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과학

기술의 각도에서 인쇄사를 연구하고 분석한다: "직지심체요절에 대한 중국학자의 이론"

by 중은우시 2018. 10. 12.

글: 애준천(艾俊川)

2018년 9월 28일 <중국신문출판광전보>에 수록


인쇄사는 기술사이다. 연구하는 것은 고대 인쇄기술의 흥폐변혁이다. 그러므로 그 연구대상과 논증근거는 중요성에 따라 열거하자면 첫째는 당연히 인쇄도구이고, 다음은 기술설명이고, 그 다음이 인쇄완성품실물이고, 마지막으로 공법에 관계되지 않은 문헌기록이다.


먼저 예를 들어보자. 청나라 건륭제때의 무영전취진판(武英殿聚珍版) 인쇄는 먼저 목활자를 이용하여 인쇄문자를 배열하고, 다시 목조판(木雕版) 투인행격(套印行格)을 써서 독특한 특색이 있다. 우리가 이 기술을 연구할 때, 만일 목활자와 행격조판등 인쇄도구가 있다면, 이들 도구를 약간 이용하면 비교적 정확하게 그 기술특징과 공법프로세스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무영전취진판의 인쇄도구는 지금까지 남아있지 않다. 다행히 당시 이 일을 책임졌던 김간(金簡)이 <무영전취진판정식(武英殿聚珍版程式)>을 써서, 상세하게 취진판의 제판에서부터 인쇄까지의 전과정을 기록해두었다. 이 책을 보면, 우리는 기본적인 기술상황을 알 수가 있다.


만일 <무영전취진판정식>이 실전되었지만, 취진판 서적이 적지 않게 남아서 전해지고 있다면, 우리는 책의 판면특징을 분석하여 역으로 그 인쇄기술을 추론해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문자배열이 일렬로 고르지 않고, 먹색의 농도가 짙은 곳도 있고 옅은 곳도 있으면 이것이 활자인본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행격과 문자가 첩압(疊壓)되어 있으면 이것은 투인본이라는 것을 추론해낼 수 있다. 비록 전체 기술을 알아내는데는 부족할 지 몰라도, 개략적인 것은 알아낼 수 있다.


이들 책의 첫머리에는 모두 "무영전취진판"이라는 글자가 인쇄되어 있어, 문헌기록을 이룬다. 그러나 이 몇 글자를 가지고 무영전의 기술을 연구한다면, 심도깊게 들어갈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취진판'이라는 비유적인 명사는 기술적인 정보는 그다지 알려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영전취진판총서에 번번의 번각본(翻刻本)이 있는지, 매번 첫머리에 이 몇 글자를 적어넣었는지도 알 수가 없다. 만일 누군가 책에 쓰여진 "무영전취진판"이라는 기재만 보고 연구하는데, 그가 가진 것이 마침 번각본이라면, 그는 아마도 "취진판"이 "목조판"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내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남원북철(南轅北轍)이 된다.


번각으로 인한 내용의 진실성이 훼손되는 외에, 고한어는 미칭(美稱), 성어(成語)로 사물을 가리켰다. 그리하여 내용의 진실성이 문제되기도 한다. 두 가지 사례를 들어보기로 하자.


첫째는 북송초기, 조정은 사람을 조직하여 유가경전을 교감(校勘)하였다. 그리고 국자감이 간각(刊刻)하여 천하에 반행(頒行)했다. 바로 북송감본(北宋監本)이다. 돈전원외랑, 직집현원의 이직(李直)이 이 일에 참여한다. 당시 사람인 양억(楊億)은 이직에게 보낸 서신에서 이 일을 이렇게 찬양한다: "정석경지와천(正石經之訛舛), 누금판이유전(鏤金版以流傳)"(<답집현이둔전계>), <무이신집>권19) 만일 단지 '누금판'이라는 글자만 보면, 중국의 북송초기의 함평, 경덕연간(998-1007)에 서적을 대량인쇄하는 금속조판이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북송감본은 목판인쇄이다. 이거은 아주 명확하다. 양억의 '누금판' 운운은 그저 조판에 대한 미언(美言)일 뿐이다. 조정이 책을 내는데 대한 고귀함과 완미함을 송양하는 것일 뿐이다.


