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이연명(李燕銘)
중국의 양회이후 지금까지 약 20일동안, 중국 군대내 고위층의 이상현상이 빈발하고 있다. 군사위부주석 허웨이둥(何衛東)등 시진핑의 적계장군들이 체포되었다는 소문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중국당국에서는 여하한 '해명'도 하지 않고 있다.
특히 중공당수 시진핑이 쿤밍(昆明) 주둔부대를 방문했을 때, 보기 드물게 군사위 부주석, 군사위 위원이 배석하지 않았다. 이런 여러가지 현상을 보면, 시진핑이 군권을 상실했다는 것이 이미 공개화된 것같다. 혹은 중남해 정치폭풍의 전주일 것같다.
- 시진핑의 쿤밍주둔부대방문, 군사위 위원이 배석하지 않았다.
CCTV의 보도에 따르면, 2025년 3월 20일 오전, 윈난(雲南)을 시찰하던 시진핑이 쿤밍에서 쿤밍주둔부대의 상교(上校, 대령)이상의 간부와 하층 선진모범, 문직인원대표를 접견했다.
CCTV화면을 보면, 남부전구사령원 우야난(吳亞男)이 접견에 참석했다. 시진핑을 따라온 사람은 이미 종샤오쥔(鍾紹軍)의 뒤를 이어 중앙군사위 판공청주임을 맡았다고 알려진 팡용샹(方永祥) 중장뿐이었다. 중공중앙군사위 위원은 한명도 배석하지 않았다. 특히 두 명의 군사위 부주석 장여우샤(張又俠), 허웨이둥은 한명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중국의 관방보도를 살펴보면, 시진핑이 국내의 한 군영으로 가서 시찰할 때는 거의 최소 1명의 군사위부주석은 배석했었다.
특히 군사위부주석 허웨이둥이 모습을 드러내서 '유언비어를 해소'시키지 않은 것에 외부에서는 특히 주목했다.
2. 군사위부주석 허웨이둥이 체포되었다는 소문이 나왔으며, 소문은 계속 커져가고 있다.
2025년 3월 13일, 현재 미국에 거주하는 전 중국의 매체인사 자오란젠(趙蘭健)이 SNS에 이렇게 폭로했다. 중국군대의 3인자이자, 중앙군사위부주석인 허웨이둥이 3월 11일, 즉 전국인대 폐막후 끌려가서 조사를 받고 있다고.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그의 베이징과 상하이의 주택도 압수수색을 당했다고 한다.
3월 19일, 자오란젠은 다시 SNS플랫폼 X에 폭로했다. 허웨이둥은 심장병이 돌발하여, 현재 301의원에 구금되어 치료를 받고 있다고. 전체 병실을 군대에서 봉쇄했고, 병사들이 엄밀하게 지키고 있다고 한다. 허웨이둥의 병세가 호전되면 징시빈관(京西賓館)으로 옮겨서 추가로 조사받을 예정이라고 한다.
자오란젠은 또한 중공중앙군사위총부는 이미 전면적인 정리행동에 들어갔으며, 허웨이둥이 군사위 부주석으로 재임하던 동안의 모든 문건, 발언, 사진과 영상자료를 정리하고 있으며, 군사위판공청에 통일적으로 보고하여 그의 영향을 철저히 제거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3월 21일 자오란젠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소식은 믿을만하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남경군구사령원을 지낸 총후근부의 전 부장 자오커스(趙克石)과 여러 명의 푸젠(福建) 출신의 장군들도 체포되었다고 한다. 자오란젠은 이렇게 말한다. 푸젠은 시진핑의 중요한 기반이고, 지금 푸젠계 장군들에게 집단적으로 사건이 발생하는 것은 시진핑이 옛날의 부하들을 철저히 버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혹은 군대내에 일부 반시진핑세력이 현재 시진핑의 직계인사들을 교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허웨이둥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가 최근 들어 당국의 3월 14일 베이징에서 거행된 <반국가분열법>시행20주년좌담회에 불참했고, 군사위위원, 군사위 연합참모부 참모장인 류쩐리(劉振立)이 그를 대신하여 출석했다. 그리하여 더 많은 추측을 불러 일으켰다.
