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과 사회/중국의 민족

서하(西夏)의 당항족(黨項族) 후예들의 행방

by 중은우시 2006. 11. 9.

서하는 중국역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들 스스로 대하국(大夏國)이라고 불리웠으며, 강성할 때, 처음에는 북송, 요와 더불어, 다음에는 남송, 금과 더불어 중국을 3분하여 가지고 있었다. 이후 1227년 몽고의 대군에 멸망당한다.

 

서하는 몽고와의 싸움에서 강력하게 저항하였으므로, 징기스칸이 서하를 정벌하던 중에 육반산에서 사망하자 유언으로 "섬멸하고 하나도 남기지 말라. 멸망시키고, 죽여버리라"고 한다. 이어서 몽고군대는 서하의 당항족에 대하여 철저하게 도륙한다. "성곽은 불태워버리고, 사방으로 유민들을 추살하였으며, 백골이 벌판에 널려 있고, 수천리가 맨땅으로 바뀌었다" 이런 유린, 전쟁, 도성의 참화를 거쳐 대부분의 서하의 도시들은 폐허로 되었고, 서하의 당항족들도 역사에서 사라졌다.

 

그리하여, 서하문자는 지금은 알아보는 사람이 없고, 서하의 서예는 지금은 그냥 '천서(天書)'라고 부르고 있다. 서하 후예들 즉 당항족은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대체적인 입장이었다.

 

최근들어, 영하성의 황하강 유역에 남장탄촌(南長灘村)이라는 신비한 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비록 작지만 세개의 영하제일을 자랑한다. 영하의 황하제일촌(村), 영하의 황하제일도(渡), 영하의 황하제일표(漂)이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남장탄촌은 세상과 거의 격리되어 있고, 촌에 사람들은 성이 탁(拓)인데, 스스로 서하의 후예라고 하며, 완벽한 족보를 가지고 있다.

 

또한 2000년 7월에는 이배업과 그 아들 이적문이라는 사람이 나타났는데, 그들은 스스로 집안에 보관되어 오던 <<황족이씨가보>>, <<해돈이씨가보>>, <<이씨가승>>등 9부의 서하왕족족보를 내놓았다. 족보에 따르면 이배업은 서하최후황제의 23대손이고, 이적문은 24대손이다. 그러나, 일부 서하학자들은 이배업의 족보가 청나라때 만들어졌고, 최초의 사료기재도 명나라인데, 이미 서하가 망한지 한참 지난 후이므로 믿기 힘들다는 입장을 보인다.

 

그렇다면, 남아 있는 서하의 당항족들은 현재 어디로 갔는가? 서하학자인 이범문은 수년동안 서하후예에 대한 연구를 거듭해온 학자인데, 그는 서하족들이 한화(漢化), 장화(藏化), 몽화(蒙化), 회화(回化)하였고, 일부 당항족은 네팔로 갔다고 설명한다.

 

서하가 망한 후에, 서하의 후예는 일부가 산서, 하북, 하남, 절갈, 사천, 서장등의 지구로 흘러들어가 한족화되었다고 한다. 북경의 거용관 운태문의 석벽에는 77행의 서하다라니경이 쓰여 있고, 하남북부 복양지구에서 양씨성을 지닌 서하후예가 발견되는데, 이것들은 모두 서하후예들이 한족지역에 들어와서 점차 한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당항족들은 성씨가 한화되고, 언어가 한화되고, 통혼으로 한화되고, 민속이 한화되고, 유교를 받아들여 한화되는 5가지 방식으로 한화가 진행되었다고 본다.

 

서하문헌의 기재에 따르면, 서하의 당항족은 스스로 미약인(彌藥人)이라고 칭했으며, 일찌기 사천성 감자장족자치주의 강정, 도부, 단파등의 지역에 거주했었다. 지금도 여기의 목아인(木雅人)은 여전히 자기의 언어와 습속을 유지하고 있는데, 다른 소수민족들과는 구분이 된다. 그들의 언어는 "목아어" 또는 "도부어"라고 하는데, 고대의 당항족언어와 발음과 기본단어가 매우 근접하다. 이범문은 고찰후에 일부 당항족들은 서하가 망한 후에 원래의 고향으로 돌아왔고, 장족과 섞여살면서 점차 장화되었다고 본다.

 

일부분은 투항하거나 포로로 잡혀서 몽고족에 끌려갔는데, 이들은 점차 몽고족화되었다고 본다.

 

이외에, 전란후에 서하의 옛땅에는 대량의 토지가 버려져 있게 되어, 통치자들은 이민을 받아들이고 군사를 주둔시키는 방법으로 생산을 회복했다. 그 후에 옮겨온 주민들은 대부분 이슬람교도들이었는데, 남아서 여기에 섞여있던 당항족들도 이들을 따라 이슬람화 되었다.

 

그리고, 서하망국후에 일부분의 당항족은 네팔로 도망쳤다. 네팔의 하얼파족들중에서는 강파지구에서 이주해온 서하선민과 서하멸망후 네팔로 들어온 서하후예들이라고 한다. 현지의 적지 않은 사람들은 여전히 목아어를 사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