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경7 청나라의 대학사(大學士) 제도 글: 사우춘(史遇春) 청나라의 대학사를 얘기하자면, 약간의 역사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둘 정도는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세하게 셋,넷을 물으면 상세하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기실, 청나라때의 대학사라는 이슈는 전문적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원래 쓰지 않으.. 2019. 10. 8. 복비죄(腹誹罪)에 관하여 글: 송지견(宋志堅) 장탕(張湯)도 사마천이 <혹리열전>에 집어넣었다. 실사구시적으로 말하자면, 그 10명의 '혹리(酷吏)'들 중에서 그는 그래도 청렴한 편이다. "장탕이 죽고나서, 가산은 오백금이 넘지 않았다. 모두 하사받은 것이고, 다른 사업은 한 것이 없다." 그러나 공정한 법집행.. 2018. 11. 14. 비장군 이광(李廣)이 평생 제후에 봉해지지 못한 이유는? 글: 진사황(秦四晃) 한나라장수 이광은 농서 성기(成紀), 즉 지금의 감숙성 태안 사람이다. 사마천은 그의 조적은 기실 섬서 흥평이라고 했다. 이씨가족의 조상은 전투를 잘 했고, 활쏘기는 가전의 절기였다. 진나라때 유명한명장을 배출하는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진나라가 연나라를 .. 2015. 3. 26. 한(漢)나라의 정부구조: 일국양부(一國兩府) 글: 이중천(易中天) 한제국의 정부수뇌는 "삼공(三公)"이다. 삼공은 바로 승상(丞相), 태위(太尉), 어사대부(御史大夫)를 말한다. 승상은 최고행정장관이고, 태위는 최고군사장관이고, 어사대부는 최고감찰관및법집행관이다. 방국시대(邦國時代)에 천자지재(天子之宰) 즉 천자의 재상을 공.. 2014. 8. 27. 복비죄(腹誹罪)와 언론의 자유 글: 후홍빈(侯虹斌) <예기.왕제>에는 4가지 마땅히 주살해야할 언론죄를 규정하고 있다: "석언파율(析言破律), 난명개작(亂名改作), 집좌도이난정(執左道以亂政), 살(殺)" "작음성(作淫聲), 이복(異服), 기기(奇技), 기기이의중(寄器以疑衆), 살(殺)" "행위이간(行僞而奸), 언위이변(言僞而.. 2013. 9. 15. 왕망(王莽)의 진실: 유일한 민선황제 글: 나철욱(羅哲郁) 한고조 유방이 성덕명군(聖德明君)이라고 하면 필자는 동의할 수 없다; 왕망을 야심만만한 찬탈자라고 한다면 필자는 역시 동의할 수 없다. 진실한 역사를 환원시키면, 아마도 당신도 다른 결론을 내리게 될 것이다. 왕망은 반면인물이라고 말한다. 역사적으로 폄다포.. 2013. 7.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