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1399

명의 화타(華佗) : 페르시아인인가 인도인인가? 화타의 초상 허창에 있는 화타묘 역사서인 <<삼국지. 화타전>>에는 화타에 대하여 "서토(徐土)에 유학(遊學)하였고, 수와 경전에 밝았다"고 하였으며, "양성의 술법을 알아서, 사람들은 백세가 되었는데도 그의 모습이 장년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약방에 정통해서 질병을 치료.. 2006. 3. 1.
징기스칸의 묘는 어디에...? 내몽고박물관의 관장인 소청륭에 따르면, 징기스칸 묘의 확실한 위치는 중국과 세계의 고고학계의 괸심의 촛점이다. 현재, 당, 송, 명, 청의 황릉은 이미 다 찾았고, 일부 묘는 발굴을 마쳤다. 그러나, 원의 황릉만은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징키스칸의 능묘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2006. 3. 1.
마지막 황후 완용(婉容)의 최후 완용과 부의의 사진 청나라 부의의 부인인 마지막 황후 완용의 죽음에 대하여는 세가지 정도의 설이 전해지고 있다. 첫째, 부의의 견해 부의는 두번에 걸처 완용이 죽은 곳을 언급하였는데, 첫번째는 부순전범관리소에서 쓴 <<나의 전반생>>의 초고에서이다. 그는 "815이후 그녀(완용)는 비록 .. 2006. 2. 28.
부의(溥儀)가 후손을 두지 못한 이유는? 부의는 일생동안 다섯명의 여인들과 결혼한다. 황후인 완용(婉容), 숙비인 문수(文繡), 그리고 담옥령(潭玉齡), 이옥금(李玉琴), 이숙현(李淑賢)...그러나, 그는 후손을 하나도 두지 못한다. 그 이유에 대하여는 몇가지 설이 있다. 첫째, 생리흠결설(生理欠缺說) 이것은 부의는 생리적으로 흠결이 있어서,.. 2006. 2. 28.
모택동 어록중 가장 널리 알려진 10개 1. 창간자이면출정권(槍杆子裏面出政權) : 총부리에서 정권은 나온다. --이 말은 모택동이 1927년 8월 7일, 중국공산당이 호북 한구에서 개최한 임시회의(87회의)에서 얘기한 것이다. 모택동은 제1차 국공합작이 실패한 것을 비판하며, 상급기관은 반드시 하급기관의 보고를 잘 들어야 하고, 역사가 주는 .. 2006. 2. 28.
서태후와 서예가 청나라때 어느 서예가가 서태후(자희태후)의 명으로 당나라때 왕지환(王之渙)의 시를 썼다. 황하원상백운간(黃河遠上白雲間) 일편고성만인산(一片孤城萬刃山) 강적하수원양류(羌笛何須怨楊柳) 춘풍불도옥문관(春風不度玉門關) 황하의 물은 멀리 흰구름 사이로 흐르고 하나의 외로운 성은 만장이나 .. 2006.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