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주22

양신(楊信)의 "사(詐)"와 조한(曹翰)의 "괴(乖)" 글: 안건회(晏建懷) 양신과 조한은 같은 점이 너무 많다. 나이도 비슷하고, 경력도 비슷하며, 최후도 비슷하다. 그들은 모두 군전소졸(軍前小卒) 출신으로 후주(後周)때 아교(牙校)와 같은 하급장교를 지냈다. 그리고 둘 다 송태조 조광윤 및 송태종 조광의를 따라서 전투에 참가한다. 모두.. 2012. 3. 28.
황포가신(黃袍加身): 조광윤은 훌륭한 연기자이다 글: 왕위(王偉) “황포가신”이라는 고사성어는 북송의 개국황제 조광윤(趙匡胤)에게서 유래되었다. 내용인 즉슨 이렇다: 조광윤의 부하가 그에게 황제에 오르라고 여러 번 요청했지만, 조광윤은 황제가 되고싶어하지 않았다. 부하는 황제가 입는 황색의 곤룡포를 강제로 그에게 입혔따. 조광윤은 어.. 2011. 4. 2.
중국역사상 5개의 주(周)나라 글: 왕덕항(王德恒) 최근에 불교역사상의 멸불(滅佛)사건을 쓰다보니, 국호를 주(周)로 쓴 두 나라의 황제가 멸불사건을 일으켰다. 하나는 북주의 주무제 우문옹(宇文邕)이고, 다른 하나는 후주의 주세종 시영(柴榮)이다. 이외에도 주나라를 국호로 쓴 나라가 3개가 더 있으니, 합치면 모두 5개의 나라가.. 2009. 12. 17.
이욱(李煜) : 우미인(虞美人) 춘화추월하시료 왕사지다소 소루작야우동풍 고국불감회수월명중 春花秋月何時了 往事知多少 小樓昨夜又東風 故國不堪回首月明中 조란옥체응유재 지시주안개 문군능유기다수 흡시일강춘수향동루 雕欄玉砌應猶在 只是朱顔改 問君能有幾多愁 恰是一江春水向東流 이욱은 남당(南唐)의 후주(.. 2006.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