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언어

중국내에서 소실위기에 처한 수십종의 언어들...

by 중은우시 2017. 2. 26.

글: 풍인(馮茵), 계걸(桂杰)


2004년 2월 16일, 미국과학계의 가장 성대한 활동인 과학촉진회가 시에틀에서 거행되었다. 회의에서 예일대학과 조지타운에서 온 몇몇 과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현재 각종 언어가 급속한 속도로 '사망'하고 있다고. 이미 알고 있는 세계의 언어는 6000여종인데, 연구자들의 예상에 따르면, 21세기에 반수의 언어는 소실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현상은 20세기 30년대에 미국 일부 학자의 관심을 끌었다. 그들이 주목한 것은 미국의 인디안언어, 오스트레일리아의 토착어가 모두 대규모로 급속히 소실하는 것이었다.


2000년 유네스코의 <세계언어보고>에 따르면 중국에는 82종의 언어가 있다. 학술계에서의 추산에  따르면, 아직 계통적으로 조사연구되지 않은 언어까지 포함한다면 중국의 언어는 개략 120종에 이른다고 한다. 중국사회과학원 민족학및인류학연구소의 연구원이자, "소실위기언어연구"라는 책의 저자인 쉬스쉔(徐世璇)이 말한 바에 따르면, 현재 이 120종의 언어중 거의 절반이 쇠퇴상태이고, 수십종의 언어는 소실위기상태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혁철어(赫哲語)는 현재 본족언어로 교류하는 사람이 겨우 십여명의 60세이상의 노인들 뿐이다. 혁철어를 약간 말할 줄 아는 사람까지 포함하더라도 최대한 50명이 넘지 않는다. 만주어(滿州語)는 현재 약 100명만이 알아들을 수 있고, 약 50명의 노인은 아직 말할 줄 안다. 타타르어는 타타르족 총인구가 5,064명이다. 본족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1000명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선도어(仙島語)도 있다. 아창족(阿昌族)의 한 갈래족속이 사용하는 언어인데 사용인구가 약 100명가량이다. 


운남대학 민족사 박사생지도교수인 팡테(方鐵)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현재 기노(基諾)족의 언어도 사라졌다. 기노족은 약 2-3만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는데, 현재 이 민족은 이미 복수언어교육을 포기하고, 통일적으로 한어교육만 하고 있다. 전문가의 예측에 따르면, 20년후 이 민족의 언어는 철저히 소실될 것이다.


이들 언어가 소실되는 원인은 한편으로, 일종의 강세문화의 약세문화에 대한 충격이다. 난주대학에서 서북민속을 연구하는 방면의 전문가인 커양(柯楊)은 이렇게 말한다: "당시 민족언어에는 정치, 과학분야의 명사가 없다. 현재의 많은 현대어는 모두 한어의 단어를 빌려서 쓴다. 이들 민족언어의 사용범위는 아주 제한적이다. 많은 젊은이들은 이미 더 이상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이들 언어를 알고 있는 노인들 세대가 사망하고 나면, 언어는 전승될 방법이 없다. 점점 이들 언어도 소실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민족의 일종의 잘못된 언어관념에 기하는 점도 있다. 쉬스쉔은 이렇게 말한다: "많은 젊은이들은 모두 자신의 지방언어가 아주 촌스럽다고 여긴다. 그들은 비록 본민족 언어에 감정이 있지만, 현대사회와의 접촉에서 경제의 낙후로 본민족의 언어에 대한 자신감을 잃었다. 나아가 자신의 언어를 포기하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전문가들의 조사에 따르면, 경제가 발달하고 비교적 개방된 민족인 백족, 장족, 나시족등응은 인구가 교육받은 정도가 높고, 한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도 아주 많다.


대량의 언어가 소실하는 것은 민족문화의 소실도 가져온다. 팡테는 이렇게 말한다: "마르크스의 견해에 따르면, 언어는 한 민족의 가장 안정적인 요소이다. 한 민족의 언어가 일단 소실되면, 전체 민족도 소실된다."


운남대학에서 언어와 민족문화를 연구하는 목제홍(木霽弘) 교수에 따르면, "현재 민족언어는 이미 일종의 구해주지 않으면 안될 처지에 이르렀다. 일종이 언어의 소실은 하나의 물종의 소실에 못지 않은 사건이다."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들 소실위기의 언어는 대다수가 상응하는 문자를 갖지 못하고 있다. 다만 언어는 그 종족의 기억과 원류역사를 대표한다. 그들의 장기간의 생활에서 축적된 지식과 경험, 창작된 민간문학 예를 들어 산가, 전설, 정가를 모두 이들 구두언어에 보존하여 대대로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내려왔으며, 언어는 독특한 문화와 종족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표현형식이다. 언어구조자체이든, 아니면 언어에 포함된 문화내용이든 모두 풍부한 특성과 고귀한 문화가치를 지니고 있다. 일단 소실되면, 중화문화의 보고와 인류문명의 성과에서 중대한 손실이 될 것이다.


