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과학45

중국은 "문화조공심리"를 극복해야 한다. 글: 양홍새(楊鴻璽) 인문영역과 자연과학영역에서, 중국국내는 최근 몇년동안 갈수록 더욱 강해지는 하나의 경향이 있는 것같다. 그것은 바로 일부 문화 및 과학기술 엘리트들을 포함해서, 어떻게 서방의 인문과 과학기술과의 편차를 객관적으로 받아들일 것인가를 논하면서, 정신숭배와 문화조공심.. 2009. 8. 10.
중국고대서적에서 천랑성(天狼星, 시리우스)의 색깔문제 글: 강효원(江曉原) 1. 문제와 의의 천랑성(Sirius, 시리우스)는 온 하늘에서 가장 밝은 항성(恒星)이고, 눈부신 백색이다. 그것은 또한 눈으로 쌍성(雙星)을 볼 수 있다. 그중 B성(同伴星)은 가장 먼저 확인된 백색왜성(矮星)이다. 그러나, 이 저명한 항성은 고대에 그 색깔에 대한 일부 기재로 인하여 현행 .. 2009. 7. 23.
중국의 연단술(煉丹術) 글: 장각인(張覺人) 중국의 연단술은 원래의 채광술(採鑛術)과 야금술(冶金術)에서 유래한 과학의 한 분야이다. 일찌감치 원시사회후기에 중국에는 야동술(冶銅術)이 나오면서 은상(殷商)시대에 들어 대량으로 청동기가 사용된다. 춘추전국시대에 야철술(冶鐵術)과 철기의 사용이 나타난다. 인민들은 .. 2009. 6. 17.
중국 고대의 농기구(農器具) 글: 장력군(張力軍), 호택학(胡澤學) 중화문명은 휘황찬란하다. 만년역사의 강물속에 최소한 100억이상의 인민이 중화대지에서 생활했다. 무엇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기본적인 생활수요를 해결해주었는가? 무엇이 중국인들로 하여금 어려웠던 시기에도 여전히 발전할 수 있게 해주었는가? 이 백억명.. 2009. 4. 19.
중국인은 왜 트랙터를 발명하지 못했는가? 글: 학원출판사 중국고대에 이런 격언이 있다: "공욕선기사, 필선이기기(工欲善其事, 必先利其器, 일을 잘 하려면 먼저 도구가 좋아야 한다)" 여기서 "기(器)"라는 것은 이 글에서 언급하는 각종 생산도구를 포함한다. 역사상 매번 민부국강(民富國强)의 국면이 나타날 때면 모두 선진적이고 효율이 높.. 2009. 2. 24.
다빈치는 중국고대서적을 표절했는가? 글: 중국경제망 영국의 70세된 아마추어 역사학자 Gavin Menzies는 이전에 출판한 책을 통하여 중국인이 컬럼부스보다 70년전에 아메리카신대류을 발견했다고 주장하여 논쟁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최근에 Menzies는 창끝을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대가인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향했다. Menzies는 다빈치.. 2008. 9. 22.
왕라오지(王老吉)의 성분에 관하여 글: 방주자(方舟子) [표기된 성분] 물, 백사탕, 선초(仙草), 단화(蛋花), 포사엽(布渣葉), 국화(菊花), 금은화(金銀花), 하고초(夏枯草), 감초(甘草) [표기된 효능] 청열거화(淸熱去火) : 열나는 것을 식힘 [진상] 왕라오지(王老吉) 양차(凉茶)는 광동 학산(鶴山) 사람인 왕택방(王澤邦, 아명이 王吉)이 1828년부.. 2008. 9. 2.
문산대지진과 댐의 관계 글: 이호군(李虎軍) '5.12'대지진이 발생한 이후, 여론은 지진과 댐의 관련성을 의심하고 있다. 지진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삼협(三峽)댐이나 진앙지에서 가까운 자평포(紫坪鋪) 댐은 모두 여론의 촛점이 되고 있다. 사실상, 이번 문천대지진의 교훈으로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은 지진이 지진이 댐에 얼마.. 2008. 6. 4.
지진예측의 꿈과 현실 글: 방주자(方舟子) 1. 문천대지진의 징조와 예측 "5.12" 문천대지진발생이후, 많은 사람들은 놀라면서도, 의혹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지진국은 왜 예보를 내보내지 않았을까? 이렇게 큰 지진에 조그만치의 징조도 없었단 말인가? 일시간에 인터넷에서는 지진국에 의문을 제기하고, 질책하고, 조소하는 .. 2008. 5. 30.
소위 "사대발명(四大發明)"의 5가지 가정과 6가지 의문. 작자: 미상 1. 사대발명은 정말 중국에서 서방(여기서 서방은 중동과 유럽)으로 전파된 것이고, 서방에서 독립적으로 발명한 것이 아닐까? 브리타니카백과사전에서 제공되는 역사상의 위대한 발명은 110여가지가 되는데, 그중 4대발명과 관련된 것은 아래와 같다(웹사이트 주소는 http:/corporate.britannica.co.. 2008.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