 국군.. 2013. 11. 9. 하왕조(夏王朝)의 건국연도와 관련한 연구 글: 이백겸(李伯謙) 하왕조의 건립은 중국고대문명연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이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다만 하왕조가 건립된 연대에 대하여는 설이 분분하여 하나로 모아지지 않는다. 지금까지도 모두가 받아들일만한 통일된 견해가 없다. "하상주단대공정"에서는 하왕조의 .. 2013. 7. 12. 중국당대번역계의 황당무계한 번역오류 글: 유전(劉典) 중국의 근대이래로 '서학동점(西學東漸)'으로 서방의 서적들이 중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전해지게 되었다. 중서방의 문화차이로 인하여, 번역하는 과정에서 부적절하게 변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그중 일부는 번역에서 조심하지 못하여, '장관이대(張冠李戴)'의 번역이 이.. 2012. 6. 6. 주무왕(周武王)의 봉신방(封神榜) 글: 압사룡(押沙龍) 파스체르나크(닥터지바고의 작가)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아무도 시대가 어떻게 변천할 지는 모른다. 아무도 풀이 어떻게 조금씩 말라가는지를 모르는 것처럼. 대부분의 경우에, 역사의 변화는 확실히 느리다. 왕왕 느끼기 어려울 때가 많다. 그러나, 예외.. 2012. 1. 30. 중국황제들은 왜 살인을 좋아했는가? 글: 문재봉(文裁縫) 먼저 맹자가 양양왕(梁襄王)을 만난 이야기부터 해보자. 맹자가 양양왕을 만나러 갔다. 양양왕은 맹자에게 묻는다. 어떤 사람이 천하를 얻을 수 있습니까. 맹자는 대답한다. 살인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야말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맹.. 2011. 12. 3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