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초기)

오패부(吳佩孚): Biggist Man in China

by 중은우시 2011. 4. 4.

글: 유계흥(劉繼興)

 

 

 

 

오패부는 북양군벌중에서 보기 드문 수재(秀才, 과거최종합격자) 출신이다. 그는 유장(儒將)의 풍모를 다분히 지니고 있었으며, 당시 사람들이 오대수(吳大帥)라고 불렀다. 그는 세계적인 영향력을 지닌 Time지의 표지인물이 된 첫번째 중국인이다. 1924년 9월 8일자 Time지에서는 그를 "Biggest man in China(중국최강자)"라고 불렀다.

 

당시, 오패부는 북양정부가 부여한 장군부 '부위상장군(孚威上將軍)'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직계군벌중 최다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가 보유한 병력은 수십만으로 낙양에 근거지를 두고 있어, 당시 실력이 최강이며 지배하는 지역이 가장 넓은 실력파였다. 그의 세력범위는 거의 중국전역의 절반에 걸쳐 있었다. 사람들은 오패부의 장래를 좋게 보았고, 상해의 영문잡지 <Millard's Review(密勒氏評論報)>의 편집인인 미국인 존 파월을 심지어 그를 '다른 어느 누구보다도 중국을 통일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오패부는 산동성 봉래 사람이다. 그는 당시 중천에 뜬 해와 같았고, 원세개의 사후에 벌어진 직계(直係, 직예), 봉계(奉係, 봉천), 환계(係, 안휘)의 각축을 벌이는 두 번의 전투를 통해서 두각을 나타냈다. 1920년 오패부는 직환전쟁에서 환계를 격파하니, 권력이 중앙을 좌지우지했다. 1922년 4월말에서 6월초까지의 제1차직봉전쟁이 발발하고, 오패부는 직군총사령관을 맡아 다시한번 장작림의 12만 봉군을 물리친다.

 

누가 알았으랴. 오패부가 미국 타임지 표지인물이 된지 1주후인 9월 15일, 장작림이 15만을 이끌고 산해관, 적봉, 승덕으로 군을 나누어 진격했고, 조곤은 오패부를 토역군총사령관에 임명하여, 20만의 병력을 이끌고 맞이한다. 제2차직봉전쟁이 발발한 것이다. 10월, 오패부가 친히 10만대군을 이끌고 격전을 벌일 때, 오패부가 자신의 사람을 배제한데 불만을 품은 직계 제3군총사령관 풍옥상이 돌연 후방의 3만인마를 이끌고 열하에서 철수한다. 그리고 직계군벌의 장수인 호경익, 손악이 반대편에 가담해서, '북경정변'을 일으키고, 조곤을 구금하여 직계의 중앙정권을 전복시킨다. 직계의 내분은 직접적으로 제2차직봉대전의 참패를 가져오고, 11월 직계군대는 궤멸하고 만다.

 

오패부는 '시대의 총아'에서 졸지에 인생의 바닥으로 떨어진다. 잔여부대 2천여명을 이끌고 천진으로 패주한다. 수로로 배를 타고 남쪽의 무한으로 도망칠 계획이었다. 가는 길에 염석산, 풍옥상 및 봉군의 추격을 받는 외에, 산동독리, 호북독군등도 그가 들어오는 것을 거절한다. 나중에는 호북과 안휘의 경계인 계공산으로 피난한다. 그동안 풍옥상으로부터 1달간의 포위공격을 받고, 단기서는 이 기회를 틈타 사람을 보내어 그를 암살하려 한다. 오패부의 머리카락은 졸지에 하얗게 세어버린다.

