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문화/중국의 종교

중국에서 미륵불(彌勒佛)의 이미지

by 중은우시 2007. 9. 29.

 

 

글: 전문충(錢文忠)

 

중국불교신도에 있어서 미륵과 관음은 가장 중요한 두 보살일 것이다. 불경의 내용에 따르면, 미륵은 석가모니의 제자인데, 석가모니보다 먼저 열반했고, 도솔천에 올라갔고, 4천년이후 석가모니를 이어 인간세상에 내려올 것이라고 한다. 천상의 4천년은 인간세상의 56억7천만년에 해당한다.

 

미륵불은 중국인들이 아주 잘 아는 보살이다. 다만, 사람들이 익히 잘 알고 있는 입을 크게 벌려 웃고 있는 배나온 미륵불은 원래의 미륵불 이미지가 이니다. 그렇다면, 미륵불의 원래 모습은 어떠했으며,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미륵불 이미지로 고착되게 되었는가?

 

첫째, 미륵불이미지의 변화문제이다. 지금 알고 있는 미륵불 이미지는 뚱뚱하고, 배가 볼록 튀어 나왔으며 하루종일 웃고 있는 모습이다. 절에 가면, 다음과 같은 대련(對聯)이 그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소구상개(笑口常開)

소진인간일체가소지사(笑盡人間一切可笑之事)

대도능용(大能容)

용하인간일체불평지사(容下人間一切不平之事)

 

열린 입은 항상 웃고 있다.

인간세상의 모든 가소로운 일들을 웃고 있다.

큰 배는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

인간세상의 모든 불평들을 받아들이다.

 

미륵불은 아주 사랑스런 보살이다. 그렇지만 역사상의 미륵불은 그렇지 않았었다.

 

중국에서 미륵불의 조상(造像)이 나타난 것은 아주 일찌감치부터였다. 예를 들면 감숙 병령사(炳靈寺) 제169호석굴은 바로 미륵불상이다. 제작연대는 399년이며, 동진때의 후진(後秦) 홍시원년(弘始元年)이다. 조기의 미륵불상은 모두 보살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고, 몸에는 영락(瓔珞)을 달고 있고, 얼굴은 예쁘장하며, 몸매는 날씬하고 길었다. 자세는 기본적으로 두 다리를 꼬고 앉아 있었다. 왜 이처럼 우아하고, 날씬하며 길다랗던 미륵불이 배가 불룩 튀어나온 뚱땡이 승려의 이미지로 바뀌어 갔는가? 원래 이러한 이미지는 사실 중국승려 포대화상(布袋和尙)의 것이다.

 

오대(五代)의 후량(後梁)시기(907-923년), 명주(明州, 지금의 절강성 영파)에는 악릉사(岳陵寺)라는 절이 있었다. 이곳에는 계차(契此)라는 승려가 있었는데, 키는 작고, 배가 불룩 튀어나왔으며, 자주 막대기에 포대를 끼워 다녔으며, 그는 포대안에 자기가 쓰는 물건을 집어넣고 다녔다. 그리고 그의 주변에는 18명의 어린아이들이 함께 놀고, 장난치고 있었다. 그래서 주변사람들은 그를 "포대화상"이라고 불렀다. 이 스님은 올때나 갈때나 흔적을 남기지 않고, 어디든지 쓰러져 잤다. 당시 사람들은 이 스님이 좀 기괴하다고 생각했다. 눈이 오는 날에는 짚신을 신고, 맑은 날에는 반대로 나막신을 신었다. 그가 눈위에서 잠을 자면 눈이 녹았는데, 그의 몸은 젖지 않았다. 그는 자주 예언같은 것을 했는데, 들어맞는 경우가 많았다. 한번은 악릉사에서 불전을 짓는데, 나무가 많이 필요했다. 그래서 포대화상을 보내서 나무를 얻어오게 하였다. 그는 복건의 한 곳으로 가서는 우물 한 곳으로 걸아갔다. 그리고는 우물 안에서 나무를 하나하나 건져 올렸는데, 끝이 없이 나왔다. 그리하여 악릉사의 불전을 짓는데 나무가 부족할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되었다.

 

이 포대화상이 미륵불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포대화상이 원적(圓寂)할 때가 문제이다. 916년, 포대화상은 악릉사의 동쪽 복도곁의 한 돌맹이 위에 정좌하고 앉아서 입으로 하나의 게송(偈頌)을 읊었다.

 

미륵진미륵(彌勒眞彌勒)

분신천백억(分身千百億)

시시시시인(時時示時人)

시인자불식(時人自不識)

 

미륵은 진짜 미륵은

분신이 천백억개나 된다.

