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서제87

청나라 황실의 후손들 글: 마용(馬勇) <황실우대조례>에 따르면, 중화민국정권은 대청국이 계속 존재하는 것에 동의했고, 북경의 황궁에 거주하도록 해주었다. 그래서 중화민국시대에 들어선 후 중국에는 이런 풍경이 벌어진다: 민국정치가들은 혹은 의회에서 평화논쟁을 벌이거나, 혹은 전쟁터에서 계속 .. 2012. 7. 12.
옹동화(翁同龢)와 손육문(孫毓汶) 글: 유계흥(劉繼興) 옹동화는 청나라말기에 명성이 대단한 인물이다. 그는 청나라 함풍6년(1856년)에 장원(狀元)을 했고, 한림원 수찬을 제수받았으며, 동치제, 광서제의 두 황제의 스승을 지낸다. 형부상서, 공부상서, 호부상서, 협판대학사, 군기대신, 총리각국사무대신등의 관직을 지냈.. 2012. 6. 10.
서태후가 47년간이나 중국을 통치한 원인은? 글: 왕개새(王開璽) 1861년 11월, 서태후가 공친왕 혁흔과 연합하여 신유정변을 일으킨 때로부터 3번의 수렴청정을 거쳐 1908년 사망할 때까지, 서태후는 중국을 47년간이나 통치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것은 서태후가 정치권모술수에 능하여, 음험하고 독랄한 독특한 정치수완을 지니고 있.. 2012. 6. 6.
청나라 황제의 결혼식 글: 임만평(任萬平) 오늘은 황제의 혼례에 관해서 얘기해보기로 한다. 청나라때의 황제들은 자금성(紫禁城)에 거주하므로, 결혼도 자금성에서 했을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만일 황제가 자금성에서 대혼전례(大婚典禮)를 올리려면 이런 전제가.. 2012. 2. 1.
누가 무술변법(戊戌變法) 실패의 원흉인가? 글: 장굉걸(張宏杰) 백년세월의 얇은 장막을 통해 무술변법의 전후를 살펴보면, 우리는 분명히 발견할 수 있다. 중국현대화전환이라는 이 중요한 발걸음은 실패로 끝날 운명은 아니었다는 것을. "변법"은 그 당시 '대세'였고, '여러 사람들이 바라는 바'였다. '변법'을 시작할 때, 형.. 2012. 1. 31.
청나라말기의 황제들 글: 장명(張鳴) 어지러운 세월에, 사람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금방 좋았다가 금방 나빠진다. 고귀하기 그지없는 황제조차도 예외는 아니다. 청나라말기에, 북경성은 두번에 걸쳐 서양군대의 공격을 받았고, 황제는 두번 도망친다. 청나라는 유목민족이 만든 왕조로 성을 지키는 것을 .. 2011.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