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군11 옹정제는 왜 생모와 사이가 나빴는가? 글: 김만루(金滿樓) 옹정은 황위를 얻은 후, 생모인 덕비(德妃) 우야씨(烏雅氏)의 첫반응은 깜짝 놀라는 것이었다고 한다. 마음 속으로 기뻐하는 것이 아니라. <청세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우야씨는 옹정이 즉위한다는 소식을 들은 후, "나의 아들이 대통을 승계하도록 명하는 것은 .. 2014. 6. 23. 죽림칠현 혜강(嵇康)의 죽음 글: 사비상(史飛翔) 262년, 하남 낙양의 동시(東市). 시간은 혈색잔양(血色殘陽, 피같은 색깔의 지는 태양)의 오후였다. 수거(囚車)에서 걸어내려온 혜강은 형집행인들에게 형장으로 끌려갔다. 이전에 옥중에서 고난과 혹형을 받아서, 이때의 혜강은 이미 온 몸이 상처투성이고, 제대로 걷.. 2013. 6. 13. 곽씨일족(霍氏一族)은 왜 한선제에게 멸족당하는가? 글: 왕전휘(王田暉) 서한의 곽씨일족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라 할 수 있다. 이 방대한 가족은 한무제, 한소제, 한선제의 3황제시기에 권력이 조야를 뒤흔들었고, 온갖 영광을 누리다가, 최종적으로 멸족당했다. 곽씨일족의 성공은 한무제시기부터 시작한다. 한선제때 곽광(霍光)이 보.. 2013. 5. 19. 한(漢)나라의 장군(將軍) 명칭 1품 대장군(大將軍) 2품 표기장군(驃騎將軍), 거기장군(車騎將軍), 위장군(衛將軍) (이상 三公級 장군)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중군대장군(中軍大將軍), 상군대장군(上軍大將軍), 진군대장군(鎭軍大將軍), 국대장국(國大將軍), 남중대장군(南中大將軍) (이상 2품대장군) 정동장군(征東將軍.. 2013. 5. 18. 환관과 사대부: 누가 더 나쁜 짓을 많이 했는가? 글: 문재봉(文載縫) 동한 후기 하진(何進)은 여동생과 후궁태감의 관계를 이용하여 대장군으로 승진한다. 그러나, 그는 대권을 장악한 후,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 무고하고 선량한 태감들을 해친다. 이것은 무엇때문인가? 사서에는 함부로 적었다. 이것은 모두 태감들이 횡행불법을 저질.. 2012. 9. 1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