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25 샌프란시스코 아시아나항공사고 배후의 슬픈 중국경제현실 글: 섭단(葉檀) 중국인들의 소비능력은 아주 강하다. 중국항공, 교육등 업종의 발전은 시장의 발걸음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중국이 경제동력을 상실한 것이 아니라, 체제와 기업이 책임을 부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나항공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사고를 일으켰는데, 291명의 .. 2013. 7. 12. 황금가격폭락: 중국투자자는 불 속으로 뛰어드는 불나방인가? 글: 이장(李壯) 사람을 질식시키는 1주일동안 찬란한 빛을 내뿜던 황금은 마귀와 같은 공포의 빛을 드러냈다. 4월 12일, 15일의 두 거래일동안 국제금값은 미친듯이 폭락하여 200달러/온스이상 떨어졌다. 4월 15일, 황금시장은 근 30년이래 가장 공포스러운 블랙먼데이를 맞이했다. 뉴욕전자.. 2013. 4. 27. 홍콩제조업은 왜 무너졌는가? 글: 낭함평(郞咸平) 임금이 급속히 오르자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서로 다른 발전의 길을 모색한다: 하나는 한국, 타이완, 싱가포르가 걸었던 길로서, 기실 일본과 마찬가지의 길이다; 다른 하나는 홍콩이 걸었던 길이다. 처음부터, 홍콩은 다른 지역보다 운이 좋았다. 왜냐하면 1960년대에.. 2012. 9. 18. 한중일 FTA의 수혜도시는 어디일까? 글: 이붕(易鵬) 5월 13일, 제5차 한중일 지도자회의가 인민대회당에서 거행되었고, 회의에서 삼국지도자들은 연내에 한중일 FTA협상을 시작하자는데 동의했다. 이것은 한중일 FTA협상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윈윈의 지역협력에 기반이 될 것이며, 새로운 비지니스기회가.. 2012. 6. 19. 일본인들이 사용하는 "지나(支那)"의 의미 글: 임사운(林思雲) 일본인들이 "지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중국을 멸시하는 의미가 담겨 있는지? 이것은 최근에 아주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다. 신랑망(新浪網)이 "Sina.com"이라는 웹사이트명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일부 중국의 애국인사들의 성토대상이 된 적이 있다. 그러나 "지나"라.. 2007. 1. 28. 초문화(楚文化)와 한국문화(韓國文化)의 비슷한 부분 중국에서 쓴 글 중에 한국의 문화의 기원이 초나라 문화가 아닐까 하는 내용이 있다. ========================================================================================= 첫째, 한국과 초나라의 지명과 지리분포가 비슷하다. 초나라에는 한강(漢江)이 흐르고, 한국에도 한강(漢江)이 흐른다. 초나라의 한강은 진릉 태백.. 2005. 9. 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