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021

옹정제(雍正帝)의 즉위에 얽힌 이야기 (2) 옹정제의 즉위와 관련하여서는 3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유조계위설(유조에 따라 황위를 승계받았다는 설), 둘째는 개조찬위설(유조를 고쳐서 황위를 빼앗았다는 설), 셋째는 무조탈위설(아무런 유조를 남기지 않았으며 황위를 빼앗았다는 설). 첫째, 유조계위설 이러한 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1) 옹.. 2005. 7. 24.
옹정제(雍正帝)의 즉위에 얽힌 이야기 (1) 강희제의 유조(遺詔) 강희제의 사후, 옹정제의 즉위에 관련된 이야기는 중국역사상 가장 치열하고, 가장 재미있는 황권다툼이라고 할 수 있다. 강희제는 종전에 차기 황제를 정하지 아니함으로써 야기된 문제를 고려하여, 황태자를 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만주족들은.. 2005. 7. 24.
강희제(康熙帝)의 즉위에 얽힌 이야기 강희제는 청성조(淸聖朝)이며 이름은 현엽(玄燁)이고, 순치 11년(1654년) 3월 18일생이다. 그는 8살에 등극하여 61년을 재위하였으며 69세에 사망하였다. 중국역사상 재위에 있었던 기간이 가장 긴 군주이다. 강희의 부친은 순치(順治)인데, 전설에 의하면 순치는 황제위를 버리고 오대산에 들어가 중이 되.. 2005. 7. 24.
순치제(順治帝)의 즉위에 얽힌 이야기 숭덕8년(1643년) 8월9일 청태종이 사망하였다. 청태종의 사망으로 다시 황제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되었다. 당시의 실력자들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친왕(禮親王) 따이샨(代善). 예친왕은 누르하치 사후에 실력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이유로 홍타이시에게 황제위를 양보한 바 .. 2005. 7. 24.
청태종(淸太宗)의 즉위에 얽힌 이야기 청태종의 이름은 홍타이시(皇太極)이며, 1592년 11월에 누르하치의 8째아들로 태어나서 1626년에 황제에 오르고, 1643년 9월에 사망하였다. 청태종은 황위를 노리기에는 여러가지 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았다. (1) 모친이 홍타이시 11세에 사망하였다. 그리고, 모친은 정식으로 대푸진(황후)가 아니었다. 홍타.. 2005. 7. 24.
소동파(蘇東坡)의 접연화(蝶戀花) 화퇴잔홍청행소(花褪殘紅靑杏小) 연자비시(燕子飛時) 녹수인가요(綠水人家繞) 지상유면취우소(枝上有綿吹又少) 천애하처무방초(天涯何處無芳草) 장리추천장외도(墻裏秋韆墻外道) 장외행인(墻外行人) 장리가인소(墻裏佳人笑) 소점불문성점소(笑漸不聞聲漸소[心+肖]) 다정각피무정뇌(多情却被無情惱.. 2005.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