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말에 권신 원세개(袁世凱)에 의하여 대청제국이 멸망하게 되는데, 사람들이 권대기주(權大欺主, 신하의 권한이 너무 커지면, 주인을 누르게 된다)라고 하였다. 역사상 권대기주의 현상은 많이 나타난다. 서한의 왕망이 황위를 찬탈한 경우도 있고, 진나라의 팔왕의 난도 있으며, 삼국시대에 조조와 사마소가 권력을 빼앗은 경우도 있고, 수나라의 양광이 부친과 형을 죽인 사례도 있으며, 당나라의 이세민이 현무문의 변을 일으키거나, 송나라의 조광윤이 황포가신(黃袍加身)한 사례나 명나라의 주예가 정난의 변을 일으킨 것등이 그것이다.
봉건황조에서는 두 종류의 큰 싸움이 벌어지는데, 하나의 싸움은 황제와 태자간에 일어나고, 다른 하나의 싸움은 황제와 권신간에 일어난다. 황제와 태자는 친골육간이지만, 권력을 위하여는 목숨을 걸고 싸우게 된다. 사나운 호랑이도 자식은 잡아먹지 않는다지만, 제왕가정에서는 부친(모친)이 아들을 죽이고, 아들이 부친을 죽이며, 형제간에 서로 죽이는 참극이 벌어지는 것이다.
황제와 권신간에는 더욱 말할 수 없는 은원으로 얽혀 있다. "황제와 신하는 하루에도 백번은 전투를 한다"는 말이 있듯이 군권(君權, 임금의 권력)과 상권(相權, 재상의 권력)간의 충돌, 외척이나 환관의 권한찬탈등 황궁과 조정은 권력과 음모의 장이었다. 태자와 권신은 중국역사상 가장 위험한 인물이다. 그들이 위험하다고 하는 것은 그들이 존재하는 자체가 황제의 권력에 대한 위협이기 때문이다. 이런 위험한 상황이 때로는 위기로 발전하기도 하고, 심지어 큰 동란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이다.
어떻게 "권대기주"를 방어하느냐는 제왕들에게 가장 어려운 난제의 하나였다. 나무를 기르는데도 마찬가지의 일이 벌어진다. 큰 나무의 중심에서 갈라져 나간 가지가 중심줄기보다 높게 자라고, 그의 생명력도 중심줄기보다 강하여, 결국은 중심줄기의 자리를 차지해버리는(取而代之) 경우가 발생한다. 성장하는 세력에 변화가 생김에 따라 "강지약간(强枝弱幹, 가지는 강하고, 줄기는 약한 현상)"이 발생한다. 황조시대에 조정에서 제왕과 신하의 권세에 이런 변화가 발생한다면 결국 자리바꿈을 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한비자(韓非子)는 봉건시대의 기본구조에 있어서 최상단에 있는 군왕은 반드시 강력한 세(勢)를 가져야 한다고 하였다. 군왕이 일단 세를 잃어버리고 나면, 그를 중심으로 한 봉건계통은 붕괴할 것이라는 것이다. 황조를 연 개국황제들은 권모술수에도 능할 뿐아니라 강력한 세력도 가지고 있었다. 아래 사람들은 그 세에 눌려 감히 다른 생각을 먹을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손들에게 황위가 계승되고 나면, 후손이 이런 걸 물려받기는 어렵다. 심지어 진혜왕과 같은 바보황제가 나오거나 부의 처럼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되면 강세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고, 강지약간, 권대기주, 취이대지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중국의 역사분석 > 중국역사의 철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역사에서 찾은 열 가지 규칙 (0) | 2006.10.21 |
---|---|
중국의 살인철칙 (0) | 2006.07.23 |
역사의 철칙 - 오세이참(五世而斬)의 철칙 (0) | 2005.08.30 |
역사의 철칙 - 황종희(黃宗羲)의 철칙 (0) | 2005.08.30 |
역사의 철칙 - 붕당(朋黨)의 철칙 (0) | 2005.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