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중기)

기효람은 왜 포송령을 적대시했는가?

by 중은우시 2014. 2. 1.

글: 이치아(李治亞)

 

같은 청나라의 문단 대가로서, 기효람과 포송령은 많은 명작과 명구를 남겼다. 기효람의 <열미초당필기>와 포송령의 <요재지이>는 모두 청나라때의 명작이다. 그런데, 기효람의 필기에는 포송령에 대한 극도의 분개함을 나타낸다. 이것은 또 무슨 이유에서일까?

 

원래 이런 사건이 있었다: 기효람에게는 4명의 아들이 있는데, 그중 큰아들의 이름은 기여길(紀汝佶)이다. 건륭 을유 거인이고, 후선지현(候選知縣)이다. 기효람은 그가 "어려서 아주 총명했다. 글을 많이 읽기도 전에 팔비(八比)를 지을 줄 알았다."라고 했다. 이를 보면, 만일 약간만 가르쳐 주었다면, 분명 국가의 동량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생각지도 못하게, 기효람은 이 때 큰 사건에 휘말린다. 건륭33년 육월, 기효람의 친척인 양회염정 노견증이 부정부패사건으로 삭탈관직당하고 조사를 받는다. 기효람이 사건에 이 일을 노견증에게 정보제공하여 재산을 빼돌리도록 했다는 이유로, 같은 해 십월, 우루무치로 유배를 간다.

 

부친이 집을 떠난 후, 기여길은 정신적으로 위축되고, 과거에 대하여 흥미를 잃게 된다. 그래서 시사(詩社)에서 시우(詩友)들과 어울리며, 공안파(公安派), 경릉파(竟陵派)의 시작에 빠진다. 기효람의 제자인 주자영(朱子潁)이 북경으로 가서 살펴볼 때, 마부인으로부터 조여길의 상황을 전해 듣는다. 그래서, 그는 기여길을 데리고 산동으로 갈 것을 제안한다. 마부인은 주자영이 기효람이 아끼는 제자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기씨집안을 잘 보살피고 있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기여길이 주자영을 따라 그가 거주하는 태안부(泰安府)로 가는데 동의한다. 기여길은 태안으로 간 후, 처음에는 사람들을 만족시킨다. 나중에 그는 친구로부터 <요재지이> 초본을 얻고, 단번에 그 사상내용, 뒤어난 예술수법과 사람을 감동시키는 이야기내용에 푹 빠진다. 당시, <요재지이>는 아직 간행되지 않았고, 기여길이 본 것은 초본이었는데, 손에서 놓으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밤낮으로 베껴쓰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런 류의 담호설귀(談狐說鬼), 지인지괴(志人志怪)의 이야기로 자신의 인생이상을 표현하는 작품를 흉내내어 쓴다. 그리하여, 거기에 푹 빠져서 헤어나질 못했다. 기여길은 '총명한 기반'이 있었다. 그러나, 괴이해졌다. 기효람은 항상 그에 대하여 마음을 놓지 못했지만, 멀리 신강에 유배가서도 계속 편지를 쓴다. 그에게 어떻게 처세하고 행동해야할지를 말해주곤 했다. 그러나 생각지도 못하게 기여길은 이때 죽어버린다. 나이 겨우 25살때였다. 여러해 이후, 기효람은 <열미초당필기>에 기여길의 사인을 생각하면서, 그가 <요재지이>를 읽어서, "잘못된 길로 들어서서, 빠져나오지 못하다가, 죽음에 이르렀다."고 결론내린다. 이를 보면 기효람의 마음 속에, 좋지 않은 책은 좋지 않은 친구와 마찬가지로 사람을 비명에 죽게할 수 있다고 생각한 듯하다.

 

기실, 기효람이 포송령을 적대시한데는 또 하나의 원인이 있다: 자신은 소년득지(少年得志)했다. 그는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서, 대대로 글읽는 집안이었다. 11살때 북경으로 가서 공부를 하고, 21세때 과겨에 합격하여 수재가 된다. 24살때는 향시의 제1등으로 거인이 되고, 31살에는 진사가 된다. 2갑 제4명이었다. 7등에 해당하는 성적이다. 그는 한림원에 들어가서 편수가 된다. 그의 일생에서 중요한 두 가지 업무는 바로 편수를 진행한 것과 과거를 주재한 것이다. 마지막 직무는 예부상서, 협판대학사, 가태자소보, 관국자감사이다. 이런 큰 재주를 지녔는데, 아들은 글에 관심이 없고, 다른 풀뿌리문인의 작품을 좋아해서 손에서 놓지를 않고 있다. 심지어 이로 인하여 목숨까지 잃었다. 이것은 당연히 기효람이 불만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문인상경(文人相輕)은 말할 것도 없고, 이 포송령이 자신과 대등한 인물은 아니라고 생각한 것이다. 소위 '엉덩이가 머리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두 사람은 서로 완전히 다른 사회적 지위와 인생의 처지를 보낸다. 그리하여 두 사람은 사회에 대하여 전혀 다른 태도를 보인다. 비록 이때의 포송령은 죽은지 여러해가 지났지만, 기효람은 여전히 잊지를 못하고 있었다. <열미초당필기>에서 스스로 이렇게 쓴다: "죽은 아들 여길은 건륭 갑자생이다. 어려서 총명했고, 글을 많이 읽기도 던에 팔비를 지을 줄 알았다. 을유년 향시에 합격하여 거인이 되었다. 그때부터 조금씩 시와 고문을 도야하였으나 아직 경지에 이르지는 못했다. 내가 군대를 따라 서역에 갔을 때부터 시사에서 선비들과 교유하고, 공안,경릉 앙파에 잘못 들어간다. 나중에 주자영을 따라 태안으로 갔고, 요재지이초본을 본다. 그때는 책이 아직 출간되기 전이었다. 잘못된 길로 들어서서, 빠져나오지 못하다가, 죽음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