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의 지방/북경의 오늘

북경의 중축선(中軸線)은 왜 약간 기울어졌는가?

by 중은우시 2006. 11. 16.

작자: 오언붕(吳彦鵬)

 

북경은 문명고도의 칭호를 얻고 있다. 원, 명, 원 3개 황조의 황도로서, 명성고척은 모두 농후한 인문적인 색채를 띄고 있다. 여기에는 아주 특색있는 건축군이 있다. 즉, 남북을 관통하는 중축선이다. 영정문(永定門)-정양문(正陽門)-자금성(紫金城)-경산(景山)-종루(鐘樓)-고루(鼓樓)로 이어지는 선이다. 공중에서 조감하면, 전체 북경성은 일종의 대칭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중축선은 길이가 7.7킬로미터이며, 고도 북경의 중심표지이다. 그리고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긴 도시의 중축선이다.

 

그러나, 우리는 현재의 지도를 보면, 옛 중축선과 우리의 완벽한 상상은 약간의 편차가 있다.

 

먼저, 중축선과 자오선(子午線)이 일치하지 않는다. 약간 기울어 있다;

 

다음으로, 삼환로를 건설한 이후로, 비록 중축선의 남북방향이 양쪽으로 늘어났으나, 늘어난 부분은 이미 역사적인 편차를 수정했다.

 

기울어진 중축선

 

최근들어 많은 매체에서 정남 정북으로 관통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왔던 중축선이 실제로는 자오선과 맞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소개하였다. 중축선과 자오선간의 편차를 측산하면 그 각도가 2도10분이 된다. 남쪽 끝인 시작점(영정문)에서 시작해서 북쪽으로 역시계방향으로 자오선을 벗어나기 시작해서 종착점(종루)인 위치에 이르면 이미 자오선에서 약 300미터 떨어져 있게 된다.

 

"북쪽에 앉아서 남쪽을 바라보고, 건물은 하늘에 접한다"는 것은 중국 고대군왕이 일찌기 황제의 권한은 하늘로부터 받았다는 것을 나타나는 상징이었다. 중축선에 관하여 <<주례>>에서도 국도를 두면서 방위를 반드시 명확히 하여야 한다고 규정했다. 방위를 정확히 하는 것은 바로 중축선을 바로잡는 것이다. 여기서 바르다는 것은 중축선이 소재지의 자오선과 평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역대에 수도를 건설하면서 모두 중축선을 확립하는데 신중했다. 항측전문가에 의하면 원나라때부터 청나라때까지 33대의 황제의 용상은 모두 비뚤게 앉아 있었다는 것이고, 황궁은 그들이 내심으로 생각했던 것처럼 정북에서 정남으로 향한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현재, 전문가들의 영상도뿐아니라, 새로 출판한 보통의 관광도에서도 북경의 중축선과 전체 북경성이 기울어진 정도를 알아볼 수 있다. 지도출판사 책임자에 의하면 사실 일찌기 1950년대에 북경의 도시계획부문은 남북중축선이 자오선을 벗어났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측량을 통하여 확인한 바에 의하면 당초의 동, 서양성벽도 정남, 정북이 아니라 모두 북경중축선과 평행이었다. 즉, 전체 북경성이 정남, 정북방향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의 인식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준다.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현상은 사람이 일부러 만든 것인가? 아니면 실수에 기인한 것인가? 민간에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다.

 

첫째, 남경설

 

어떤 사람은 동남을 향한 것이, 주원장이 개국한 수도인 동남쪽의 남경성을 향했고, 그것은 일맥상승(一脈相承, 하나의 맥을 잇는다)의 의미가 있다고 한다. 어떤 사람은 주체(영락제)가 건문제를 죽이고 황제위를 빼았았으므로 정통에 따라 제위를 계승한게 아니어서 당시 북경황궁을 기획할 때 중축선을 약간 기울게 하였고, 이로써 후세인들이 그를 예의없다고 욕하는 것을 피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겉으로 봐도 성립되기 힘들다. 왜냐하면 명나라 북경성은 원나라 대도의 기초위에서 지었으므로, 북경성의 위치를 약간 남쪽으로 옮긴 것을 빼고는 북경성의 방위는 기본적으로 바꾸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경의 건도는 금나라 정원원년(1153년)에 시작된다. 금폐제 완안량이 연경을 중도로 바꾸고, 황궁을 지금의 광안문 이남지역에 설치하였다. 1260년 징기스칸이 세번에 걸쳐 중도를 공격하고, 나중에 쿠빌라이가 북경에 원대도를 건설한다. 쿠빌라이는 금나라 중도의 옛 성을 버리고, 금경화도이궁(지금의 북해공원일대)을 중심으로 삼는다.