둘째는 청나라 도광연간, 복건사람 임춘기(林春祺)가 40만매의 동활자를 주조하여, 고염무의 <음학오서>등 몇 부의 책을 인쇄했다. 임춘기는 이를 위하여 <동판서(銅板敍)>를 썼는데 그 안에는 "세을유연자흥공전간(歲乙酉捐資興工鐫刊)"이라고 적었다. <시본음>의 권말에도 다시 "고민삼산림춘기이재연전(古閩三山林春祺怡齋捐鐫)"이라는 글자가 있다. 글자의 뜻만 보면, 이 40만매의 동활자는 모두 '전각' 즉 파서새긴 것이다. 그러나, 구리는 조각하기는 어렵고 주조하기는 쉽다는 특성에 들어맞지 않는다. 반길성(潘吉星) 선생은 이미 이 점을 지적한 바 있다. 분명히 주조 방식이었을 거라는 것이다. 여기의 동활자 인쇄서를 살펴보면 동일한 글자는 동일한 모자(模子)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확실히 주조이다. 임춘기의 소위 '전간'은 그저 조판시대의 상용명사를 차용한 것일 뿐이다. 그의 동활자 제작기술에 대한 진실한 기록은 아니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중국 내지는 동아시아 역사상, 여러가지 인쇄기술이 나타났는데, 인쇄도구, 기술설명이 남아있는 것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심지어 많은 기술은 인쇄완성품조차도 전해져 내려오지 않고 있다. 인쇄사연구는 문헌기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록은 왕왕 간략하거나 심지어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는 말이어서 연구를 오도하기도 한다. 그래서 사용할 때 반드시 조심하여야 한다. 인쇄사를 연구하면서 문헌을 인용할 때는 최대한 실물과 기타 자료를 결합하여 글자의 뜻을 판별한 후에 사용하여야 한다. 설사 이들 문헌자료가 실물 자체에서 나왔다고 하더라도


중국인쇄사에서 논쟁이 끊이지 않은 일부 이슈들은 왕왕 의미가 정확하지 않은 사료를 서로 다르게 해석하는데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오대(五代)의 "동판구경(銅版九經)", 명나라의 "활자동판(活字銅版)"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더 넓은 범위내의 인쇄사 연구에서, 문자자료에 편중하여 실물자료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소위 "한중인쇄술기원논쟁"에서 자주 언급되는 두 권의 책도 서증(書證)을 중요하게 보고, 실물연구는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들 부족한 점은 연구결과를 그대로 믿기는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그중 한권은 1966년 한국의 경주 불국사 석가탑내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다. 어떤 한국학자는 석가탑은 715년에 지어졌으므로, 석가탑내에 봉장된 경권간각은 반드시 그 이전일 것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그것은 8세기상반기에 신라의 인쇄품이라는 것이다. 나아가 세계에서 현존하는 최초의 조판인쇄품이라고 말한다. 중국학자들은 다수가 그것을 무주(武周, 무측천이 세운 주왕조) 장안2년 내지 4년(702-704)의 간본(刊本)인데, 중국에서 신라로 건너간 것이라고 본다. 이유는 경(經)에서 "무주신자(武周新字, 무측천이 새로 만든 한자)"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기실 이 두 가지 감정의 근거는 모두 불충분하다. 먼저 경에서 나타난 '무주신자'는 그저 이 경문본의 정리상한이 무주시대보다 앞설 수 없다는 것을 말할 뿐이지, 그 간각의 하한이 무주시대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아마도 후인이 무주시기의 문본을 근거로 간각 내지 번각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주신자는 비록 이미 폐지되었지만, 후세의 불교도들이 만일 무주시기의 문본을 바탕으로 했다면 일반적으로 불경의 글자를 함부로 고치지는 않기 때문에 그대로 새겼을 것이다. 다음으로, 석가탑은 비록 751년에 지어졌지만, 300여년후인 고려 현종때 중수(重修)되었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함께 출토된 일부 훼손이 심한 사본문서들이 있는데, 그중의 하나는 요성종 태평4년(1024)의 <석가탑중수기>이다. 2005년 한국학자들이 해석해냈는데, 글에는 중수후에 탑실에 안치해둔 물건을 기록하고 있다. 거기에는 두 권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있다. 그러므로, 현재 보는 이 경전은 아마도 1024년에 안치되어 들어간 것일 가능성이 크다. 그때는 이미 조판인쇄가 아주 발달한 시대이다(상세한 점은 신덕용 <중국인쇄사연구> 중 <한국경주불국사석가탑에 비장된 무구정광대다리경> 장을 참조하기 바람. 삼련서점, 2016년). 확실히,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대하여 서권실물을 가지고 그 자체, 종이등 기술특징을 분석하고, 여러 문헌기록을 결합하여 그 시대, 국별 및 원각인지 번각인지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이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는 이에 대하여 '세계최초의 인쇄품'인지 조판인쇄술의 발명지인지의 논쟁은 의미가 없다고 할 것이다.


또 한권의 책은 프랑스 국가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이다. 권후(卷後)에 "선광(宣光)칠년정사(正巳)칠월 일청주목외흥덕사주자인시(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라는 기록이 있다. 선광칠년은 1377년이다. 이 <직지>는 판면특징으로 보면 확실히 활자판이다. 여기에 '주자인'이라는 기록이 있으므로, 세계최초의 금속활자인쇄본으로 인정되었다. 중국의 인쇄사, 서적사 저작에서는 왕왕 이를 '동활자본'이라고 적고 있다.