시시때때로 사람들에게 보여주지만

사람들이 알아차리지 못할 뿐이다.

 

이 게송을 다 읊고는 포대화상이 원적했다. 그런데, 이 게송은 한사람이 백사람에게, 백사람이 천사람에게 금방 퍼져갔다. 그리고 포대화상이 원적한 이후, 여러 곳에서 그와 모양이 비슷하게 생긴 포대를 막대기에 매고 가는 스님들을 보게 되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가 미륵의 화신(化身)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천주(泉州) 보전현(田縣)의 현령인 왕인후(王仁煦)는 친히 이런 사람을 목격하고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후 사람들은 이 포대화상의 이미지를 따서 미륵불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리고 진정한 미륵불의 이미지는 점차 잊혀갔다. 이 계차는 역사상 존재했던 진실한 인물이다. 찬녕(贊寧)의 <<송고승전>>에 그의 전이 실려 있다. 사람들이 그를 미륵불로 받아들인 것은 불교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바로 유명한 화신설(化身說)이다. 모든 보살은 여러 화신으로 인간세상에 나와서 사람들을 이끈다는 것이며, 사람들이 인연이 없으면 그를 인식하지 못하는데, 계차가 바로 미륵불의 한 화신이었다는 것이다.

 

이 중국적인 미륵불은 중국의 아주 유명한 도시 닝보(寧波)에서 태어났다. 닝보의 원래 명칭은 명주(明州)인데, 명나라의 창업황제인 주원장의 명에 의하여 이름이 닝보로 변경되었다. 왜냐하면, 주원장이 명교의 신도였기 때문이고, 명교의 최고법왕은 바로 미륵불이다. 그래서 주원장은 미륵불이 민간에 지닌 위망과 영향력을 이용하여 원나라를 무너뜨리고 명나라를 세웠던 것이다. 그런데, 황제가 된 이후에 그는 다른 사람이 다시 미륵불을 이용하여 그의 황조를 무너뜨리지 않기를 바랐다. 그리하여 미륵불의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화신이 나타났던 지역이 바로 명주이므로, 주원장은 명주를 닝보로 고쳐, 파도를 잠재우듯, 반란이 일어나지 않는 조용한 도시가 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이 포대화상이 없었다면 지금의 배불뚝이 미륵불도 없었을 것이고, 닝보라는 지명도 없었을 것이다.

 

미륵불도량은 현재 닝보 봉화(奉化)의 설두사(雪竇寺)에 있는데, 그 원인도 바로 포대화상때문이다.

 

둘째, 미륵과 서방. 여기서 말하는 "서방(西方)"은 인도가 아니라, 이란에서 로마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킨다. 기원전 1000년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소아시아, 유프라테스/티그리스강유역 및 이집트를 포함한 지역에서는 미래구세주에 대한 신앙이 유행하였다. 예수교의 메시아신앙은 이러한 구세주신앙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이러한 신앙은 성경의 <<구약>>에 이미 있었고, 이는 모두 피압박민족의 자유와 행복에 대한 갈망을 표현한 것이다. 인도의 미륵신앙은 이러한 전세계적인 구세주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상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이미 학술적으로 인정받았다.  인도의 미륵신앙은 바로 구세주신앙의 일부분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미륵이 미래불인 이유는 바로 미래의 구세주이기 때문이다. 인도에도 근원이 있지만, 전세계 혹은 고대세계에도 근원이 있고, 당시 보편적으로 유행하던 메시아신앙의 일부분이다. 이로써 볼 때, 미륵불은 간단하게 불교내의 부처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셋째, 중국의 미륵신앙. 중국에서 가장 먼저 모셔진 보살이 누구이냐라고 하면 아마도 아미타불이나 관세음보살을 떠올릴지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중국불교사를 보면 가장 먼저 대중신앙으로 된 것은 바로 미륵신앙이었다.

 

일찌감치 한나라때, 미륵보살을 소개한 불경이 중국어로 대량으로 번역되었다. 그리고 중국신강에는 토호로(吐火羅)어로 쓰여진 극본이 있는데, <<미륵회견기>>이다. 이 책이 발견된 후 계선림 선생은 연구를 거쳐 중국어와 영어로 번역했고, 지금까지 출토된 토호로어로 된 가장 방대한 경전이다. 이 그ㄱ본은 미륵과 만난 것을 묘사했기 때문에 <<미륵회견기>>라고 이름붙였다. 이 신앙은 한나라때 금방 중국신도들에 의하여 받아들여졌고, 많은 사람들이 한마음으로 미륵정토를 갈구했고, 내생에 미륵불과 함께 하기를 바랐다. 이것이 바로 초기 정토종의 기초이다.

