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지리

서안(西安)은 왜 수도의 지위를 잃었는가?

by 중은우시 2018. 2. 17.

글: 기점문사(起點文史)


중국에는 오대고도(서안, 낙양, 개봉, 남경, 북경), 육대고도(서안, 낙양, 개방, 남경, 항주, 북경), 칠대고도(안양, 서안, 낙양, 개봉, 항주, 남경, 북경)이라는 말이 있다.


오대고도이건, 육대고도이건, 칠대고도이건, 모두 서안이 들어간다. 왜 서안은 도성의 지위를 잃게 되었을까? 중국고대의 역대도성의 변화는 어떤 법칙을 따른 것일까?


주(周), 진(秦), 한(漢), 수(隋), 당(唐)은 모두 서안 혹은 낙양을 도읍으로 정한 통일왕조이다. 어떤 왕조는 두 개의 도성이 있었다. 즉 동도 낙양과 서도 장안이다. 다만 수나라때는 장안이 이미 도성으로 적합하지 않게 된다.


중국의 근 4000년의 기후변화는 중원기(中原期)에서 근해기(近海期)로 변화하는 과정이다. 남송은 이 변화의 전환점이다. 기후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근 4000년이래로 중국의 기후는 갈수록 추워지고 건조해졌다. 이것은 중고위도지역에서 더욱 명확하다. 특히 동남계절품이 거리체감의 영향을 받아, 서북에서의 영향이 갈수록 적어진다. 서북지구의 기후는 대륙성이 강해지고, 갈수록 건조해진다. 수자원도 점점 결핍되어 간다. 그리하여 역전불가능하고 회귀불가능할 정도가 된다.


서한과 당나라를 전체적으로 보면, 모두 비교적 온난하고 습윤한 왕조이다. 서북지구의 자연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았다. 장안은 이 왕조의 정치중심이 되는데 먼저 이런 자연환경의 배경하에서 결정된 것이다.


수,당 두 왕조는 모두 오랫동안 장안을 도성으로 정한다. 그러나 서북의 기후가 갈수록 건조해진다. 관중지구의 양식생산이 불안정한 현상이 나타난다. 관중의 물산은 이미 도성의 수요를 맞출 수 없게 된다. 장안 주변의 관중지구는 이미 도성의 생활물자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수나라가 대운하를 건설한 주요 목적은 바로 관동과 강남지구의 양식을 장안까지 운송해 오기 위한 것이었다.


(대운하는 단지 식량을 동도 낙양까지만 운송해온다. 그래서 당나라의 황제는 오랫동안 장안에 있었다. 수당은 기실 모두 양경제를 사용하고, 동도 낙양과 서도 장안을 둔다)


하남, 호북에서 섬서로 들어가려면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지세가 바뀐다. 그래서 조운(漕運)이 상당히 곤란하다. 위수(渭水)를 역류해서 가야하는데 중간에 자주 장애를 만나게 된다. 식량운송하는 선박이 자주 전복된다. 배가 하나 뒤집어 지면 전체 배의 식량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육로로 가지 않았을가? 말과 소가 끄는 수레로 양식을 운송하려면 수레 하나에 얼마나 실을 수 있었겠는가? 수량이 상당히 제한된다. 그외에 육로는 가기가 쉽지 않고, 행동이 느리다. 속된 마로 밤이 길면 꿈도 많다. 육로로 가다보면 도적을 만날 수도 있어서 양식손실이 비교적 많게 된다.


당나라이전의 진한시기에는 관중지구의 양식이 기본적으로 장안의 수요를 맞출 수 있었다. 양식 이외의 특산물자만 관동 혹은 강남지구에서 공급받으면 되었다. 국가재정에 있어서 이것은 그다지 크게 부담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당나라에 이르러, 조운과 동도 낙양에 의존하여, 억지로 장안은 수도의 지위를 유지한다. 그러나 송나라에 이르자, 장안은 더 이상 도성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오대(五代)부터 시작하여, 개봉은 이미 정치중심이 된다. 오대에는 후량, 후당, 후진, 후한, 후주가 있는데, 후당이 낙양을 수도로 정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개봉을 도성으로 정한다. 개봉은 변하(汴河)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서 조운의 중심지였다. 선박이 직접 도착할 수 있고, 교통운수가 매우 편리했다. 다만 개봉은 황하범람의 영향을 받기 쉬었고, 방어할만한 험준한 지형이 없었다. 그래서 개봉을 도성으로 하는 것은 십전십미(十全十美)한 일이 아니었다.


1368년, 주원장이 남경에서 황제에 오르고 국호를 대명이라 한다. 다음해 구월, 그는 신하들을 모아서 수도를 정하는 문제를 논의한다. 당시에 옃 곳이 후보로 올랐는데, 각각 장안(長安), 낙양(洛陽), 개봉(開封, 당시는 北京이라 불리웠다), 북평(北平, 지금의 북경), 임호(臨濠, 지금의 안휘성 鳳陽)이다. 주원장은 자신의 고향인 봉양을 수도로 삼고 싶어했으나, 유기(劉基)가 적극 주장하여 최종적으로 남경을 수도로 정한다.


주원장이 남경을 수도로 정한 것은 기실 여러가지 우려가 있었다. 남경은 동남연해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략적으로 보자면 전국을 통제하는 작용을 하기가 어려웠고, 귀퉁이에 앉아있는 것같은 태세라고 할 수 있었다.


그외에 북방유목민족인 몽골이 중원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한편으로 많은 병력을 북방의 장성일대에 배치해야 했고, 다른 한편으로 많은 병력으로 도성 남경을 방어해야 했다. 군사역량이 두 곳으로 나뉘어 있고, 많은 병력을 가지고 있는 변방의 장수가 만일 반란을 일으켜 군대를 몰고 내려오면 남경은 위험해 진다. 기실 나중에 연왕 주체가 정난지역을 일으킨 것은 바로 그가 북방에서 많은 병력을 거느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중에, 주원장은 한,당의 제도를 따라, 서안을 수도로 정할 생각을 한다. 1391년에는 태자 주표(朱標)를 보내어 삼진(三秦)을 고찰하게 한다. 그리고 장안으로 천도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했다. 그러나, 주표는 장안에 도착한 후 이미 시대가 변하였고, 관중지구는 이미 한,당시대의 관중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한다. 장안은 서쪽에 치우쳐 있었고, 부유한 경제중심지와도 거리가 멀었다. 조운이 아주 어려웠다. 장안은 그저 전략적인 장점만 있었지, 경제적인 장점은 없었다. 주원장은 할 수 없이 장안을 수도로 정하려던 계획을 포기한다. 나중에 주체가 정난지역을 일으켜서 성공적으로 황위를 찬탈하고는 도성을 남경에서 북경으로 옮긴다. 북경도 마찬가지로 조운이 필요했다. 다만 장안과 비교하자면 조운의 거리가 훨씬 짧고, 강남지구와 화북지구의 지세는 차이가 많지 않고, 물길을 역류해서 올라갈 필요도 없다. 그리고 북경을 수도로 정하면 효과적으로 북방유목민족의 기병이 남하하는 것을 방어할 수가 있다.


서안은 1391년에 다시 한번 수도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그 기회를 잃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