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우물(尤物)에 관하여

by 중은우시 2008. 1. 3.

글: 주위(朱偉)

 

원진(元)의 <<앵앵전(鶯鶯傳)>>을 보면, 남자주인공인 장생(張生)이 여자주인공인 최앵앵(崔鶯鶯)과의 정을 끊는데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무릇 하늘이 낳은 우물(尤物)은 그 자신을 미혹시키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미혹시킨다. 설령 최씨여자가 부귀한 집안을 만나서 사랑을 받더라도, 성운성우(成雲成雨)하지 않으면 성교성리(成蛟成)할 것이니, 나는 그 변화를 알 수가 없도다. 옛날 은나라의 신(辛), 주나라의 유(幽)는 만승지국을 가지고 세력이 아주 강했었다. 그러나 한 여자에 의하며 패망하였다. 그들 무리가 궤멸하고, 그 자신이 죽임을 당하여 지금까지 천하인들의 조소를 받고 있다. 나의 덕이 부족하여 요사함을 이길 수 없으니, 사랑을 끊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 교(蛟)는 홍수를 일으키는 용이고, 리()는 뿔이 없는 용이다. 이곳의 의미는 우물에 대한 통제능력에 따라 잘 통제하면 구름이 되고 비가 되어 에너지가 선한 측면으로 방출되어, 농사를 짓는데 도움이 되지만, 잘 통제하지 못하면 홍수가 일어나고 변란이 일어나서 에너지가 악한 측면으로 방출된다는 뜻이다.

 

이 글에서의 의미는 우물(尤物)은 미혹하는 힘을 지니고 있는데, 그 에너지가 잘 방출되면 인간세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즉, 남자의 능력이 여자의 능력을 압도하면 비바람이 고르고, 단비가 내린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여자의 능력이 남자의 능력보다 큰 경우에는 분란이 일어나고 혈우성풍이 인다는 것이다.

 

"우물"의 "우(尤)"는 원래 "이(異, 다르다)"라는 의미이다. "이"의 의미는 먼저 무리중의 다른 것보다 뛰어나다는데 있다. 다만, 이렇게 뛰어나게 됨에 따라 자연계의 생태평형을 파괴하게 되니, "과(過, 지나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시경. 소아. 사월>>에는 "폐위잔적, 막지기우(廢爲殘賊, 莫知其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크게 잔적이 되어도 그가 지나치다는 점을 알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이곳의 "우"는 "과"의 의미이다. 원래 "우이(尤異)"의 "우"도 "과"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것이다. "우(優)"와 "이(異)"가 합해서는 좋은 의미의 "우이(優異, 뛰어남)"가 되는 것이다.

 

"우물"이라는 단어가 처음 나타난 것은 <<좌전. 소공28년>>에서이다. "부유우물, 족이이인, 구비덕의, 즉필유화(夫有尤物, 足以移人, 苟非德義, 則必有禍, 무릇 우물이라는 것은 사람을 변하게 하는 것이니 덕과 의를 갖지 못하면 반드시 화가 될 것이다)"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는 진나라의 대부숙향의 모친이 그에게 한 말인데, 숙향이 신공무신 딸을 처로 삼으려고 하자, 그녀의 모친이 "너무 예쁘면 반드시 아주 악하다"는 이치를 설명하는 말이다. 즉, "하늘이 아름다움을 한 사람에게 모아주면, 이는 반드시 큰 화가 된다"는 말이다. 위에서 "이인(移人)"이라는 것은 사람의 정신상태를 변화시킨다는 뜻이며, 사람이 균형을 잃게 만든다는 것이다. 말희, 달기, 포사의 세 미녀로 인하여 세개의 왕조가 망했는데, 장생이 쓴 "우물"이라는 말은 바로 여기의 전고를 차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