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예종11 [황자쟁위술] 이퇴위진술(以退爲進術) 양중득위패(讓中得位牌) 당현종편 이융기(李隆基, 나중의 당현종)는 당고종과 무측천의 넷째아들인 이단(李旦)의 셋째아들이다. 신룡혁명(神龍革命)으로 무측천이 황위에서 물러난 후, 당고종과 무측천의 셋째아들인 이현(李顯)이 황위에 오르니 그가 당중종이다. 황제동생의 셋째아들에 불과하다보니 이융기가 황제에 .. 2015. 8. 13. 낙빈왕(駱賓王)의 최후에 관한 수수께끼 글: 진령신(陳令申) "시간금일지성중(試看今日之城中), 경시수가지천하(竟是誰家之天下)"(한번 봐라 오늘날의 성을. 도대체 어느 집안의 천하인지?)라는 문구로 무측천의 얼굴색을 바뀌게 만들었던 낙빈왕, 그는 초당(初唐)의 사단에서 활약했던 인물로, '초당사걸(初唐四傑)"의 한 명이다.. 2014. 9. 8. 당나라의 명재상 요숭(姚崇)은 어떻게 정적에 대처했는가? 글: 소풍(小楓) 당시 보통사람들에게 있어서, 재상은 큰 수수께끼이다. 생각해보라. 깊은 저택에 앉아서, 호풍환우의 능력을 지니고, 미치지 않는 곳이 없는 권세를 가지고 있다. 누가 그의 생각을 꿰뚫어볼 수 있겠는가? 요숭은 바로 이런 재상이었다. 그는 650년에 태어났고, 섬주 섬석(지.. 2012. 6. 10. 당예종 이단(李旦): 양차계위(兩次繼位) 삼양천하(三讓天下) 글: 진령신(陳令申) 역사상 “두번 황위에 등극하고, 세번 천하를 양보한” 황제가 있다. 아마도 사람들이 잘 모를지는 몰라도, 그는 바로 당나라의 제5대황제 당예종 이단이다. 당예종 이단(662-716)은 당고종 이치의 여덟째 아들이며, 막내아들이다. 무측천이 낳은 4명의 아들중 가장 어린 아들이기도 .. 2011. 4. 7. 당나라의 공주들은 왜 여도사(女道士)가 되었는가? 글: 중천비홍(中天飛鴻) 여도사는 당나라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황실공주인 여도사라면 더욱 그렇다. 당나라때는 공주들이 여도사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당나라때 공주가 출가하여 여도사가 된 얘기를 하자면 옥진공주(玉眞公主)를 빠트릴 수 없다. 이 옥진공주는 여황제 무측.. 2009. 10.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