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연명11

도연명(陶淵明)이 가난하다고 불평한 진짜 원인은? 글: 하여재(夏余才) 도연명은 중국의 저명한 문학가, 전원시인, 사부가(詞賦家), 산문가이다. 인구에 회자되는 작품으로는 <<귀거래사(歸去來辭)>>, <<도화원기(桃花源記)>>, <<음주(飮酒)>>등이 있다. 그리고 그는 "다섯 말의 쌀때문에 허리를 굽히지 않겠다(不爲五斗米折腰)"라.. 2009. 1. 6.
중국의 일곱군데 세외도원(世外桃源) 글: 창랑지수(滄浪之水) 도화진일수류수(桃花盡日隨流水) 동재청계하처변(洞在淸溪何處邊) 복숭아꽃이 하루종일 물을 따라 흐르는데, 동굴은 맑은 시내의 어느 곳에 있을까? 당나라때 시인인 장욱(張旭)의 이 싯구는 천여년이래로 세상사람들의 마음 속에 품어온 의혹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도연.. 2008. 10. 28.
도연명(陶淵明)의 은거이유 글: 위경화미(爲卿畵眉) 도연명이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여 깊은 산속으로 가서, 술을 마시고 시를 짓고, 국화를 감상하며, 남산에서 유유자적하였다는 이야기는 자고로 '고결(高潔)'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정치하는 자들과 함게 더럽게 어울리지 않는 품격은 역대 이래로 사람들의 숭앙을 받았고, 그에.. 2008. 9. 20.
이청조(李淸照)와 조명성(趙明誠)의 사이에 왜 자식이 없었는가? 글: 정계진(丁啓陣) 조명성과 이청조의 사이에 자녀가 없었다는 것은 역사적인 사실이다. 이는 두 가지로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조명성과 이청조의 두 사람은 아무도 시나 글에서 자녀에 대하여 말 한마디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둘째는 문헌의 기재에 의하면 그들 사이에는 자녀.. 2007. 7. 17.
황소(黃巢)의 국화시 황소는 최치원이 지은 <<토황소격문>>에 나오는 바로 그 농민반란군의 두목이다. 그는 원래 과거에 낙방한 선비로서, 그가 지은 시 3수가 전해져 내려온다. 국화를 읊은 시중에는 가장 뛰어나다고 얘기하는 것중의 2개가 바로 그의 것이다. 아래는 그 중의 한 수이다. 颯颯西風滿.. 2006.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