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의학

웅담(熊膽)의 역사

by 중은우시 2012. 2. 27.

글: 유일정(劉一丁), 오붕(吳鵬)

 

사향노루에서 사향(麝香)을 얻고, 무소를 죽여서 서각(犀角)을 얻고, 살아있는 곰에서 웅담을 채취하는 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인가? 곰을 먹기 시작한 것은 수천년이 되었고, 웅담이 약으로 쓰인 것은 천여년이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이에 대하여 논쟁을 한 적은 거의 없다. 최근 들어 살아있는 곰에서 웅담을 채취하는 기업인 귀진당(歸眞堂, 구이전탕)이 상장을 시도하면서, 엄청난 민간의 반대에 부닥치게 되었다.

 

동물보호조직, 공중인물, 중의전문가, 법률가, 매체가 모두 논쟁에 가담했다. 한편은 법률의 틀 내에서 토론을 시도하였지만, 금방 이것은 무너져 버린다. 왜냐하면 이 논쟁은 이미 법률법규를 넘어선 것이기 때문이다. 동물윤리 및 동물복지의 범주로까지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인류가 털복숭이로 피를 빨아먹던 시대부터 자연을 탐색하고 자연을 정복해온 행위는 문명의 중대한 진보이다. 웅담이 약으로 쓰인지 천여년이 되었는데, 일찌기 선진문명으로 경전에 쓰여지기도 했었다.

그런데, 지금은 환경이 바뀌었고, 시대도 바뀌었다. 인류의 행위를 다시 한번 되돌아봐야 할 때이다. 웅담을 채취하는 것은 이미 현대문명과 배치되는 명제가 되어 버렸다.

 

문자로 기록된 인류발전역사를 보면, 인류와 동물의 관계는 대체로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정복자와 피정복자. 이용자와 피이용자.

당시의 역사시기에, 인류가 맹수인 곰을 정복하는 것은 자연을 정복하고 자연을 이용하는 하나의 진보였다.

"물고기는 내가 먹고 싶은 것이다; 웅장도 내가 먹고 싶어하는 것이다" 춘추전국시대의 맹자도 웅장(곰발바닥)을 고급식재료로 거명했다.

그후의 진, 한, 당나라등 각 왕조에서 곰은 천자와 제후들이 먹을 수 있는 기호음식이었다. 저명한 만한전석에도 '백팔웅장(白扒熊掌)"이라는 요리가 있다. 곰은 이미 음식문화에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되었고, 문명발전과 진보를 상징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곰을 죽여서 먹기 위하여 적지 않은 요리사들이 목숨을 잃어야 했다.

 

웅담(곰쓸개)을 약으로 쓰는 것이 <황제내경> <상한론> <금궤요략> <온병조판>의 중의 4대전적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659년이 되어 당나라때 <신수본초(新修本草)>에서 처음으로 웅담이 언급된다. 주로 황달을 치료하는 약재였다.

당시 곰을 잡아서 웅담을 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진귀한 약재로 여겨진다. 웅담을 위조하는 일은 자주 발생한다. 일찌감치 진위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었다. 송나라때의 약물학자인 소송(蘇頌)은 이렇게 말했다: "웅담은 그늘에서 말려서 쓴다. 그러나 가짜가 많다. 그러나, 좁쌀정도의 물방울에 넣어서 선이 흩어지지 않으면 진짜이다."

 

명나라때의 이시진(李時珍)도 사람들에게 웅담의 진위를 판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그러나, 각종 약전에서 웅담은 생사에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 약방에 들어가지 못했다. 대부분 간, 안질을 치료하는데 쓰였다. 좋은 약이 모자라던 고대에, 구하기도 어려우니 웅담은 가격이 매우 비쌌다.

 

"살아있는 곰에서 웅담을 채취하는 방법"이 발명되기 전에는 모두 곰을 죽여서 웅담을 취했다. 검은 곰을 마취시킨 후, 쓸개를 잘라서 철관을 꽂아 담즙을 뽑아냈던 것이다.

1983년, 북한에서 "활웅취담(活熊取膽)"의 기술을 발명한다. 이 기술은 길이 10-20센티미터의 금속관을 이용하여 복벽을 뚫고, 직접 쓸개에 꽂아서 담즙을 채취하는 것이며, 하루에 두번씩 채취한다.

이 기술은 점차 북한에서 창춘(長春)등지로 알려진다. 창춘 위수시 칭산향의 그의 모든 촌에는 농민들이 곰을 양식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곰을 가둬서 번식시키는데 성공하면서, 담즙을 뽑아내는 기술등도 발전하기 시작한다. 상처가 아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람들은 계속하여 상처를 건드리고, 곰이 금속관을 뽑아내지 못하도록, 10킬로그램의 쇠틀을 입힌다.

곰양식장이 나타나면서 객관적으로 야생곰을 사냥하는 일은 줄어들었다.

