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과학46

신농가(神農架)에 야인(野人)이 존재하는가? 글: 방주자(方舟子) 중국의 여러 지방에는 자고이래로 '야인'에 관한 전설이 있다. 시시때때로 사람들이 '야인'을 목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1950-1970년대, 국내의 생물학자들이 약간의 조사를 해본 적이 있다. 그러나, "야인"(특히 호북성 신농가의 '야인')이 매체의 촛점에 되고 사회의 관심을 끌게 된 것.. 2010. 12. 10.
장형(張衡)의 지동의(地動儀)는 쓸모있었는가? 글: 방주자(方舟子) 중국의 고대과학자를 얘기하면, 많은 사람들은 금방 동한시대에 다재다능했던 대학자 장형을 떠올린다. 그리고 장형을 얘기하면, 사람들은 바로 그가 발명했다는 지동의를 떠올린다. 8마리의 하마와 8마리의 용이 마주보고 입을 벌리고 있는 복원모형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 2010. 12. 3.
신학(神學), 현학(玄學)과 과학(科學) 글: 주유광(周有光) 인류의 인식발전은 대체로 3단계를 거쳤다고 할 수 있다: 1. 신학단계, 2. 현학단계, 3. 과학단계. "신학"의 특징은 "천명(天命)"에 의존한다는 것이고, 하느님의 의지는 의문을 품을 수 없다. "현학"의 특징은 "추리"에 의존한다는 것이고, 추리는 예정된 "교조"를 출발점으로 한다. "과.. 2010. 11. 22.
중국고대의 "천하의 중앙"은 어디인가? 글: 지백수흑(知白守黑) 2010년 8월 1일, 유네스코 제34회 세계유산회의에서 하남 등봉의 "천지지중(天地之中)"역사건축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여기에는 소림사(少林寺), 탑림(塔林) 및 초조암(初祖庵)을 포함한 11개의 고대건축물이 포함되어, 새로운 이름표를 달게 되었다. 하남은 문화대성이.. 2010. 8. 13.
중국고대에는 하루의 시간을 어떻게 나누었는가? 1. 십이시진제(十二時辰制) 서주(西周)때부터 이미 사용했다. 한나라때는 이렇게 명명했다: 야반(夜半), 계명(鷄鳴), 평단(平旦), 일출(日出), 식시(食時), 우중(隅中), 일중(日中), 일질(日昳), 포시(哺時), 일입(日入), 황혼(黃昏), 인정(人定). 십이간지를 가지고 표시하기도 했다. 오후23시에서 1시까지를 .. 2010. 3. 27.
단정학(丹頂鶴): 역사가 남긴 명칭문제 글: 서래(徐來) 중국 국가임업국은 단정학을 국조(國鳥)의 단독후보자로 하여 국무원에 보고했다. 누가 알았으랴. 이로 인하여 일파만파의 파란이 일 줄이야. 단정학의 학명과 영문명을 가지고 문제삼을 줄이다. 원래, 단정학의 라틴어 학명(學名)은 Grus japonensis이고, 영문 속명은 Japanese Crane이다. 직역.. 2009.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