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943

조조(曹操) : 칠십이의총(七十二疑塚) 조조묘의 위치도 조조는 아마도 <<삼국연의>>에서 가장 불공정한 대우를 받은 인물일 것이다. <<삼국연의>>에서 나관중은 조조를 성격상 의심이 많은 효웅으로 그렸다. 죽은 후에 자신의 묘가 원수들에 의하여 훼손될 것을 걱정하여, 죽기 전에 명을 내려 자기를 위하여 72개의 의총(疑.. 2006. 3. 1.
왕무음(王茂蔭): 마르크스의 <<자본론>>에 언급된 유일한 중국인 &lt;&lt;자본론&gt;&gt;에서 마르크스는 유일하게 중국인의 이름을 한번 거명한다. 그는 바로 청나라 때 휘주사람이고 일찌기 호부우시랑을 지낸 적이 있는 왕무음이다. 왜 마르크스는 그의 이름을 거론하였는가. 1. 마르크스는 &lt;&lt;자본론&gt;&gt;의 주석에서 청나라 관리와 그의 상소문을 언급한다. 마르.. 2006. 3. 1.
징기스칸의 묘는 어디에...? 내몽고박물관의 관장인 소청륭에 따르면, 징기스칸 묘의 확실한 위치는 중국과 세계의 고고학계의 괸심의 촛점이다. 현재, 당, 송, 명, 청의 황릉은 이미 다 찾았고, 일부 묘는 발굴을 마쳤다. 그러나, 원의 황릉만은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징키스칸의 능묘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므로, 진정한 의미에서.. 2006. 3. 1.
손자(孫子)와 손자병법(孫子兵法) 손자병법을 지은 손자가 실재인물인지 여부에 대하여 예로부터 여러가지 설이 존재하고 있다. 첫째, 가인위서(假人僞書) 손무(孫武)라는 사람과 손자병법은 원래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는 견해이다. 1200년에 남송의 군사연구가인 섭적(葉適)은 이렇게 단언했다. "손무라는 사람은 존재하지 않는다. 순.. 2006. 3. 1.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의 제거부분을 둘러싼 논쟁 제거전의 모습 제거후의 모습 청명상하도는 "중국제일명화"로 불리우는 대단한 그림이다. 이 그림에 대하여 서화감정가이면서 염황헌(炎黃軒)의 주인인 왕개유(王開儒)는 최근 이와 관련하여 재미있는 주장을 하나 펼치고 있다. 즉, 1973년 고궁박물원에서 청명상하도를 다시 표구하면서, "후대에 보완.. 2006. 3. 1.
마지막 황후 완용(婉容)의 최후 완용과 부의의 사진 청나라 부의의 부인인 마지막 황후 완용의 죽음에 대하여는 세가지 정도의 설이 전해지고 있다. 첫째, 부의의 견해 부의는 두번에 걸처 완용이 죽은 곳을 언급하였는데, 첫번째는 부순전범관리소에서 쓴 &lt;&lt;나의 전반생&gt;&gt;의 초고에서이다. 그는 "815이후 그녀(완용)는 비록 .. 2006.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