3. 국방부장 동쥔이 국무원 전체회의에 불참했다.
허웨이둥, 전 군사위위원 자오커스가 체포된 외에, 중국의 국방부장 동쥔도 양회이후 비정상적으로 국무원 전체회의에 불참했으며, 지금까지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양회가 끝난 후, 2025년 3월 14일, 국무원총리 리창(李强)은 국무원전체회의를 소집주재했다. 다만 중공정치국위원, 국무원부총리, 중앙재정판공실주임 허리펑(何立峰)과 중국 국방부장 동쥔(董軍)이 이번 회의에 불참했다. 그리하여 외부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국무원 전체회의는 양회이후 최초로 열리며, 양회정신을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위 중요한 전체회의이다. 그리고 허리펑과 동쥔은 모두 작년의 같은 회의에 참석했었다.
2024년 11월 26일,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즈는 미국의 현임, 전임관료의 말을 인용해서, 중국군대지도층에 다시 부패스캔들이 일어났고, 당국이 동쥔에 대한 수사를 개시했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즈의 보도에 대하여, 외교부는 다음 날 정례기자회견에서 그건 '포풍착영(捕風捉影)"이라고 말했다. 그후 동쥔은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2024년 12월 5일, 동쥔은 상하이에서 제2기 기니아만안전형세문제세미나의 각국대표단 단장을 집단으로 접견했다. 12월중순, 동쥔은 베트남을 방문하고, 베트남 총서기 또럼(蘇林)을 만났다.
다만, 동쥔이 국무원전체회의에 결석한 후, 지금까지 1주일이 넘었는데 여전히 공개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
허리펑은 중공당수 시진핑이 푸젠에서 재직할 때의 심복이며, 시자쥔(習家軍)의 푸젠방(福建幇)에 속한다. 그는 정직조사중인 시진핑의 군대내 심복 먀오화(苗華)와 함께 시자쥔의 푸젠방 핵심요원이다. 동쥔은 이미 정직조사를 받고 있는 시진핑의 핵심심복 먀오화의 해군내 적계부하이다.
이틀 후, 허리펑은 연이어 모습을 드러냈다. 관영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3월 16일, 허리펑은 베이징에서 미국의 전 재무장관 폴슨을 접견했고; 3월 17일 시진핑은 꾸이저우(貴州) 첸동남부(黔洞南部)를 시찰했다. 중국의 관영매체 신화사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중앙서기처서기 차이치(蔡奇)와 허리펑, 중공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 정샨제(鄭柵潔), 꾸이저우성위서기 쉬린(徐麟)등이 배동했다.
4. 먀오화등 시진핑의 적계장군들이 양회에 불참하고, 장여우샤의 심복인 리차오밍은 모습을 드러냈다.
그외에, 양회에서, 여러 명의 시진핑의 적계장군들이 불참했다. 그러나 군사위부주석 장여우샤 및 그의 적계장군등의 동향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
2025년 3월 7일 오후, 중공당수, 군사위주석 시진핑이 14기 전국인대 3차회의 군대및무경부대대표단전체회의에 출석하여 발언을 했다. 군사위부주석 장여우샤, 허웨이둥, 군사위위원 류전리, 장셩민(張昇民)이 회의에 참가했다.
정직조사를 받는 군사위위원, 정치공작부주임 먀오화는 회의에 불참했다.
그외에 CCTV의 현장화면을 보면, 전국인대대표인 해군정위 위안화즈(袁華智)와 무경사령원 왕춘닝(王春寧)도 회의에 불참했다.
이전에 3월 3일, 중공14기 전국인대 3차회의의 군대및무경대표단성립때도 먀오화, 위안화즈, 왕춘닝이 모두 불참했었다.
