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건륭제)

건륭황제와 시(詩)

by 중은우시 2010. 3. 12.

글: 유계흥(劉繼興)

 

많은 사람들은 육유(陸遊)가 중국에서 시를 가장 많이 쓴 시인으로 알고 있다. 그는 85세까지 살면서 근 만 수(首)의 시를 지었다. 평균 3일에 1수씩 쓴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에서 시를 가장 많이 쓴 사람은 청나라때의 건륭황제이다. <<사고전서간명목록>>에 따르면, 건륭의 어제시(御製詩)는 모두 4집(集)이 들어 있는데, 초집에는 4150여수, 이집에는 8490수, 삼집에는 11620수, 사집에는 9900수로 4집을 모두 합치면 34,160여수에 이른다. 이것은 집에 수록된 것이고, 그의 일부 시들은 어제시집에 들어있지 않다.

 

그렇다면, 건륭제는 일생동안 도대체 몇 수나 시를 지었을까? 일설에는 39340수라고도 하고, 다른 일설에는 43000수라고도 한다. 이 두 숫자는 어느 것이 맞든지 간에 모두 역사상 시를 많이 쓰기로는 2위를 한 육유의 시의 총수보다 훨씬 많다. 그래서 건륭제는 시의 다작 방면에서 부끄럽지 않은 챔피언이다. 그리고 2위와는 차이가 한참 벌어져 있다. <<전당시>>에 수록된 모든 시인의 시를 합치더라도, 건륭황제 1사람이 쓴 시만큼이 되지 않는다.

 

이같은 놀라운 수량은 건륭황제를 중국역사상 시를 가장 많이 쓴 사람으로 만들었을 뿐아니라, 전세계 고금이래로 시를 가장 많이 쓴 사람으로 만들었다. 그런데 안타까운 일은 건륭황제가 일생동안 그렇게 많은 시를 지었는데, 후세인들이 기억하거나 외우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어떤 버전의 중국시가사에 관한 책에서도 역사상 시를 가장 많이 지은 이 황제를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것도 하나의 기적이다. 아니 오히려 하나의 우스개이다.

 

청나라때 사람인 심덕잠(沈德潛)에 따르면, 건륭황제 본인은 이미 상당한 정도로 한화(漢化)되었고, 시사가부, 금기서화에 모두 능통했지만, 그 조예는 일반적인 수준이었다고 한다.

 

심덕잠은 강소 장주(지금의 소주)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집안이 가난했고 23세부터 부친의 가업을 이어받아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40여년간 서당선생으로 있었다. 이렇게 처지는 고달펐지만, 그는 학문을 포기하지 않았다. 살면서 시간이 나면 열심히 글을 읽고, 22세에 과거에 참가하기 시작하여, 그는 모두 17번이나 과거에 참가한다. 결국 건륭4년(1739년)에 비로소 진사가 된다. 이때 그의 나이 67세이다. 이때부터 관리가 되어, 건륭황제의 총애를 받는다. 그의 관직은 내각학사 겸 예부시랑에 이른다. 77세에 관직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조정에 있는 기간동안, 그의 시는 건륭황제로부터 인정을 받았고, 자주 궁궐을 드나들면서 건륭제와 시사에 대하여 논했다. 건륭황제의 일부 시는 심덕잠이 도와서 '완성'해준 것이다.

 

어느해 겨울, 건륭제와 심덕잠등 사람들은 함께 항주 서호로 갔다. 마침 눈이 내렸다. 눈꽆이 바람이 휘날려 춤을 추는 것같았다. 이를 보자 시흥이 일었다. "대시인" 건륭제는 도저히 참지를 못하고 싯구를 읊었다: "일편일편우일편(一片一片又一片, 한송이 한송이 또 한송이)" 사람들은 이 싯구를 듣고는 모두 '좋다'고 소리쳤고 역시 황상의 솜씨는 비범하여 한마디를 하니 천하가 깜짝 놀랄 정도라고 아부를 했다. 원칙도 없는 아부의 소리를 들으면서 건륭제는 기분이 좋아졌다. 그리하여 그는 계속하여 읊었다: "삼편사편오륙편(三片四片五六片, 세송이 네송이 대여섯송이)" 이제 사람들은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이것이 '시'라면, 어린아이라도 하루에 몇편씩 쓸 수 있지 않겠는가? 그렇지만 아무도 솔직하게 말할 수는 없었다. 계속하여 밀물처럼 호평하는 소리가 들려왔다. 이렇게 떠받들어지기 좋아하는 주인에게 아부를 계속한 것이다. 건륭제는 기운이 나서 뒷구절을 또 읊었다: "칠편팔편구십편(七片八片九十片, 일곱송이 여덟송이 아홉열송이)". 이 싯구까지 나오자 모두 멍해졌다. 설마 이 어르신이 숫자를 세는 것은 아니겠지. 설마 뒤이어지는 마지막 구절이 "백편천편만만편(百片千片萬萬片, 백송이 천송이 만만송이)"는 아니겠지? 이것도 시라고 할 수 있을까? 그런데, 건륭제는 여기까지 읊은 후에 더 이상 싯구를 잇지 못했다. 한참이나 생각에 잠겨서 말을 하지 않았다. 바로 이런 난감한 순간에, 심덕잠이 일어나서 뒷수습을 해서 싯구를 완성시킨다. 그는 앞으로 한 걸음 나와서 무릎을 꿇으면서 말했다: "황상의 시는 너무나 좋습니다. 바라옵건데 신이 개꼬리로 담비를 잇도록(狗尾續貂)해주십시오." 마침 난감한 처지였던 건륭제로서야 당연히 윤허할 수밖에. 그리하여 심덕잠이 마지막 구절을 완성시킨다: "비입매화도불견(飛入梅花都不見, 매화꽃으로 날아 들어가니 모두 보이지 않네)" 이 마지막 구절로 인하여 전체 시의 품격이 살아났다. 그리하여, 건륭제는 크게 칭찬하면서 그에게 담비가죽옷을 하사했다. 그리고 이 시는 건륭제의 소유로 되었다.

