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서11

제갈량에게는 황위를 찬탈할 마음이 없었다 글: 제갈주(諸葛周) 권신(權臣)으로서, 제갈량의 경우는 조조와 극히 유사하다. 관직으로 보자면, 조조는 무평후(武平侯), 승상(丞相), 영기주목(領冀州牧)이고; 제갈량은 무향후(武鄕侯), 승상, 영익주목(領益州牧)이었다. 촉한에는 익주 하나의 주밖에 없었으므로, 제갈량의 권력은 조조.. 2013. 8. 18.
중국인은 왜 진실을 말하지 못하는가? 글: 풍청양(風靑揚) 중국인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어떤 사람들은 사람들이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는 여러가지 이유를 내놓았다: 교육이 거짓말을 하도록 만든다: 초등학생이 신문기자와 인터뷰를 하면 원하는대로 협조해서 말할 줄 안다; 과학기술이 사람을 거짓말믈 하도록 만든다: QQ.. 2012. 9. 20.
명나라는 지나친 언론자유로 멸망했는가? 글: 주가웅(朱家雄) 청나라는 100년이상에 걸치는 잔혹한 문자옥(文字獄)정책을 썼다. 명나라때 살았던 사람들이 누린 언론의 자유라는 행복은 청나라사람들이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였다. 사실상, 명나라 통치자들의 언론자유에 대한 포용력은 대단했다. 역대왕조와 비교하더라도 첫손에 꼽힐 정도.. 2010. 11. 22.
명청(明淸)의 신하들은 어떻게 황제를 욕하였는가? 글: 군랑합작(群狼合作) 중국역사상 황제는 신권(神權), 황권(皇權), 족권(族權)을 한 몸에 가지고 있었고, 군주에 대하여 충성을 하는 것(忠君)은 최고의 정치원칙이자 도덕기준이었다. 공공장소에서 황제에 대하여 대불경(大不敬)을 저지르는 것은 사죄(死罪) 즉, 죽음을 당할 큰 죄였다. .. 2008. 7. 4.
중국역사상 10명의 위군자(僞君子) 먼저 설명할 것은 10대 위선자의 기준이다. 첫째, 그들은 위선자이지, 큰 악인은 아니다. 그러므로 흉악하게 사람을 도살했던 진시황이나 초패왕 항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둘째, 그들은 잘 숨어져 있던 위선자들이므로, 현재까지도 숭상을 받고 있다. 비록 약간의 논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왕망과 같.. 2006.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