 

중국의 도시는 일반적으로 먼저 집을 하고, 다시 성곽을 만든다. 원대도는 역사상 보기드면 계획도시이다. 통일적으로 계획하고 통일적으로 건축했으며, 통일적으로 이사했다.

 

원대도의 성위치를 정하는 것과 계획은 유병충(劉秉忠), 조병온(趙秉溫), 조현(趙鉉)등이 주재했고, 완전히 <<주례. 고공기>>의 "좌조우사, 면조후시"의 황권지상의 도시계획원칙에 따랐다. 계획이 엄격했고, 규모가 거대했으며, 남북중축선이 직선으로 관통했고, 동서의 건축물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었고, 도로는 통일되게 만들고 남북방향이 분명했다. 이후 북경성의 건설에 아주 튼튼한 기초를 쌓은 것이다.

 

명홍무원년(1368년), 서달이 원나라대도를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원대도의 왕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원대도의 북성벽을 남쪽으로 이전하고, 이로써 명나라의 수도인 남경성의 규모를 넘어서지 못하도록 한다.

 

명성조영락18년(1420년) 북평을 북경으로 개칭하고 다음해에 북경으로 천도한다. 명황성의 건축은 기본적으로 원대도를 기초로 한다. 다만 정양문에서 고루, 종루에 이르는 중축선의 관동을 위하여 궁성의 중축선을 동쪽으로 이동시긴다. 다만 중축선의 방향은 그대로 하였다. 북경내성의 동쪽 성벽과 서쪽 성벽은 모두 원나라 대도의 토성을 기초로 벽돌을 쌓아서 만들었다.

 

청나라는 명나라때 성을 그대로 썼다. 중축선도 건드리지 않았고, 730년이나 되었다.

 

둘째, 상도설

 

중국측회과학연구원 기중우는 이런 학설을 내놓았다. 그는 "이 중축선은 쿠빌라이의 통치시기이고, 이것을 만든 것이 쿠빌라이가 흥기한 지방인 원나라 상도(上都)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의문을 가지고 기중우등은 지도를 가지고 야외고찰을 했다. 그들은 북경중축선을 계속 이어가면 북경에서 270킬로미터 북으로 떨어진 원나라 상도(고개평)의 유적지 소재지를 지나간다고 한다. 당시 쿠빌라이는 여기서 대도로 천도했다. 그러나, 사실상, 원세조 쿠빌라이는 당시 "양도순행제"를 시행하였다. 겨울에는 대도에서 업무를 보고, 여름에는 상도에서 업무를 보았던 것이다. 즉, 대두는 동도(冬都)였고, 상도는 하도(夏都)였다.

 

이로써 볼 때, 기중우는 중축선이 기울어진 사실은 바로 원나라 개국황제인 쿠빌라이가 일부러 그렇게 한 것이라는 것이다. 기중우는 ㄷ도와 상도를 연결하는 것을 양도선(兩都線)이라고 하면, 북경성의 중축선은 바로 양도선의 남단이 되고, 이것은 통치자의 의사 즉 두개의 수도는 통일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다른 견해로는 전통적으로 황권을 표시하는 중축선은 신권을 상징하는 자오선과 중복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약간 기울어지게 설계하는 것은 바로 황제가 내린 명령이라는 것이다.

 

"몽고제국"의 원나라때는 기록이 얼마 남아 있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고증이나 추리의 측면에서 과학자나 사학가들이 답안을 찾기가 쉽지는 않다.

 

셋째, 음모설

 

중축선이 기울어진 것에 대하여 포커스는 당연히 공사를 주재한 사람에게 쏠릴 수밖에 없다. "건축감독"을 맡았던 쿠빌라이의 중신 유병충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원나라때의 중축선은 유병충과 그의 제자인 곽수경의 두 사람이 합작해서 만들었다고 본다. 두 사람은 모두 하북 형태 사람이다. 원나라때 민족차별정책을 실행하였으므로 역사학자들은 이런 관점도 내놓는다. 중축선은 한족 신하인 유병충, 곽수경이 고의로 기울게 한 것이라고. 즉, 그들은 천자의 의도에 따르지 않고, 도시배치에 영향을 주는 중축선을 정남정북의 자오선 위에 두지 않았는데, 이로써 원나라의 통치에 반항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많은 사람들이 의문을 제기한다. 왜냐하면 이것은 그저 추측에 불과할 뿐이고 아무런 증거도 없기 때문이다.

 

넷째, 자편각설

 

자편각(磁偏角)은 지남철이 섰을 때 가리키는 북쪽과 실제의 북쪽(자오선)과의 편차각을 말한다.