 

오패부에게 위험이 계속하여 닥치는 와중에 1925년봄, 절강, 강소, 호남의 세 성의 독군인 손전방, 제섭원, 조항석은 연명으로 오패부에게 전보를 보내어 여전히 그를 따르겠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오패부는 '결천호'와 '예촉호'의 두 군함을 끌고 악주의 조항석에게 간다. 10월 손전방이 반봉전쟁(反奉戰爭)을 일으킨다. 북방군벌이 혼전에 빠진 틈을 타서, 1926년 7월, 남방국민혁명군은 장개석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북벌을 선언한다. 오패부는 호남호북에 있어, 북벌군의 첫번째 목표가 된다. 정사교, 하승교, 무창의 혈전후, 오패부의 병력은 호남호북에서 패배한다. 장개석, 풍옥상의 추살을 피하기 위하여, 오패부는 그의 은혜를 크게 입은 바 있는 사천군벌 양삼에게 전보를 보낸다: "나는 이미 더 갈 곳이 없다. 네가 허락하든 말든, 나는 사천으로 들어가는 수밖에 없다." 이후 오패부는 사천으로 망명하여, 양삼의 비호를 받는다. 1931년봄, 장개석은 자신의 정권이 공고해지자, 오패부가 사천을 떠날 수 있도록 허락한다. 오패부는 여러번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이미 뜻을 꺽었다. 4년간의 유랑생활을 끝낸 후, 그해 가을, 장학량이 그를 조카신분으로 북경으로 요청하여 거주케 한다.

 

1935년 10월, 일본이 소위 화북자치운동을 벌인다. 일본인 및 한간(漢奸, 매국노)은 여러차례 오패부를 찾아와서 참여해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오패부는 단호하게 거절하고 움직이지 않았다. '칠칠사변'후 북경이 위급해진다. 오패부는 남으로 도망치는 것을 거부하고, 거실의 벽에 관우와 악비의 화상을 걸어 자신의 뜻을 나타낸다. 죽어도 일본인에게 협조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나타낸 것이다. 오패부의 수행원이자 영문통역이 진문회의 회고에 따르면, 북경이 함락된 후, 일본에 투항한 강조종이 오패부에게 투항을 권했다. 그러나 오패부는 그를 욕하며 말했다: "너는 나이가 나보다 많은데, 일본인의 주구가 되어 나라를 팔아먹고 부귀영화를 누리려 하는가. 정말로 백발이 창창한데 늙어서 죽지도 않는 자로다." 그리고는 강조종과 절교한다.

 

1939년 12월 4일, 평생을 군인으로 보낸 오패부는 이빨질환이 재발하여, 열이 내리지 않았다. 일본의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은 후 급사한다.

 

동필무는 <일본기도반신괴뢰>라는 책에서, 오패부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군벌로서 오패부는 두 가지 점에서 다른 군벌들과 구분된다. 첫째, 그는 평생 중국역사상 위대한 인물인 관우, 악비를 존경했다. 그는 실패했을 때도 외국으로 나가지 않고, 조계에 거주하지도 않았다. 둘째, 오씨는 수십년간 관직에 있으면서 몇 개성의 지역을 통치하였고 수십만의 대군을 지휘한 바 있으나, 그는 개인적인 축재를 하지 않고, 전답을 사모으지 않았고, 청렴한 것으로 유명했다. 그와 같은 시기에 활동하던 군벌들이 엄청난 돈을 끌어모은 것과 비교하면 보기드물게 훌륭한 사람이다."

 

오패부의 청렴과 정직에 대하여는 상해의 <민생>잡지가 1939년 창간호에서 이렇게 묘사한 바 있다: 그는 비록 요직에 있었지만, 성격이 강직하고, 청렴하였고 스스로의 분수를 지켰다. 그는 부하들과 동감공고(同甘共苦)했다. 그의 의복을 말하자면, 재직시에 반드시 갖추어야할 몇 벌의 군복을 제외하고, 양복이나 중국옷이 한 벌도 없었다. 그의 의복의 옷감은 모두 국산이고, 외제는 하나도 없었다. 집안의 가솔들도 마찬가지였다. 양복은 오장군이 한번도 입어본 적이 없다. 그의 권세는 비록 대단하였지만, 자신과 가까운 사람을 임용하지는 않았다. 일찌기 이런 명을 내린 바 있다. 봉래의 오씨성은 오세이내는 자신의 곁에서 관직을 얻을 수 없다고.

