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분석/황자쟁위술

[황자쟁위술] 양차동풍술(亮借東風術) 양자입승패(養子入承牌) 주신호편

by 중은우시 2015. 10. 11.

 

피동적으로 입적되는 경우도 있지만, 역사적으로 황제에게 황위를 넘겨줄 아들이 없는 것을 보고 양자로 들어가려고 한 소인도 적지 않았다. 그들은 혹은 배분도 무시하고, 혹은 권신, 훈척에게 뇌물을 바치기도 하며, 목적달성을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명무종 주후조는 비록 많은 후궁비빈을 거느리고 있었지만, 미복을 하고 황궁을 나가거나 외지를 순유하기를 좋아 했다. 그런데도 그는 자신의 뒤를 이을 아들 한 명이 없었다. 후계자가 있느냐 없느냐는 봉건시대에 나라의 안정에 큰 역할을 한다. 명무종의 양자로 입적되어 황위를 잇고 싶다는 생각을 한 사람은 적지 않았을 것이다. 그 중 영왕(寧王) 주신호(朱宸濠)는 가장 적극적으로 이를 행동에 옮긴 인물이다. 그는 주원장의 17째아들 영왕 주권(朱權)의 현손으로, 배분으로 따지면 명무종에게는 할아버지뻘이었다. 비록 역사상 태자(太子)이...외에 태형(太兄), 태제(太弟), 태숙(太叔)이 황위를 승계한 경우는 있지만, 조부(祖父)뻘의 인물이 대통을 승계한 경우는 듣도보도 못한 일이다. 그는 자신이 황위를 승계받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에 실망하였지만,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아들을 입양시켜 황위를 승계받도록 하려 했다.

 

그는 한편으로 회유와 협박을 병용하며 봉국(封國)내의 지방관리들을 자신의 편으로 만들고, 다른 한편으로 당무종에게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들을 회유하여 자신의 편으로 만들기 위하여 재물을 아끼지 않았다. 그에게 회유된 것으로 기록된 사람들 중에는 유근(劉瑾), 전녕(錢寧)과 장현(臧賢)이 있고, 병부상서 육완(陸完)도 있다. 그러나 이는 왕수인이 이끄는 관군이 남창에서 주진호를 격패시킨 후, 인심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주진호가 평소에 선물을 보낸 기록을 불사른 후, 사람들이 개별적으로 고발하여 알려진 경우이므로, 실제 주진호가 회유한 인물은 훨씬 많았을 것이다. 한번은 주진호의 주요 모사인 이사실(李士實)이 주진호에게 고관들 회유에 드는 돈이 너무 많다고 간언하자, 주진호는 이사실의 손을 쓰다듬으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들은 그저 나를 위해 보관해주는 것뿐이다.” 이를 보면, 주진호는 자신의 계획이 성공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것같다.

 

주진호가 회유한 인물들은 확실히 그를 위해서 여러가지 일들을 해준다. 유근같은 경우는 영왕의 계통에서 이미 폐지된 호위대를 부활하게 해주어, 주신호가 여러 망명객등을 휘하에 끌어모을 수 있게 해주고, 전녕, 장현, 육완등은 그가 모반을 꾀한다는 고발이 명무종에게 올라갈 때 그를 비호해준다.

 

그리고, 주진호는 명무종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여러가지 일들을 벌인다. 그 중 하나는 정덕9년 정월, 명무종이 등(燈)을 거는 것을 좋아하는 취미를 가진 것을 알고는 여러가지 새로운 모양의 사시등(四時燈) 수백개를 만들어 바치고, 사람을 보내어 궁안에 그 등을 걸게 한다. 비록 부주의하여 건청궁을 모조리 태워먹기는 하지만, 명무종은 아주 기뻐했다. 그는 봉지인 강서성의 백성들로 하여금 그의 효행을 칭찬하는 글을 조정에 올리도록 핍박하기도 하고, 전녕, 장현등으로 하여금 명무종의 면전에서 그의 효성과 근면함을 칭찬하게 하며, “주신호의 아들이 태묘에 향을 올리게 해달라”고 청하기도 한다. 명무종은 “이색용전(異色龍箋)”을 써서 하사글을 내린다. 관례대로라면 ‘이색용전’은 감국(監國)에 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한 가지 추가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주신호의 반란이 주유하기 좋아하는 명무종에게 소주항주를 다녀올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반란을 직접 진압하겠다는 명목을 내세워 대운하를 이용하여 남경으로 내려가는데, 도중에 온갖 도락을 즐긴다. 그리고 파양호에서는 이미 포로로 잡힌 주신호를 상대로 하여, 갑옷을 입고 칼을 찬 다음 황제가 직접 전투에 나서서 적의 우두머리를 체포하는 이벤트를 벌이고, 사관을 불러 이를 기록하게 한다. 그런데, 돌아오는 길에 황제가 타고 있던 배가 뒤집히면서 물에 빠진 생쥐꼴로 겨우 목숨은 구하지만, 이 때 놀란 것으로 그는 젊은 나이에 요절하고 만다.

 

명나라때 사람들이 기록한 것처럼, “황위를 노리는 자가 영왕 1인만이 아니었다.” 주신호는 황위를 노리면서 여러가지 활동을 했지만, 그것이 그의 잘못이라고 할 수는 없다. 황위를 계승할 사람이 없으면 국가를 안정시키는데 어려우며, 주씨황실에 불리했다. 다른 사람이 황위를 차지하게 놔두는 것보다는 주씨인 주신호가 차지하는 것이 낫다. 그러므로, 주신호의 모든 행위는 시대가 그렇게 만든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는 아들을 양자로 입적시켜 황위승계를 하고자 했는데, 그것은 태숙, 태자의 지위를 빼앗기 위하여 황태자와 황자들를 주살한 것과 비교하면 훨씬 낫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