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문혁후)47

1997년 홍콩주권이양식의 1초 다툼 10년전, 세계인들이 주목하는 중국과 영국간의 홍콩정권이양식의 배후에는 1초를 두고 양측이 다툰 바 있다. 당사자의 하나인, 중국인민해방군 군악대 지휘자인 우건방(于建芳) 대령이 털어놓은 이야기이다. 1997년 4월의 어느날, 해방군 군악대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35명으로 구성된 악대를 조직해서, .. 2007. 5. 24.
후르시쵸프가 중국에 준 7가지의 도움 오랫동안, 후르시쵸프는 중국인들의 마음 속에서 아주 나쁜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그는 중소관계를 악화시킨 주범으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역대 소련의 지도자들 중에서 스탈린부터 고르바초프까지, 신중국을 위하여 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이 바로 후르시쵸프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 2007. 3. 8.
중국인민해방군역사상의 70개군 제1군 : 원 홍2군단, 팔로군 358여단 제2군 : 원 홍6군단 및 팔로군 359여단의 일부 제3군 : 원 홍5군단, 현 난주군구공군지휘부 제4군 : 원 8로군섬감녕진수연방군, 현 신강생산건설병단 제5군 : 창립시 스탈린이 '동투르키스탄인민혁명군'으로 명명. 후에 신강민족군으로 개칭. 1949년 중국인민해방군 작전.. 2007. 2. 24.
크라마이화재사건 : "학생들은 움직이지 마라. 간부들이 먼저 가야 한다" 1994년 12월 8일, 신강자치주 크라마이(克拉瑪依)시 교육위원회와 신강 석유관리국교육훈련센터에서는 크라마이시 우의관에서 신강위구르자치구 "양기(兩基, 9년의무교육의 기본적인 보급, 청장년문맹의 기본적인 해소)"평가검수단을 위한 문예공연활동을 벌이고 있었다. 전시의 7개 중학교, 8개 소학.. 2006. 12. 20.
민주주의(民主主義)을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창조한 중국의 이론들 1. 수토불복설(水土不服說) : 신토불이설과 비슷하다. 즉, 민주주의는 중국의 현재 상황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말에 숨은 뜻은 중국의 현재 상황은 그저 "일부 사람들이 먼저 부유해지는데" 맞다는 것이다. 2, 서구식민주, 미국식민주설: 월병을 강소식, 광동식으로 나누듯이 민주주의도 자꾸 여러.. 2006. 11. 22.
왕홍성(王洪成) : 물로 석유만들기 왕홍선(王洪先) : 동북 사람. 부친은 양식창고의 퇴직노동자. 모친은 무직. 조손삼대에 학자는 없음. 왕홍선은 초등학교 4년을 다님. 2번 퇴학. 이후 교육을 받은 바 없음. 돼지를 기른 적이 있고, 목공일도 배운 적이 있으며, 군대도 갔음. 하얼빈공공버스회사의 운전기사였음. 1992년 8월 3일 "왕홍선이 .. 2006.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