실제로, 활자형태로 보면, <직지>를 인쇄한 활자는 한반도 고대의 동활자와 차이가 크다. 조선태종3년 조선내부(內府)에서 "계미자(癸未字)"(1403)를 주조하여 책을 인쇄하는데, 조선의 동활자인쇄본은 전해지는 본이 아주 많다. 동활자 실물도 보존된 것이 적지 않다. 그 자인(字印)은 모두 번사주조(翻砂鑄造)로 만든 것이다. 먼저 하나의 자모(字模)를 새기고, 그 후에 대량으로 번주(翻鑄)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인쇄완성품의 판면에 동일한 글자의 형태는 완전히 일치하게 된다. 모두 하나의 모자(模子)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동모주자(同模鑄字)는 고대 동활자본의 가장 중요한 인정근거이다. 하나의 책에 이런 특징이 있다면 그것은 동활자본이라는 증명으로 된다.


다만, <직지>를 인쇄한 활자는 그렇지가 않다. 이들 글자는 형상이 각각 다르고, 같은 것이 없다. 만일 그것을 주조했다고 한다면 그저 한 글자를 하나의 모자로 만들었다고 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당송이래 대량으로 복제하여 구리로 글자를 만들 수 있다는 인식과 당시의 생산실제와 들어맞지 않는다. 고대중국과 조선에는 모두 번사주전(翻砂鑄錢)기술이 있었다. 동전에도 문자를 주조해야 하고, 그 기술은 동활자를 주조하는데도 완전히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직지>를 제외한 조선의 고대동활자는 모두 번사주조이다. 1377년에서 1403년은 겨우 26년의 시간차이가 있을 뿐이다. 기술차이가 이렇게 크지는 않을 것이다. <직지>활자의 주조방법에 대하여 한국학자는 실랍법(失蠟法)으로 글자에 대하여 하나하나 납모(蠟模)를 만들어, 도범(陶范)으로 구운 후에 구리를 부어서 주조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업무량이 너무 많고, 비용도 너무 높다. 품질도 보장되지 않는다. 시간도 번사에 비하여 훨씬 길게 된다. 이렇게 할 합리적인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직지>는 동활자본이라는 것이 그 자체로 증명되지는 않았다. 글자를 한자한자 주조했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 그러므로 판면의 인쇄흔적으로 나타난 인쇄기술특징을 종합하여 진지하게 분석하여 그것이 어떤 활자를 사용하였는지 확정해야 한다. 소위 "주자(鑄字)"라는 것은 실지(實指)인지 허지(虛指)인지, 혹은 번인본이 원각본에 있는 글자를 그대로 쓴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먼저, 활자가 주조된 것인지 조각된 것인지를 판별해야 한다. 만일 확실히 주조한 것이라면 흥덕사에서 왜 글자 하나하나씩 모자를 만들고, 하나하나씩 이렇게 통상적이지 않은 기술로 활자를 주조했는지에 대한 합리적인 설명을 내놓아야 한다(실랍법 주조의 가능성은 아주 낮아 보인다. 그러나 완전한 목활자 세트를 가지고 금속활자를 주조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만일 조각한 것이라면 활자의 재질을 판별해야 한다. 금속인지 나무인지. 이에 대하여, 한국학자는 고배율현미경하의 묵흔(墨痕)을 분석해서 그것이 금속활자라고 주장했다.(조형진 <한중양국 고활자인쇄기술의 비교연구>). 이는 다시 어떤 금속인지의 문제를 남겼다. 명나라초기의 조선반도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동기주조에 청동을 썼다. 그러나 청동은 당시에 아주 견고한 물질이어서 양문소자(陽文小字)를 새기기 어렵다. 그리하여 이들 활자가 청동일 가능성은 아주 적다. 주석(錫), 납(鉛) 혹은 홍동(紅銅) 재질의 약간 무른 것이라면 새기기가 비교적 쉬울 것이다. 아마도 <직지>활자의 재질은 이런 금속일 것이다. 만일 그렇다면, 소위 "주자"는 임춘기가 말한 "전간"과 마찬가지로, 그저 다른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일 것이다. 기술설명은 되지 못한다. 결국 이 <직지>의 판면특징과 '주자'기재는 모순된다. 기실 한국학자들은 비록 이들 글자가 주조된 것이라고 보기는 하지만, 그 재질에 대한 판단은 비교적 신중하다. 그래서 <직지>를 금속활자인쇄본이라고 하면서 재질은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하에서, 우리가 연구에서 이 책을 직접 "동활자본"이라고 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불조직지심체요절>은 모두 중요한 초기인쇄품이다. 그리고 조판인쇄와 금속활자발명권논쟁에 관련된다. 당연히 과학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결론을 내려야 한다. 다만 현재 중국학자들의 연구는 모두 실물을 보지 못했고, 그저 문자기록에 근거하여 기술하고 있다; 한국학자의 연구는 비록 실물을 보기는 했지만, 위에서 제기한 문제에 분명한 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연구결과는 정설이 있다고 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 두 권의 책은 실물감정의 기초 위에서, 기술환원의 각도에서 더욱 심도있게 연구해 보아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