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중국역사의 철칙15

중국의 살인철칙 글: 吳祚來 =========== 우리는 예술경연이나 체육시합을 관전할 때 심판들이 점수를 내는 방법을 보곤 한다: 가장 높은 점수는 제외하고, 가장 낮은 점수도 제외하면, 바로 선수가 최후로 얻은 점수가 되는 것이다. 중국의 전통적인 살인방식도 이렇다: 가장 나쁜 자를 죽이고, 가장 좋은 자도 죽인다. 그.. 2006. 7. 23.
역사의 철칙 - 권대기주(權大欺主)의 철칙 청나라 말에 권신 원세개(袁世凱)에 의하여 대청제국이 멸망하게 되는데, 사람들이 권대기주(權大欺主, 신하의 권한이 너무 커지면, 주인을 누르게 된다)라고 하였다. 역사상 권대기주의 현상은 많이 나타난다. 서한의 왕망이 황위를 찬탈한 경우도 있고, 진나라의 팔왕의 난도 있으며, 삼국시대에 조.. 2005. 8. 30.
역사의 철칙 - 오세이참(五世而斬)의 철칙 1856년에서 1860년 사이에 태평천국의 군대는 두 차례에 걸쳐 남경(천경)을 포위한 청나라의 강남, 강북부대를 쳐부수고 대승을 거두었다. 강남, 강북부대는 청나라의 정예부대인 팔기병과 녹영병이었다. 녹영병은 "활을 쏘면 화살이 나가지 않고, 말을 타려고 하면 말에서 떨어져버리는" 지경에 이르렀.. 2005. 8. 30.
역사의 철칙 - 황종희(黃宗羲)의 철칙 소위 "황종희의 철칙"이라는 것은 진휘(秦暉)선생이 2000년 11월 3일자 <<중국경제시보>>에 기고한 <<세금통합식개혁과 황종희철칙>>이라는 글에서 언급한 것으로, 황종희의 역사를 보는 관점에 근거하여 결론적으로 도출해낸 하나의 역사철칙이다. 내용은 역대 황조는 "세금통합방식의.. 2005. 8. 30.
역사의 철칙 - 붕당(朋黨)의 철칙 당목종의 시기에 이덕유(李德裕)를 영수로 한 귀족출신 관료들이 한 파를 결성하고, 우승유(牛僧儒), 이종민을 영수로 한 과거출신 관리들이 한 파를 결성하여 조정에서 근 40년간을 서로 공격하는 소위 "우이(牛李)"붕당지쟁(朋黨之爭)이 있었다. 중국의 역사상 이와 같은 당파간의 다툼은 끊이지를 않.. 2005. 8. 30.
역사의 철칙 - 적계(敵戒)의 철칙 당나라때 당송팔대가의 한명인 유종원(柳宗元)은 "적계"라는 짧은 글을 지었는데, 그 글에서 생각한 사고방식은 통상적인 사람들의 것과는 완전히 달랐고, 철학적인 도리를 담고 있었다. 개략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모두 적에 대한 원한은 알고 있지만, 적으로 인해서 얻는 득이 많다는 것을 알지 .. 2005.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