 

당나라초기에 미륵신앙은 여전히 성행했다. 저명한 시인인 한산(寒山)은 이런 싯구도 남겼다. "남무불타야, 원원구미륵(南無佛陀耶, 遠遠求彌勒)". 현장은 경건한 미륵신도였고, 현장을 높이 평가했던 무측천, 당고종도 미륵신도였다. 현장이 왜 인도로 가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미륵불이 한 말을 기록한 것)>>을 얻고자 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현장 본인이 바로 미륵불신앙을 가졌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측천은 정부의 공식경로를 통하여 자신이 미륵불이 강생(降生)한 것이라고 선전하였다. 이에 대한 원시자료는 <<자치통감>>에 기재되어 있다. 중국에서 유일한 여황제인 무측천은 불교의 화신, 전생설을 이용하여 그녀가 이씨자손의 자리를 대체하는데 대한 이론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녀는 "내가 바로 미륵불이 세상에 내려온 것인데, 미륵불이 황제를 할 수 없단 말인가"라고 하였던 것이다.

 

백거이도 미륵신도였다. 그는 학회를 하나 만들었는데, "일시상생(一時上生)"이라는 모임이었다. 그 뜻은 모든 사람이 한마음이 되어 함께 미륵의 경계에서 태어나자는 것이었다. 백거이는 미륵정토에서 왕생하기 위하여 "결심서(決心書)"도 썼다.

 

앙자씨형(仰慈氏形)

칭자씨명(稱慈氏名)

원아내세(願我來世)

일시상생(一時上生)

 

나는 미륵보살의 모습을 존경하고,

나는 미륵보살의 이름을 부른다.

원컨대 내세에는

미륵보살의 곁에 태어나 함께할 수 있기를.

 

당나라 중기이전까지는 미륵신앙을 믿은 불교도가 상당수이고 주요한 구성부분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륵신앙은 한나라때 중국으로 들어온 이래로, 당나라중기까지 황실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 승려에서 시성에 이르기 때가 모두 비륵불에 대하여 극도의 존경과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다면 나중에 어찌하여 이 미륵불신앙이 쇠약해지고 점차 세력을 잃어가게 되었던가?

 

미륵신앙이 어떻게 쇠망해갔는가도 복잡한 문제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여기에는 불교의 서로 다른 파벌과 학설간의 경쟁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것이 주요한 문제는 아니었다. 근본적인 문제는 미륵불이 백성을 도탄에서 구제하고, 인민을 고난에서 구원해주므로,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꿈과 희망을 주는 미래불인 미륵불은 일찌감치 민간이 잔혹한 통치에 반항하는 정신적인 지주이자 응집력의 근원을 형성했다. 통치자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이러한 신앙을 용납하기 힘들었다. 그리하여 당현종때부터 미륵신앙을 금지하기 시작한다. 개원(713-741)이후, 미륵불상은 한족의 불교에서 급격히 감소한다. 그렇지만 미륵신앙은 여러가지로 변형되어 민간에 남아있게 된다. 주원장이 원나라의 통치에 반항한 반란군들이 내세운 구도호 미륵불이 내려왔다는 것이다. 여전히 미륵을 내세웠었다.

 

넷째, 미륵의 유래. 미륵은 산스크리트어에서 Maitreya, 팔리어로는 Metteya이다. 그냥 듣기에는 미륵과 그다지 관련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현장도 바로 이 점을 간파했었다. 그리하여 현장은 이전의 한역(漢譯)이 잘못되었다고 보고, "매단리야(梅丹利耶)"라고 번역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관자재(觀自在)"와 마찬가지로 이 고승의 의견을 일반사람들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여전히 그를 미륵이라고 부른 것이다.

 

미륵은 음역(音譯)이다. 의역(意譯)을 한 것도 있는데, 그것은 "자씨보살(慈氏菩薩)"이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졌는가? 초기의 불경원본은 대부분 외국어본을 기준으로 하였다. 즉, 중앙아시아와 고대신강의 언어문자로 쓰여져 있던 것이었고, 원래의 산스크리트어를 기준본으로 하지 않았었다. 그러다보니, 미륵은 바로 토호로어의 Metrak이 번역되 온 것일 것이다. 이 글자는 산스크리트어의 Maitri(자비, 자애)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자씨보살"이라는 의역도 나온 것이다. 심지어 관자재보살보다 더욱 큰 자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현장이 원어에 충실하게 번역한 "매단리야"는 지금 거의 기억하는 사람이 없다. 이러한 운명은 "관자재"와 비슷한 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