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도시

중국도시의 시화(市花)

by 중은우시 2007. 6. 11.

심양(요녕), 라싸(티벳), 난주(감숙), 은천(영하), 우루무치(신강) : 매괴화(??花)

북경, 천진, 석가장(하북), 정주(하남) : 월계(月季)

하르빈(흑룡강), 서녕(청해), 후허하오터(내몽고) : 정향화(丁香花)

합비(안휘), 항주(절강) : 계회(桂花)

마카오, 제남(산동) : 하화(荷花)

무한(호북), 남경(강소) : 매화(梅花)

대북(대만), 장사(호남) : 두견화(杜鵑花)

중경, 곤명(운남) : 산다화(山茶花)

상해 : 옥란(玉蘭)

장춘(길림) : 군자란(君子蘭)

태원(산서) : 국화(菊花)

복주(복건) : 말리(茉莉)

남창(강서) : 금변서향(金邊瑞香)

성도(사천) : 목부용(木芙蓉)

귀양(귀주) : 난화(蘭花)

서안(섬서) : 석류(石榴)

광주(광동) : 목면(木棉)

남녕(광서) : 주근화(朱槿花)

해구(해남) : 삼각매(三角梅)

홍콩 : 자형화(紫荊花)

-------------------

글: 반세진(潘洗塵)

 

시화(市花)는 왕왕 하나의 시의 독특한 문화적인 깊이, 인문특색 및 정신기질을 나타낸다.그러나, 하나의 도시 시화가 대표하는 정신의미는 반드시 시민들 스스로의 가치관과 맞아야 할 것이다. 그래야, 시화는 비로소 도시를 대표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시민들의 귀속감을 높여주며, 동질감과 자부심을 느끼게 해줄 것이다.

 

최근 필자는 관련자료를 살펴보았는데, 전국 34개, 직할시, 성회도시, 자치구수부, 특별행정구는 비록 모두 시화를 확정하기는 하였는데, 동일한 경우가 너무 많았다. 그중 매괴화는 모두 5개도시의 시화이고, 월계는 4개도시, 정향화, 계화, 하화, 매화, 두견화, 산다화도 모두 2개도시에서 선택했다. 더욱 이해되지 않는 일은 북경과 합비는 동시에 선택하면서 모두 2종의 꽃을 시화로 선정했다.

 

만일 여기에 지급시(地級市)까지 포함하면, 더욱 놀랍다. 전국에서 시화를 확정한 곳은 모두 140여개인데, 그중 50개 도시가 월계화를 시화로 정했다. 14개 도시가 두견화를 시화로 정하고, 12개 도시가 계화를 시화로 정했으며, 11개 도시는 매괴화를, 10개도시는 국화를 시화로 정하고, 9개도시는 산다화를 시화로 정했으며, 7개도시씩은 매화와 자미화(紫薇花)를 시화로 정했다.

 

50개 도시가 한가지 꽃을 시화로 정했다는 것은 이미 이 50개도시에서는 시화의 의미가 상실된 것이나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