2024년말, 중앙군사위의 상장승진 계급수여식이 베이징의 팔일대하(八一大廈)에서 거행된다. 신임 육군정위 친후이(陳輝)가 상장 계급을 받았다. 육군사령 리챠오밍, 전 육군정위 친슈퉁(秦樹桐), 해군정위 위안화즈 및 무경사령원 왕춘닝등 4명의 상장이 불참했다. 그리하여 4명이 조사받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게 된다.
먀오화와 친슈퉁은 모두 제31집단군 출신이고, 위안화즈는 먀오화의 해군내 심복부하이다. 3명은 모두 시진핑의 적계 장군들이다. 왕춘닝은 홍얼다이(紅二代)이고 오랫동안 남경군구에서 재직했다. 그러나, 리챠오밍은 군사위부주석 장여우샤와 관계가 밀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CCTV화면을 보면, 일찌기 사건에 휘말렸다고 알려진 육군사령원 리차오밍은 3월 3일, 3월 7일 군대및무경대표단성립대회와 전체회의에 모두 참석했다.
2024년 7월중순의 3중전회때부터 중국의 정국은 급변했다. 시진핑의 권력은 약화되고, 군대에 대한 통제권도 상실했다는 조짐이 날로 명확해지고 있다. 그러나 한때 로켓군과 장비부의 부패사건으로 처지가 미묘했던 장여우샤는 당당하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먀오화, 위안화즈등 시진핑의 군대내 적계장군들이 양회에 불참하고, 장여우샤와 관계가 밀접한 육군사령원 리차오밍은 양회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는 다시 한번 시진핑이 군권을 상실하고, 장여우샤가 실제로 군권을 장악하고 있다는 소문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5. 인대폐막때, 장여우샤는 시진핑을 등지고 고개도 돌리지 않았다.

전국인대가 2025년 3월 11일 폐막했다. 그날 자유아시아방송이 캡처한 폐막식에서 시진핑이 두 손을 계속하여 움직이는 화면 그리고 시진핑이 마지막에 퇴장할 때 전 홍콩행정장관 렁춘잉(梁振英)과 얘기를 나누는 장면이 나왔다.
전국인대회의에서 주석단의 두번째 줄에 앉는 사람은 정치국위원이다. 시진핑등 7명의 정치국상위가 한가운데 앉고, 나머지 사람들은 차례대로 양측에 앉는다. 중국의 '정치규칙'에 따르면, 퇴장때 먼저 시진핑이 몸을 일으키고, 두번째 줄의 뒤로 회의장의 우측으로 걸어간다. 두번째 줄에 좌석에 남아 있던 사람들은 일어서서 시진핑이 떠나는 것을 쳐다보며 배웅한다.
그런데, 영상을 보면, 여러 정치국위원들 군사위부주석 허웨이둥을 포함해서 모두 몸을 돌려 의자 옆에 서서 시진핑이 떠나는 것을 보고 있다. 오직 장여우샤만이 여전히 앞쪽 보면서 가방을 수습하고 시진핑이 등뒤로 지나가는데 몸을 돌리지조차 않았다.
2023년 로켓군과 총장비부의 부패사건이 터진 후, 장여우샤의 처지 및 시진핑과의 관계가 한때 여론의 촛점이 되었다. 2024년 3중전회이후 지금까지, 시진핑은 권력을 박탈당하고, 장여우샤는 군권을 장악했다는 소문 및 조짐이 연이어 나오고 있다. 민감한 시기에, 외부에서 주목하는 양회의 폐막현장에서 장여우샤가 혼자서 시진핑을 등지고 고개조차 돌리지 않았다는 것은 공개적으로 정치적 신호를 내보내는 것이 아닐까?
6. 장여우샤의 부하가 무경부대부사령원으로 부임하고, 중장으로 승진했다.