 

재미있는 일은, 오패부가 관직에 있을 때 3건의 결재를 한 게 있는데, 그 내용이 무릎을 칠 만하다는 것이다.

 

첫째는 한 정객이 어느 지방에서 관직에 있었는데, 업적도 없고 명성도 좋지 않았다. 그는 오패부가 직예, 산동, 하북의 권력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관계를 동원하여 오패부에게 하남의 어떤 관직을 부탁했다. 보고서가 오패부의 탁자에 올라왔다. 오패부는 이를 보고 이렇게 답변한다: "예민하고(豫民何辜)?" 내용인 즉슨, 하북의 백성들이 무슨 잘못이 있단 말인가라는 것이다. 즉, 하북백성이 무슨 잘못이 있어서 이런 나쁜 관리를 맞이해야한단 말인가라는 뜻이다. 관리가 지방에 부임하면 그 지방에 복이 될 수도 있지만 그 지방에 화가 될 수도 있다. 오패부는 추천한 사람의 체면을 봐주지 않았고, 에둘러 표현하지도 않았다. 그저 백성의 입장에서 늠름하게 거절한 것이다.

 

둘째는 은퇴한 장교가 오패부의 부대에 여단장 자리가 하나  비어있는 것을 보고, 모수자천으로 자천서를 써서 자신이 어떤 포부를 품고 있는지를 쓴 다음 마지막으로 "군인으로서 공로를 세운 다음에 갑옷을 벗고, 고향에 은거하여 나무를 심어 후세인들에게 좋은 일을 하겠다"는 등의 내용을 적었다. 오패부의 회신은 다음과 같았다: "차선종수(且先種樹)" 먼저 나무나 심으라. 그는 뜻은 크게 지녔지만 재주를 갖추지 못하고 스스로를 자랑만 하는 자들에게 오패부의 회신은 정곡을 찔렀다. 네가 백성을 위하여 나무를 심어서 봉사하려는 생각을 지니고 있다면 먼저 고향으로 가서 나무부터 심은 후에 보자.

 

셋째는 더욱 재미있다. 당시 독일주중공사의 딸이 묘령이었는데, 오패부를 사랑하게 되었다. 혼자서 상사병을 앓다가, 그녀는 직접 오패부에게 서신을 보내어 구혼한다. 오패부는 독일어를 몰라서, 비서에게 번역하여 올리라고 지시한다. 러브레터가 공문으로 변질된 순간이다. 오패부는 다 읽고는 회신을 했다 : "노처상재(老妻尙在)' 늙은 마누라가 아직 살아있다. 그는 처를 핑계로 서양여인의 구혼을 거절했다.

 

매번 그는 회신할 때마다 많지도 적지도 않은 4글자였다. 그런데, 그 글자는 한자 하나가 천근의 무게를 지녔다. 풍취가 넘쳤다. 오패부의 이 세 건의 회신은 간결하면서도 유머스럽다. 그에게 뛰어난 문장재능이 있음을 드러낸다. 그에게는 사랑스러운 점이 있다는 것도 보여준다. 그가 수재의 자격을 갖춘 것이 그냥 얻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오패부의 서신도 회신만큼 재미있다. 그의 한 동창으로부터 편지를 받았는데, 그의 부대내의 군수부분에서 소장(所長) 자리를 달라는 것이었다. 오패부는 회신에서 이렇게 말한다.

 

소장필유소장(所長必有所長)  소장은 반드시 뛰어난 점이 있어야 한다.

형지소장하재(兄之所長何在)   형의 뛰어난 점은 어느 분야인가?

 

그 동창은 가망이 없다고 느끼고 포기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