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국화"가 가장 철저한 4개 국가는...?
글: 지호(知乎) 근대는 서방의 침입으로, 중화문화가 쇠퇴의 길을 걸었다. 사방의 주변국가들도 점점 탈중국화를 시작하게 된다. 그렇다면, "탈중국화"가 비교적 엄중하게 진행되고 있는 나라들은 어디일까? 사실상 이들 국가에는 한국, 몽골, 베트남, 싱가포르가 포함된다. 이들 국거에서는 거의 중화문화와 관련된 요소를 볼 수 없게 되었고, 한 나라는 완전히 서구화되었다. 그들은 어떤 나라들일까? 1. 한국: 불교에서 기독교로 이 나라는 현재 중국과 여러가지를 다투고 있다. 예를 들어 무슨 명절, 문화, 유명인사등등. 그러나, 한국은 이전에 거의 중국을 그대로 따라했었다. 당시에는 연호조차도 숭정제의 연호를 그대로 썼으니, 한국의 한화(漢化)정도가 얼마나 심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이전에 중국의 한자..
2023. 5. 2.
언어로 본 중국과 서방의 사고, 문화의 차이...
글: 사로(思蘆) 언어, 사고, 문화의 삼자는 상호 영향을 크게 준다. 중국어와 영어를 비교하여, 중국과 서방의 사고방식, 문화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도 아주 재미있는 주제일 것이다. 중국인은 형상(形象)사고와 변증사고에 치중하고, 서방은 추상사고와 논리사고에 치중한다. 형식논리는 흑 아니면 백으로, 모순을 허용하지 않고, 인과관계가 분명하다. 변증법은 전면적이고 역사적이며 변화적으로 문제를 본다. 다만, 자주 중용화하고 삼칠개(三七開, 3할 7할로 나누는 것. 예를 들어 공이 7, 과가 3등과 같이), 각각 곤장50대씩 때린다, 면면구도(面面俱到), 팔면영롱(八面玲瓏)하게 된다. 언어에 반영되는 것으로는 중국어가 영어보다 모호하고, 여러 의미를 지니는 경우가 많아서, 자주 아래위의 글을 보거나, 말하는 ..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