그후에 다시 "자체조직조루인류기술(自體組織造瘻引流技術)"이 나타난다. 이것이 바로 중의약협회에서 '곰이 심지어 아주 편안하게' 여긴다는 무관인류(無管引流)이다.

이 방법은 창자외피를 이용하여 곰의복부에 육관도(肉管道)를 뚫어 직접 담낭에서 흘러나오게 하는 것이다.

 

1996년 임업부는 통지를 내러서, 곰양식장은 반드시 '무관인류'를 하도록 요구한다. 설비와 기술이 불합격된 곰양식장은 기한을 정해서 개선하게 하였고, 기한내에 개선하지 않거나 불합격한 경우에는 단속을 했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곰에게 고통을 줄여주지는 못했다. 곰의 복벽에 장기간 개방성 상처가 있으면 쉽게 감염되고, 피부에 궤양이 일어난다. 담낭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기구는 복강을 직접 뚫고 들어가서 간장파열이 일어난다. 보도에 따르면, 거의 모든 '웅담을 채취당하는' 곰들은 고개를 계속 흔드는 병을 앓는다고 한다.

 

학자인 탕시양(唐錫陽)은 일찌기 동물복지의 개념을 알았다. 1996년, 그는 '활웅취담'의 회의에 참가한다. 그는 회의에서 국외에서 어떻게 동물복지를 보증하는지를 소개한다.

미국의 어떤 주는 살아있는 동물식품의 매매를 금지한다; 독일은 살아있는 물고기를 사서 집으로 가려면, 반드시 비닐봉지에 물을 넣어야 한다, 그리고 공기를 제공해주는 약을 한 알 넣어주어야 한다.

"동물복지"의 이념은 19세기 유럽에서 형성된다. 그것은 동물에게 5가지 방면의 자유를 보장해주는 것이다: 기아에 허덕이지 않을 자유; 편안하게 생활할 자유; 고통, 상해 질병을 받지 않을 자유; 공푸감과 우려가 없을 자유; 천성을 나타낼 자유.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반대의견을 내놓는다. 그들은 만일 동물복지를 보증하려면, 이들 곰들을 구하려면 당연히 식탁위의 닭, 오리, 돼지, 양도 구해야 하지 않겠는가?

탕시양은 말한다. 인류와 동물간의 식물사슬관계는 확실히 회피할 수 업삳. 동물복지를 보증하는 것은 이 전제하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어쌨든 사람들에게 풀만 먹으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동물복지에서 보증하고자 하는 것은 동물이 불필요한 고통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살하더라도 인도적으로 애햐 한다. 다른 돼지들이 돼지가 도살당하는 것을 보지 못하게 하고, 전기충격을 통하여 몇초만에 사망하게 하는 것등이다.

 

현재 세계에는 100여개의 국가에서 동물복지법을 내놓았다. 독일의 민법에는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법률의 보호를 받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법학연구소 부연구원인 허하이런은 이런 선진적인 법조문을 중국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한다. "동물입법이 늦어지고 있는 것은 결국 일부 사람들이 이런 동물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너무 이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허하이런은 말한다. 동물복지는 동물권리와는 다르다고. 소비과정에서 동물의 고통을 감소시키는 것이며 그래서 동물입법은 필요하다고.

 

웅담의 주요 효능은 '평간(平肝)', '명목(明目)', 청열해독(淸熱解毒)이다.

중의약전문가인 류정차이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중의로 40여년을 있었지만, 웅담을 써본 적이 없다. 현재 우리는 50여종의 중초약 및 인공합성약품으로 웅담을 대체할 수 있다. 효과는 같다. 더 이상 곰들이 고통을 당하게 할 필요가 없다."

선양약과대학의 전 부총장인 장치도 이런 견해이다, 그리고 1983년에, 국가위생부의 비준을 받아서 '인공웅담'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웅담의 유효성분은 우르소덱스옥시콜산이다. 이런 화합물질은 염증과 세균감염등의 여러 병세의 치료에 사용된다.

2006년, '인공웅담의 배합처방 및 기법'은 국가의 발명특허를 받는다. 이는 중국의 혁신제품이 되고, 완전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한다. 현재 이미 국가약품평심센터에 보고되어 국가의 평심을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국가약전위원회 위원이며, 북경중의약대학의 가오쉐민 교수는 다르게 생각한다. 웅담이 약으로 쓰인지는 중국에서 이미 천년이상의 역사가 있고, 지금까지도 임상에서 불가결한 것이며, 종합적인 효능은 다른 약물로 대체할 수 없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주로 상업이익과 사람들의 전통관념영향으로 웅담을 먹는다고 본다.

 

안후이의과대학의 교수인 주슈센은 이렇게 말한다. 실제로, 예로부터 지금까지, 중의가 약방을 낼 때 웅담을 쓰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웅담속의 우루소덱스옥시콜산은 합성이 가능하다 그런데 왜 살아있는 곰에게서 웅담을 채취햐야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