 

우리는 지남철의 작용은 지구의 자극에 의한 것인데, 자극은 북극과 남극에 있지 않으므로 지남철이 가리키는 남북과 자오선과는 편차가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이 편차각은 아주 작다. 그래서 쉽게 무시할 수 있는 것이다. 각 지방에 따라서 편차각이 각각 틀린데, 이것은 자극 자체가 운동중이기 때문이다. 특정지점에서의 편차각도 시시때때로 바뀐다. 예를 들어 국내 주요한 도시의 편차각을 보면

 

막하 11도00분 서

하얼빈 9도 39분 서

북경 5도50분 서

서안 2도 29분 서

서녕 1도 22분 서

성도 1도 16분 서

중경 1도 34분 서

계림 1도 22분 서

남경 4도 03분 서

정주 3도 50분 서

곤명 1도 00분 서

라싸 0도 21분 서

우루무치 2도 44도 동

 

중국의 일부 자력이 이상한 지역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자편각은 모두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일정한 분포규율이 있다.

 

사실, 중국과학자들은 일찌기 자편각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심괄은 <<몽계필담>>에서 자침이 "항상 약간 동쪽을 가리키고, 완전히 남쪽을 가리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것은 서구의 기록보다 400년이 빠른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지남철을 발견한 이후, 응용범위는 매우 광범위했고, 특히 건축풍수에 많이 사용되었다. 그래서 유병충과 곽수경이 과학분야에서 이런 현상을 알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정치배경하의 공사응용에서, 가장 보수적인 방법은 역시 지남철을 사용해서 중축선을 정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현재의 북경의 자편각은 5도50분서 이지만, 당시는 2도10분 서일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저명한 고건축전문가인 후인지는 일찌기 중축선의 편차는 아마도 기술요소, 자연요소, 인위요소가 결합된 때문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당시 원나라 대도의 중축선을 만든 유병충은 저명한 천문, 수학가이다. 그러므로 지리측량기술은 아주 뛰어났을 것이다. 그러나, 당시 측량에 사용한 지남철은 비교적 쉽게 지구자극의 영향을 받는다. 수백년의 변천을 거쳐 북경의 지면이 위치를 바꾸었을 가능성도 있다.

 

필자 본인은 개인적으로 자편각설을 찬성한다.

 

왜냐하면 내가 어릴때부터 생활한 랑방은 새로 만든 도시인데, 거리의 방향은 옛날 마을의 도로를 그대로 사용했다. 이 도로는 대부분 집을 지을 때의 나침반을 가지고 측정하여 만든 것이다. 그래서, 지도를 보면 전체 랑방의 도로는 경사정도가 북경의 중축선과 대체로 비슷하다. 나중에 나는 일부 북방의 도시에서 모두 이런 현상을 발견했다.

 

동쪽으로 기운 중축선

 

중축선이 바르지 않은 자연원인을 이야기 하자면, 중축선이 가운데 있지 않은 것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 중의 가능성은 너무 복잡하고, 찾기가 힘들다.

 

현재 지도상에서 명확히 볼 수 있는 것은, 북경의 환로가 가운데 있지 않고, 중축선이 가운데 있지 않은데, 이것은 주로 삼환로의 건설과정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장안가에서 공주분에서 부흥문가지의 거리는 건국문에서 대북요의 거리의 두배이다. 이 문제에 관하여, 역대 북경의 도시도를 본 사람이면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953년, 최초의 북경계획초안에서 동서삼환로와 중축선은 대체로 대칭되었다. 동삼환은 지금의 위치이지만, 서삼환은 현재의 중관촌남대가, 삼리하일대이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이 방안에 변화가 생겼다. 1958년 계획에서는 서삼환이 지금의 공주분으로 바뀌고, 삼리하의 선은 쾌속도로로 바뀌었다. 바꾸어 말하면, 북경의 서삼환의 위치선택에서 두 개의 방안이 병존했던 것이다. 공주분방안이 나온 이유는 삼리하선을 채택하면서 도로를 직선으로 하려면 반드시 동물원과 조어대를 관통해야 한다. 그외에 건국후의 50년동안 북경은 계속 중심이 서쪽으로 이전하는 모습을 보몄다. 특히 삼리하 일대는 개발이 매우빨랐다. 점점 넓은 환로를 건설할 공간이 없었다. 그래서 1973년 북경계획도에서 삼환로의 위치를 오늘 날의 노선으로 확정된 것이다. 이로써 북경의 중축선은 더욱 동쪽으로 기울어진 것처럼 보이게 되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명백한 동쪽으로 기운 문제이다. 사실 북경의 고성중에도, 중축선은 마찬가지로 좌우가 같지 않았다. 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이 문제는 원대도의 설계도에서 이미 존재했다. 원대도는 대체로 정방형이었는데, 금경화도이궁을 중심으로 했고, 이 중심에서 북, 남, 서쪽의 성벽은 모두 거리가 같다. 단지 동쪽 성까지가 중심에서 약간 가까울 뿐이다. 그러나 명나라 북경성은 궁성의 중심선에서 다시 동쪽으로 이동했으므로 중축선은 더욱 동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도 찾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