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유비)

역사상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는 어떠했을까?

by 중은우시 2019. 7. 2.

글: 야독사서(夜讀史書)


<삼국연의>를 읽은 사람이라면 유비와 제갈량이라는 군신에 대한 인상이 아주 깊을 것이다. 유비는 일찌감치 사람들에게 '유황숙'으로 불리웠지만, 처지는 비교적 비참해서, 반평생을 여기저기 떠돌며 지냈다. 그리고 시종 자신의 근거지를 확보하지 못했다. 나중에 유비가 융중에서 '삼고초려'로 불세기재 제갈량을 모시고 난 후에, 제갈량의 보좌하에 유비는 신속히 굴기하여, 형주와 익주를 차례로 차지하고 촉한정권으 건립한다. 그리하여 북방의 조조, 남방의 손오와 삼족정립지세를 형성한다.


<삼국연의>의 묘사에서 우리는 유비가 제갈량에 대하여 그의 말이라면 다 들어주고, 제갈량은 유비에 대하여 국궁진췌(鞠躬盡疩)하였으며, 군신간의 관계는 더 이상 친밀할 수 없는 정도라고 여긴다. 그렇다면 문제가 있다. 역사상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는 <삼국연의>에서 묘사된 것처럼 친밀했을까? 아주 유감스럽게도 그렇지 않았었다.


역사상의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는 3개의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단계는 유비의 '삼고초려'로 제갈량을 하산하게 한 후, 제갈량이 유비를 위하여 천하형세를 분석하고, 저명한 '융중대'라는 전략구성을 제시했을 때부터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조조의 대군이 남하하고, 제갈량은 친히 강동으로 가서 손류연맹을 결성한다.


건안13년(208년) 십일월, 손류연합군은 적벽대전에서 조조를 대파한다. '적벽대전'이 끝난 후, 유비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무릉, 장사, 계양, 영릉등의 군을 차지한다. 그리고 스스로 형주목이 된다. 이때부터 천하를 떠돌아다니며 다른 사람의 아래에서 고생하던 시절은 끝이 난다. 이 기간동안 유비가 얻은 모든 성과는 자연히 제갈량에게 최고의 공을 돌려야 한다. 이는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에서 '밀월기'였다. 유비는 제갈량의 말이라면 다 들어주고, 제갈량은 유비를 위하여 국궁진췌했다.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에서 제2단계는 기간이 비교적 길다. 유비가 익주를 차지하겠다고 생각한 때부터 유비가 백제성에서 탁고(託孤)할 때까지이다. 많은 사람들은 유비가 성공적으로 촉에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주로 제갈량이 배후에게 계책을 냈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기실 이는 오해이다. 유비가 익주를 빼앗을 때의 주요 전략기획의 제정과 군사행동에 참여한 사람은 또 다른 제갈량과 나란히 이름을 덜친 모사 방통(214년 낙성을 공격할 때 전사). 그리고 유비가 익주와 한중을 취하는데 최고의 공신은 익주의 유장 진영에서 건너온 모사 법정(220년 병사)이다.


그렇다면 이 기간동안, 제갈량은 어디에 있었을까? 답은 2선에 물러나 있었다는 것이다. 유비가 매번 친히 군대를 이끌고 출정할 때면 제갈량을 후방에 남겨두었다. 다만 방통과 법정은 반드시 곁에 데리고 다니면서 계책을 내도록 했다. 이 점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유비가 제갈량의 충성심에 대하여는 아무런 의심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만 그의 군사분야에서의 능력에 대하여는 그다지 높게 평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적벽대전에서 백제성탁고까지의 십여년의 기간동안, 제갈량이 사서에 나타나는 횟수는 극히 드물다. 유비진영의 몇 차례 대규모 군사행동 예를 들어,유비가 친히 대군을 이끌고 동오를 공격한 때에도 제갈량은 아무런 의견을 내놓지 못한다. 말해야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아예 말을 하지 않은 것이다. 나중에 유비가 '이릉지전'에서 대패하자, 제갈량은 탄식하며 말한다: "만일 효직(법정)이 아직 살아있었더라면, 반드시 폐하의 동정을 막을 수 있었을텐데..." 제갈량의 이 탄식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당시 유비는 법정의 말을 들었다는 것이다. 법정이 병사한 후, 유비는 누구의 말도 듣지 않았다.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에서의 제3단계는 백제성탁고이다. 유비는 '이릉지전'에서 대패한 후, 몸과 마음이 지쳤다. 그리하여 금방 병으로 쓰러진다. 이때 유비는 자신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하여 후사를 안배하기 시작한다. 당시 유비의 장남 유선은 겨우 16살이었다. 아직 나라를 다스리는 경험이 부족하다. 그리하여 반드시 그를 위에 적합한 인물을 골라서 보정을 맡겨야 했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때 방통, 법정, 관우, 장비등 그가 믿을만한 인물은 모두 세상을 떠났다. 남아서 촉한의 기치를 들 수 있는 사람은 제갈량밖에 없었다. 그래서 유비는 할 수없이 제갈량을 선택하여 탁고한 것이다.


유비는 제갈량의 사람됨을 아주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이상이 있고, 책임감이 있는 인물이라는 것을 잘 알았다. 그래서 그로 하여금 유선을 보좌하게 하는 것이 확실히 가장 이상적인 선택이었다. 자신의 신임을 충분히 보여주기 위하여, 유비는 병상에서 제갈량에게 이렇게 말한다: "당신의 내증은 조비보다 열배이니 반드시 나라를 안정시킬 것이다. 만일 아들(유선)이 보좌할 만하면, 그를 도와 대업을 성취해주고, 만일 아들이 재목이 아니면, 당신이 그 자리를 차지해라." 당연히 유비가 한 말 중에 '만일 아들이 재목이 아니면 당신이 그 자리를 차지해라'라는 말은 진심이 아닐 것이다. 다만 책임감으로 똘똘 뭉친 제갈량에게 유비의 이 유언은 그에 대한 신임임과 동시에 천근의 무거운 부담이었다. 그리하여 제갈량은 나중에 <출사표>에서 이렇게 쓴다: "명을 받은 이래, 늦은 밤과 이른 아침에도 맡긴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선제의 영명함에 해가 될까봐 걱정했다."


이것이 바로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의 제3단계이다. 그리고 이들 군신이 마지막으로 만난 시각이다. 223년 6월 10일, 유비는 벡제성에서 병사한다. 촉한은 후주 유선의 시대로 접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