쉬스쉔은 말한다: 사람들은 의식해야 한다. 언어는 문화의 플랫폼이면서 문화의 구성부분이라는 것을. 동시에 그것의 중요성은 한 민족의 사고특성을 체현하고, 한 민족의 객관세계에 대한 인식을 체현한다는 것에 있다는 것이다."


2000년, 유네스코는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 및 다어종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매년 2월 21일을 세계모어일(母語日)로 정했다. 비록 금년의 세계모어일은 이렇게 조용히 지났지만, 언어연구방면의 전문가들은 세계소실위기의 언어를 보호하기 위하여 묵묵히 노력하고 있다. 


언어소실의 문제는 중국의 언어학자들이 일찌감치 관심을 가졌다. 다만 모두 자신의 언어연구영역에서 분산적으로 조사하고 정리했다. 전사회의 광범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20세기 80년대이후, 일부 언어쇠퇴추세가 갈수록 분명해지면서, 과거 일부 자각하지 못했던 개인행위가 점점 자각한 집단행동으로 바뀌고, 각 기구는 연이어 집단과제를 설정한다. 그리고 비교적 넓은 범위내에서 계통적으로 일부 소어종(小語種)에 대한 조사하고 분석연구했다. 1993년, 세계언어학자대회가 캐나다에서 개최되었다. "이렇게 규모가 큰 학술대회에서, 소실위기언어를 토론하는 것은 최초였다." 쉬스쉔의 말이다.


20세기 90년대중기이후, 국내외 소실위기언어의 현실상황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이 문제를 점차 중시하는 추세하에, 국내언어학계는 소실위기언어문제에 대한 인식이 점점 심화되고, 일치하여 소실위기언어자료를 보존해야한다고 여기며, 이는 언어학자들의 피할 수 없는 임무로 되었다.


현재, 유네스코는 이 임무를 지원하고 있다. 특별자금을 내서, 중국이 매년 두 종류의 소실위기언어를 연구하고 보호하는 것을 지원해주고 있다. 쉬스쉔의 소개에 따르면, 비록 현재와 과거를 비교하자면, 중국이 소실언어를 보호하는 방면에서의 업무가 이미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사람들의 사회문화의식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박약하다. 동북으로 가서 조사를 한 쉬 교수에 따르면, 일부 언어의 조사연구성과는 현재 일본으로 유실되었다. 알아본 바에 따르면, 작년, 전인대는 <중국민족민간전통문화보호법>을 초안했고,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언어에 대한 보호였다. 다만 이 초안은 계속 미뤄지고 통과되지 못했다.


연구자금의 부족으로, 연구업무의 전개도 큰 곤란을 겪는다. 쉬스쉔은 이렇게 말한다. 소실위기언어를 연구하려면 과제를 보고해야 하고, 매년 중화사회과학기금에 소수민족언어연구분야의 과제는 겨우 5개밖에 되지 않는다. 경비가 제한적이어서, 한가지 언어를 연구하는데 현지를 1번 방문하는 것만 허용된다. 통상적으로 현지에서 자료를 채집하고 돌아와서 정리하는데, 이렇게 정리과정에서 발견된 일부 문제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그러나 국외의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간 현지에 거주하면서, 한편으로 조사하고, 한편으로 연구하며, 동시에 일부 언어에 대한 보호업무를 전개하고 있다.


그 외에, 자금부족으로, 현재 채록해온 많은 자료를 사회과학원의 연구소에 놓아둘 수가 없다. 학자들은 국가언어문자박물관의 설립을 호소해왔다. '담나 10여년간 요구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다.' 그외에 국가에서 매년 승인하는 항목이 아주 적어서, 많은 학자들은 모두 일종의 만간자발의 조사방식을 취하고 있다. 쉬교수에 따르면, 이렇게 하는 것은 한편으로 조사결과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뿐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조사자료가 개인의 손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그외에 1950년대에 정리한 녹음테이프는 시간이 오래되어, 자기가 탈락되어 많은 자료는 이미 손괴되었다. 현재 새로운 기술로 자료를 복구할 수 있지만, 자금이 부족하여 하지를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많은 학자들은 소실위기언어를 구하자고 뛰어다니고 있다. 쉬스쉔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국가언어위원회와 관련부서 및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일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란다. 시급한 일은 관련 소실위기언어에 관한 중대과제를 설정하는 것이다. 경비를 투입하고 계획적이고 단계적으로 계통적으로 전국의 소실위기언어를 일제조사하고 보관소를 두어서 보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