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G18

미중간의 5G전, 6G전 글: 왕혁(王赫) 미중간의 5G대전이 벌어지고 있고, 6G대전도 개시되었다. 이는 8월의 3건의 사건으로 알 수 있다: (1) 8월 2일, 미국 국방부는 6G기술연구에 주력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동시에 전군범위내에서 통신과 연결의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2) 8월 9일, 바이든은 에 서명하였는데, 거기에는 국방행동이니시어티브와 미국브로드밴드시장에 대한 42억달러의 자금지원을 통해, 비중국제조의 5G설비제조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3) 8월 10일부터 12일까지, 2022세계5G대회가 중국 하르빈에서 거행되었고, 중국은 이를 통해 잠재고객들에게 5G제품을 프로모션했다. 왜 5G전과 6G전이 동시에 전개되고 있을까? 왜냐하면 5G와 6G는 기능적으로 융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1.. 2022. 8. 27.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를 어떻게 피하고 있는가? 글: 용등운(龍騰雲) 금년 12월 16일 미국 상무부는 34개의 중국업체를 수출제한의 '실체명단'에 포함시키낟. 그 중에는 화하이(華海)통신국제유한공사(HMN International Co., Ltd.)가 포함되어 있는데, 원래 명칭은 "화웨이해양네트워크유한회사(華爲海洋網絡有限公司)"이며 일찌기 화웨이의 자회사였다. 2019년 미국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실시한 후, 화웨이는 화웨이하이양, 롱야요(Honor)핸드폰등 산하의 브랜드 혹은 회사를 분사시켰다. 2020년 상반기, 화웨이하이양은 장쑤헝통집단(江蘇亨通集團)에 매각된다. 그리고 2020년 11월 명칭을 "화하이통신"으로 변경시켰다. 같은 달 롱야오핸드폰은 선전의 한 국유기업에 매각되었다. 여기서 한가지 추가로 언급할 것은 화웨이에서 분리된 화하.. 2021. 12. 24.
중국의 리투아니아에 대한 경제압박이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유는...? 글: 왕혁(王赫) 중국이 습관적으로 쓰고 있는 경제협박이 생각지도 못하게 유럽의 소국 리투아니아에게는 통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세관은 12월 1일부터 리투아니라를 '원산지국'의 명단에서 삭제했고, 이로 인하여 리투아니아화물은 중국항구에서 통관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런데, 12월 7일, 리투아니아 최대의 무역기구는 중국세관은 더 이상 리투아니아화물의 수입을 저지하지 않고 있다. 다만, 리투아니아에서 중국에 진입할 때 여전히 절차에 시간이 많이 걸려서 화물수입프로세스에서 지연이 발생하고 있을 뿐이다. 다시, 12월 17일, 로이터는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은 독일 자동차부품업체인 Continental에 압력을 가해서, 리투아니아에서 제조된 부품(콘티넨탈은 리투아니아에 공장을 가지고 있다)을 .. 2021. 12. 21.
화웨이 런정페이: "향상통파천(向上捅破天), 향하찰도근(向下扎到根)" (런정페이가 2020년 9월 14일부터 18일까지, 북경대학, 청화대학, 중국과학원등의 대학에서 학자, 학생대표들과 가진 좌담회에서의 발언을 화웨이에서 정리한 내용임) 우리나라(중국)의 경제총량은 이렇게 크다. 이렇게 큰 나무도 뿌리가 튼튼하지 않으면 안된다. 뿌리를 제대로 박고 있지 못하면 나무가 안정되지 못한다. 만일 태풍이 불면 어떻게 될 것인가? 우리가 수도꼭지만 틀면 수돗물이 나오는 단(短), 평(平), 쾌(快)의 경제발전모델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기초공업은 아직 강하지 못하다. 사소한 접착제 하나가 한 나라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우리는 이미 보았다. 이것은 분자공학이다. 하이테크중의 하이테크이다. 이 몇천가지의 접착제, 연마제, 특수기체... 모두 하이테크중의 하이테크이다. 우리.. 2020. 10. 28.
미국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칩공급을 전면금지한 내막은...? 글: 임염(荏苒) 5월 미국기술과 설비를 사용하여 화웨이의 칩을 생산하지 못하도로 금지하면서, TSMC등 파운드리의 화웨이칩 OEM생산이 금지된 후, 8월 17일에는 미국이 다시 금지령을 수정하여, 화웨이가 미국의 금지령을 회피하여 칩을 구매할 수 없도록 막았다. 그리하여 화웨이가 미디어텍(MTK, 聯發科), 퀄컴, 삼성등 회사로부터 칩을 구매하는 길이 막혀버렸다. 화웨이의 칩을 구하는 길을 미국이 모조리 차단해버린 것이다. 미국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에서 신금지령이 나온 것은 미국 퀄컴의 '배신'이 있었다고 한다. 2020년 5월, 미국은 중국통신설비제조업체 화웨이를 '실체명단'에 넣은 1주년을 맞이하여, 미국 상무부 공업및안전국(BIS)는 금지령을 반포하여, 화웨이가 미국기술과 설비를 사용여 칩을.. 2020. 8. 21.
화웨이금지령의 연쇄반응 글: 모악림(茅岳霖) 8월 17일, 미국 상무부는 공식웹사이트에 미국 화웨이통신기술주식회사("화웨이")의 최신 실체명단(블랙리스트)을 갱신했다. 화웨이의 클라우드부문, 21개국 해외실험실등 38개의 기구를 추가했다. 화웨이회사 산하의 152개 기구가 포함된 '실체명단'에 대하여 미국 상무부는 최신공고에서 상무부장 Wilbur Ross의 발언을 인용했다. 로스는 이 조치는 '화웨이 및 그의 외국지사가 노력을 다해서 미국소프트웨어와 기술로 개발하거나 생산한 선진 반도체를 획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의 잡지는 이에 기하여 17일, 미국의 이 조치는 직접 화웨이와 관련된 IT산업체인에 간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24시간후, 전세계의 IT기업들는 이로 인하여 크게 동요한다. 이에 대하여 Gaveka.. 2020.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