 

이같이 건륭제를 도와서 시를 완성시킨 경우가 심덕잠에게 여러번 있었다. 이 노선생은 나이가 들어 고향으로 돌아온 후, 자신의 전집을 편찬할 때, 멍청한 일을 저질렀다. 건륭을 도와서 써줬던 시문을 모조리 자신의 <<함록언(咸錄焉)>>에 실은 것이다. 또 하나 재수없게도 그는 이전에 서술기(徐述夔)의 <<일주루시(一柱樓詩)>>에 서문을 써준 바 있는데, 서술기의 이 시집이 문자옥을 좋아하던 건륭황제에 의하여 반동작품으로 규정되어버린 것이다.

 

서술기는 청나라때 전국의 "사대문자옥"의 중요인물중 하나이다. "일주루참안"은 중국역사상 이름이 있고, 현대학자들이 청나라문화사, 정치사, 법제사를 연구하려면 반드시 서술기 및 일주루사건을 다루어야 한다. 건륭황제가 서술기를 엄히 처벌하려 하였는데, 서술기는 이미 죽은 뒤였따. 결국 서씨집안은 온집안이 멸문지화를 당하고, 서술기도 부관참시된다. 서술기의 이 시집이 반동으로 몰린 것은 바로 싯구 하나때문인데, "대명천자중상견, 차파호아각반변(大明天子重相見, 且把壺兒半邊)"이 그것이다. 이 싯구는 범상치가 않다. 반청복명의 사상을 담은 싯구이다. 이런 사상도 용서할 수 없는데 게다가 호아(壺兒, 주전자)와 호(胡兒, 오랑캐)는 발음이 같아서 은근히 만주족인 청나라황제를 암시하고 있다. 이민족 황제를 쭟아내려는 마음이 담겨 있는 시이다. 호가호위하던 지방관리는 이 싯구를 가지고 반역사건으로 중앙정부에 보고하고, 건륭황제는 과연 대노한다. 이를 대역무도죄로 다스리게 된다.

 

서술기의 <<일주루시>>에 서문을 썼기 때문에, 심덕잠도 책임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심씨집안을 몰수하면서, <<함언록>>을 발견하는데, 거기서 그는 감히 건륭황제의 어제시를 자신의 시라고 싣는 우를 범했다. 건륭제는 화를 참을 수가 없었다. 심덕잠이 이미 죽었지만, 건륭은 그냥 있지 않았다. 그를 부관참시하고 뼈를 뿌리도록 해서, 건륭제는 마음 속의 원한을 푼다.

 

심덕잠을 제외하고, 기효람(紀曉嵐)도 건륭제를 도와서 시를 완성하게 해주었다. 한번은 건륭황제가 기효람을 데리고 미복을 입고 궁을 나섰다. 한 주루에서 술을 마시는데, 한 집에서 신부를 맞이하는 것을 보게 된다. 건륭은 돌연 시흥이 일어서, 시를 읊었다: "누하라고향정동(樓下鼓響), 신낭수좌화교중(新娘羞坐花轎中), 금일동방화촉야(今日洞房花燭夜)..."(누각 아래에는 징소리 북소리가 요란하게 울리고, 신부는 꽃가마에 수줍게 앉아 있다. 오늘 동방화촉의 밤에는...) 여기까지 읊고는 막혀버렸다. 그는 할 수 없이 기효람에게 도움을 청할 수 밖에 없었다. "경이 뒤의 구절을 이어보아라. 잘 이으면 짐이 상을 내릴 것이다!" 그러자 기효람이 바로 이어서 말했다: "옥잠척파해당홍(玉簪剔破海棠紅, 옥비녀가 해당화꽃을 찔러서 깨트린다)".

 

건륭황제가 시를 쓸때 대상으로 삼은 것은 아주 광범위했다. 일반 사람들이 시에는 쓰지 않는 돼지(猪)도 그는 시에서 쓴 적이 있다. "석양방초견유저(夕陽芳草見遊猪, 해질녘 풀에서 놀고 있는 돼지를 보다)" 유해속은 양계초를 회고하는 글에서 이런 에피소드를 소개한 적이 있다. 1925년, 유해속은 북경에서 신월사의 한 모임에 참석했다. 당시 참석자로는 양계초, 호적, 서지마, 문일다, 요망부, 왕몽백등이 있었다. 주석에서 술잔이 오가다가, 호적이 갑자기 이런 말을 한다: "중국에 고시는 아주 많고, 시인들이 모두 돼지고기를 먹었지만, 아무도 돼지에 대하여 읊지는 않았다. 이 짐승은 시에 들어오질 못했다." 양계초는 그 말을 듣고는 그렇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바로 건륭제의 "석양방초견유저"를 내세워 반박했다. 사람들은 모두 양계초의 박학다식에 감탄한다. 그자리에서 모두 화가인 왕몽백에게 이 싯구를 주제로 그림을 그려보라고 했고, 돼지를 그림에 그린다. 나중에 양계초가 건륭제의 그 싯구를 그림에 써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