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문혁후)

중국인민해방군역사상의 70개군

by 중은우시 2007. 2. 24.

제1군 : 원 홍2군단, 팔로군 358여단

제2군 : 원 홍6군단 및 팔로군 359여단의 일부

제3군 : 원 홍5군단, 현 난주군구공군지휘부

제4군 : 원 8로군섬감녕진수연방군, 현 신강생산건설병단

제5군 : 창립시 스탈린이 '동투르키스탄인민혁명군'으로 명명. 후에 신강민족군으로 개칭. 1949년 중국인민해방군 작전서열상 5군의 번호를 부여받음. 현재 이리(伊犁)군분구.

제6군 : 원 8로군섬감녕진수연방군, 현 신강생산건설병단

제7군 : 원 8로군섬감녕진수연방군, 현 신강생산건설병단

제8군 : 원 8로군섬감녕진수연방군, 현 내몽고군구

제9군 : 원 8로군진찰기군구부대, 나중에 차하얼(察哈爾)군구

제10군 : 원 8로군 129사부대, 현 공군

제11군 : 원 8로군 129사부대, 현 북해함대

제12군 : 홍4방면군 부대

제13군 : 홍4방면군 부대

제14군 : 홍4방면군 부대 + 회해전역 황유병단중에서 의거를 일으킨 요사단

제15군 : 8로군 부대, 현재 공군낙하산부대

제16군 : 섭정(葉挺)독립단의 일부.

제17군 : 원 8로군129사단 부대, 현재 귀주성군구.

제18군 : 원 21군에서 확대개편, 현재 서장군구.

제19군 : 원 신4군 이선념(李先念)5사단, 현재 섬서성군구

제20군 : 원 중국공농혁명군 민동독립사단, 신4군 제1사단, 화야(華野) 1종(縱)

제21군 : 원 팽설풍(彭雪楓), 장애평(張愛萍) 신4군 4사단 중원기병과 8로군 노남 황극성(黃克誠)부대일부. 화야 경려2종으로 소,노,예,환에서 전투. 처음으로 장강을 건너 환남, 절강을 해방시킴. 6.25에 참전.

제22군 : 원 화야3종.

제23군 : 원 화야4종

제24군 : 원 화야6종

제25군 : 원 화야7종

제26군 : 원 8로군 노중군구지방부대, 화야8종.

제27군 : 원 곤륜산지방항일무장부대, 화야9종. 현 북경군구 예비부대.

제28군 : 원 화야10종

제29군 : 원 화야11종. 현 하문경비구

제30군 : 원 화야12종

제31군 : 원 화야13종

제32군 : 원 길락(吉洛)병단, 현 남경군구 방공부대

제33군 : 제남전투 의거부대, 현 동해함대

제34군 : 원 국민혁명군 제59군, 현 남경경비구

제35군 : 원 국민혁명군 제77군, 현 상해경비구

제36군 : 원 수원수군 의거부대, 나중에 신69군에 편입됨

제37군 : 원 수원수군 의거부대, 나중에 신69군에 편입됨

제38군 : 원 홍3군단, 동야1종. 6.25에 참전한 바 있음. 현 군위총예비부대

제39군 : 원 동야2종, 6.25전쟁참전

제40군 : 원 동야3종, 6.25전쟁참전

제41군 : 원 동야4종, 주홍콩부대의 육군은 원래 이 군에 속함.

제42군 : 원 동야5종, 6.25전쟁참전

제43군 : 원 섭정 독립단, 노정교를 빼앗은 홍4단. 동야6종, 현재 일부는 41군에 편입, 나머지 일부는 54군에 편입

제44군 : 원 동야7종, 군구는 현재 남해함대, 부대일부는 54군에 편입

제45군 : 원 동야8종, 현재 54군

제46군 : 원 홍9단, 중앙홍군기동작전중 최강의 전략기병부대, 동야9종, 해남을 해방시킴. 6.25에 참전, 진보도전투를 치름.

제47군 : 원 홍6단의 일부, 8로군 359여단 718단, 동야10종

제48군 : 원 동야11종, 현재 55군에 편입

제49군 : 원 동야12종, 현재 55군에 편입

제50군 : 원 국민혁명군 전()군60군, 중국원정군부대, 장춘의거후 운남해방전투, 6.25전쟁에 참전. 일부는 13군에 편입, 나머지는 무경부대가 됨.

제51군 : 원 도강전투시 중국국민혁명군 무창의거부대, 현재 호북성의 일개군분구.

제52군 : 원 중국국민혁명군 장사의거부대, 중국국민당인민해방군제1군. 현재 일부는 무경수리부대로 편입, 일부는 55군으로 편입

제53군 : 원 중국국민혁명군 장사의거부대. 중국국민당인민해방군제2군. 현재 일부는 무경수리부대에 편입, 일부는 55군으로 편입

제54군 : 44군부대와 45군을 합병하여 성립.

제55군: 제48군, 49군, 52군, 53군을 합병하여 성립. 39군-49군중 3개사단의 전신은 각각 동북항연제1로군, 동북항연제2로군, 동북항연제3로군임.

제58군 : 원 진기노예야전군 돌진중원종대(조자양이 부정치위원을 맡음). 현재 하남성군구.

제60군 : 원 화북군구 제1야전병단1종. '영광의 임분여단'179사단을 예하에 두고 있음. 1951년 6.25에 참전. '피정균여단'181사단에 편입, 현재의 179사, 181사는 사단에서 여단으로 감축, 180사단은 무경으로 재편.

제61군 : 원 화북군구제1야전병단2종. 현 천북군분구

제62군 : 원 화북군구제1야전병단3종, 현 천동군분구

제63군 : 8로군부대, 화북군구제2야전병단4종, 6.25참전

제64군 : 원 좌우강의거의 홍7군, 홍8군, 화북군구제2야전병단6종, 6.25참전.

제65군 : 옛 홍군부대, 화북군구제2야전병단7종. 6.25참전.

제66군 : 8로군부대. 화북군구제3야전병단8종, 6.25참전.

제67군 : 옛 홍군부대, 화북군구제3야전병단9종, 6.25참전.

제68군 : 옛 홍군부대, 화북군구제2야전병단10종, 6.25참전.

제69군 : 화북군구11종, 현 북경군구방공부대. 1952년 36군, 37군의 2개사단이 6.25에 참전. 원래는 비행장건설임무였으나, 미군의 공습이 빈번하여, 지원군사령부는 계획을 변경하여 4개사단으로 신69군을 편성하여 판문점서쪽의 방어를 책임지게 함. 귀국후 54군을 도와 인도와의 전쟁에 참전 1969년 철폐.

제70군 : 화북군구12종, 현 하북성군구.

 

서북독립제1군 : 중국국민혁명군의거부대, 현재 한중군분구.

서북독립제2군 : 중국국민혁명군의거부대, 현 감숙, 청해성분구.

서북독립제3군 : 중국국민협명군의거부대, 현 영하회족자치구군구.

 

70군이후의 숫자를 단 군번호는 부여하지 않고 있음.

 

 

 

* 1군, 12군, 15군, 16군, 20군, 21군, 23군, 26군, 27군은 6.25전쟁에 참전 1야(1군-9군, 19군)과 2야(10군-18군)의 나머지 군은 6.25에 참전하지 않음. 3야의 22군, 25군, 28군, 29군, 30군, 31군, 32군, 33군, 34군과 35군도 6.25에 참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