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학/삼국연의23

<삼국연의>의 일기토방식은 진짜인가? 글: 대상공회(大象公會) &lt;삼국연의&gt;의 문학적 묘사에는 과장된 부분이 있다. 그러나, "무장일기토"라는 장면은 역사적으로 실제 존재했었다. 청나라때의 고증대가는 사적, 필기에 기재된 무장의 일기토에 관하여 정리한 바 있다. 왕완정(王阮亭)이 &lt;지북우담(池北偶談)&gt;에서의 내.. 2016. 5. 1.
<삼국연의>는 "존유폄조(尊劉貶曹)"인가? 글: 조종국(曹宗國) 역대이래로 논자들은 &lt;삼국연의&gt;에 '존유폄조'의 경향이 있다고 말해왔다. 필자는 기실 이것은 나관중을 오해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관중은 확실히 유씨 한왕조의 정통관념을 떠받들었다. 다만 유비를 정통이라고 보지는 않았다. 오히려 가짜정통의 전형으로 .. 2014. 5. 30.
조운(趙雲)은 손상향(孫尙香)을 짝사랑했다. 글: 동호소주(東湖少主) &lt;삼국연의&gt;에서 조운은 무예가 고강할 뿐아니라, 미남이다. 이런 사람을 어느 여인인들 보고서 마음이 흔들리지 않겠는가. 조운이 명을 받아 계양(桂陽)을 공격할 때 이런 난감한 일이 벌어졌다. 각설하고, 조운이 계양을 공격할 때, 계양태수 조범(趙範)은 스.. 2013. 11. 14.
삼국명장들은 어떤 무기를 썼는가? 글: 불감왕언(不敢枉言) 1. 여포(呂布) 척토마(赤兎馬)를 타고, 방천화극(方天畵戟, 畵杆方天戟)을 휘두르는 것은 우리가 잘 아는 여포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그러나, 이것은 소설적인 기법으로 승화된 후의 모습이다. 사료의 기재를 보면, 적토마는 진실로 존재했다. 그러나, 방천화극은 .. 2013. 11. 10.
위연: 인간관계, 성격과 운명 글: 염호강(閻浩崗) &lt;삼국연의&gt; 제65회를 보면, 유비가 익주목이 된 후 그를 따라 사천에 들어온 여러 장수들에게 봉상(封賞)을 내린다. 관우, 장비, 조운, 황충, 위연, 마초의 6장수는 각각 탕구장군, 정로장군, 진원장군, 정서장군, 양무장군, 평서장군에 봉해진다. 제73회에서 유비가 .. 2013. 2. 16.
관우와 방덕: 유사성격의 충돌 글: 염호강(閻浩崗) 관우의 장점과 약점에 대하여는 &lt;삼국연의&gt;의 연구자들이 이미 많이 얘기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관우성격의 최대특징은 바로 "지나친 자신감"이다. 이 특징은 그가 몇 가지 기적을 만들어내게 했다. 예를 들어 순식간에 화웅의 목을 벤 것이나, 안량, 문추를 벤 .. 2013.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