양회의 민감한 시기에, 대륙매체는 2025년 3월 10일 보도를 통해, 베이징시인대상위회대표명단을 내놓았는데, 푸원화(付文化)의 현직은 중공20기중앙후보위원, 무경부대 중장 부사령이다.
푸원화는 오랫동안 선양군구 제16집단군에서 근무했다. 그는 장여우샤의 부하이다. 장여우샤는 2007년 9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선양군구 사령원을 맡았다. 그동안 푸원화는 장여우샤에 발탁되어 사단장까지 승진했다. 그리고 일찌기 육군지휘학원과 국방대학에서 연구하고, 독일에 유학까지 다녀왔다.'
중공18대이후, 2013년말, 푸원화는 사단장을 맡고 있던 선양군구의 모 기계화보병사단이 여단으로 개편되며, 푸원화는 여단장이 된다. 2016년, 육군제54집단군 참모장으로 승진하여, 부군급이 된다. 2017년 3월, 중부전구 육군제81집단군 참모장이 되고, 2017년 7월에는 소장으로 승진한다. 중공19대이후, 장여우샤가 군사위 부주석으로 있을 때, 푸원화는 2020년 4월 베이징위수사령원으로 승진한다.
2024년말부터 지금까지, 무경사령원, 홍얼다이 상장 왕춘닝은 연이어 중국의 공안, 정법공작회의, 중기위전체회의 및 양회에 불참했다. 그가 이미 체포되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무경사령원 왕춘닝에게 사건이 터진 때, 장여우샤의 부하인 푸원화가 무경 부사령원이 되고, 중장으로 승진했다. 아마도 그가 실질적으로 무경부대의 군권을 장악했을 것이다.
결론
2023년부터, 지금까지. 시진핑의 군대내 심복 먀오화 등 고위장군들에게 연이어 사건이 터진다. 관련소식은 거의 모두 해외에서 먼저 폭로되고, 사후에 확인되는 식이다. 중공군사위부주석 허웨이둥이 체포되었다는 소식이 퍼진지 이미 10일에 가깝고, 해외에서는 소문이 계속 확대재생산되고 있는데, 중공당국은 지금까지 아무런 '해명'도 하지 않고 있다. 허웨이둥에게 사건이 터졌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2024년 7월 중순의 3중전회부터, 중국의 정치국면은 급변했다. 중공당수 시진핑이 위중하고, 정변을 당했다는 소문이 계속되었다. 시진핑의 권력이 약화되고, 군대통제권을 상실했다는 조짐이 계속하여 나타난다. 최근들어 다시 시진핑의 퇴위는 그저 발표만 남았고, 군권은 장여우샤가 장악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양회부터 지금까지, 군대고위층에 이상현상이 빈발하고 있다. 허웨이둥등 적계장군들에게 사건이 터졌다는 소식이 계속되는데, 장여우샤계열의 장군들은 승진하거나 공개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 선명하게 대비되고 있다.
특히 전인대폐막때, 장여우샤가 시진핑을 등지고 고개조차 돌리지 않았다; 시진핑이 쿤밍의 주둔부대를 방문하는데, 허웨이둥이 참석하지 않았고, 장여우샤도 배동하지 않았다. 이는 민감한 정치적 신호로 볼 수 있다. 여러가지 조짐을 보면, 시진핑이 군권을 상실했다는 것이 공개화되고 있다. 혹은 중남해에 중대한 정치적변동이 있을 것이라는 신호일 것이다.
'중국의 정치 > 중국의 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군대의 이상조짐 (0) | 2025.03.30 |
---|---|
허웨이둥(何衛東)이 체포되었는가? (0) | 2025.03.18 |
중국의 상륙강습부대: 타이완을 공격할 수 있을까? (0) | 2025.02.02 |
076강습상륙함으로 본 미중간의 군사력차이는...? (0) | 2025.01.13 |
홍군(紅軍), 팔로군(八路軍), 신사군(新四軍), 해방군(解放軍)의 구별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