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언10

명나라관리 엄숭(嚴嵩)의 타락사(墮落史) (1) 글: 장금(張嶔) 1. 가정제(嘉靖帝)의 생각 선덕(宣德)연간부터 명나라의 최고권력은 삼각체제를 형성하게 된다. 황권의 아래에 문관집단(文官集團)과 환관집단(宦官集團)이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룬다. 특히 문관집단은 내각제도가 성숙되면서, 발언권이 점점 강해져서 황권에 대하여도 어느 정도 제약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같은 문관집단에 속하는 언관(言官)세력의 발언권도 크게 높아졌다. 이런 행정전통을 가정제(嘉靖帝) 주후총(朱厚㷓)은 우습게 보았다. 그의 눈에, 무슨 문관이든 환관이든 내각이든 도찰원이든 사례감이든 모조리 황제의 노재(奴才)인 것이다. 착실하게 말만 잘 들으면 되는 것이다. 국가대사는 그저 황제인 그 본인이 혼자서 결단을 내리면 되는 것이고, 나머지들은 열심히 집행만 하면 천하는 태평하게.. 2023. 4. 20.
서계(徐階) vs 엄숭(嚴嵩): 관료투쟁에서 어떻게 승리하는가? 글: 자귤(紫橘) 드라마에서 엄숭(嚴嵩)이 수보(首輔)로 있던 시기는 청류(淸流)가 엄숭(嚴嵩)과 투쟁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드라마에서, 청류파(淸流派)는 서계(徐階), 고공(高拱), 장거정(張居正)을 핵심으로 한다. 그중 고공이 가장 과격했으며, 영원히 엄숭일당과 정면으로 부딛쳤다. 그리고 청류파중에서 관직이 가장 높았던 사람은 차보(次輔)인 서계인데, '과격파' 고공과 비교해보면 서계는 항상 엄숭의 주변에 있었다. 서계는 몸은 내각(엄숭의 영역)에 있으면서, 마음은 청류에 있던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엄숭을 타도하는 것이 성공한 후, 서계가 수보를 맡고나서도 그는 엄숭에 대하여 완전히 청산하는 입장을 취하지 않고, 오히려 여전히 엄숭을 예로 대했다. 이는 서계의 원활한 성격을 보여준다. 그렇.. 2023. 1. 26.
엄숭(嚴嵩)은 어떻게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내각수보(內閣首輔)에 올랐을까? 글: 소가노대(蕭家老大) 엄숭은 자가 유중(惟中), 호는 개계(介溪)이며, 강서 분의(分宜, 지금의 강서성 신여시 본의현)사람이다. 엄숭의 부친은 오랫동안 과거시험을 쳤으나 합격하지 못했다. 그러나 권력에 대한 미련이 컸으므로 모든 희망을 아들에게 걸었다. 그리하여 그는 아들을 세심하게 가르치고 길렀다. 엄숭은 5살때 엄씨사(嚴氏祠)에서 글을 배웠고, 9살때 현학(縣學)에 들어간다. 10세때 현시(縣試)를 통과하며, 19세때 거인(擧人)이 되고, 25세때 마침내 엄숭은 부친의 염원을 이룬다. 홍치18년(1505년), 엄숭은 을축과(乙丑科) 진사(進士)에 합격하여 서길사(庶吉士)로 뽑힌다. 나중에는 편수(編修)의 관직을 받았다. 나중에 엄숭은 큰 병이 들어, 할 수 없이 관직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간다... 2020. 7. 2.
명왕조 4대총비 (4): 전귀비(田貴妃) 글: 접련화(蝶戀花) 명나라는 아주 엄격하게 적서(嫡庶)의 구분과 처첩(妻妾)의 구분을 한 왕조이다. 그러므로 후비의 지위차이는 아주 컸다. 그래서, 황제의 총비가 된다는 것은 기실 아주 위험한 일이었다. 이렇게 말하면 아마도 모두 의문을 가질 것이다. 명선종의 손귀비, 명헌종의 만.. 2018. 10. 1.
가정제(嘉靖帝): 총명하기 그지없는 그는 왜 좋은 황제가 못되었을까? 글: 임미호(林迷糊) 1539년, 대명 가정18년, 음력 삼월 십이일, 호북 안륙의 순덕산(純德山, 지금의 호북 종상시 송림산). 33세의 가정제는 순덕산에 걸음을 멈추고, 말없이 산아래의 그가 너무나 익숙하게 잘 알고 있고, 평생동안 살아왔던 땅을 내려다본다. 아무도 그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 2018. 7. 30.
가정제(嘉靖帝)와 그의 황후들 글: 두문자(杜文子) 가정제(명세종 주후총)는 명나라의 16번째 황제이고, 재위기간이 두번째로 길다(가장 재위기간이 긴 황제는 그의 손자인 만력제이다). 가정제는 전후로 3명의 황후를 두었는데, 이 세 명의 황후는 최후가 모두 비참했다. 세번째 황후인 방황후(方皇后)는 일찌기 가정제.. 2014.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