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팽월18

후공(侯公): 한나라 초기의 신비인물. 글: 천고명장영웅몽(千古名將英雄夢) 한신(韓信)이 제(齊)나라를 무너뜨리고, 팽월(彭越)이 전횡(田橫)을 격파하고, 영포(英布)가 회남(淮南)의 몇 개 현을 함락시킨 후, 초한(楚漢)의 대치는 마침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다. 항우(項羽)는 갈수록 더 힘들어 졌다. 이제 항우의 서초진영의 .. 2019. 3. 13.
한신(韓信)이 스스로 왕에 올랐다면 삼족정립(三足鼎立)이 이루어졌을까? 글: 직하서생(稷下書生) 기원전203년, 초한지쟁의 관건적인 해이다. 이 해에 한신은 한군(漢軍)을 이끌고 유수(濰水)를 건너 초군(楚軍)의 일부를 격패시키고, 초군대장 용차(龍且)를 죽인다. 당시 한왕(漢王) 유방과 초왕(楚王) 항우는 양하(陽夏)의 남쪽에서 대치하고 있었다. 유방은 한실.. 2019. 1. 26.
여후(呂后)는 광견병으로 죽었는가? 글: 장계합(張繼合) 고대 중국에 3명의 국가통치권을 장악했던 여인이 있었다. 그녀들은 각각 여치(呂稚, 즉 여후), 무조(武曌, 즉 무측천)과 자희태후(慈禧太后, 서태후)이다. 생각해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여인들도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권력에 대한 욕마이 있고, 일단 정점에 도달하면 전.. 2018. 11. 7.
유방(劉邦)은 진시황(秦始皇)의 동생이다 (3) 글: 정보(程步) 9. 왜 유방은 진시황에게 잘 대해 주고, 반란을 같이 일으킨 전우에게는 그렇게 악독하게 대했을까? 유방은 진시황과 가족들에게 아주 온화하게 대한다. 진시황의 능을 20가로 하여금 지키게 하고, 자영을 상(相)으로 삼았다. 진이세 호해에 대하여까지도 유방은 정중하게 .. 2018. 10. 27.
유방의 신비한 신세내력 (3): 유방은 유태공 일가를 어떻게 대했는가? 글: 정보(程步) 유태공의 일가는 모두 8명이다. 유태공과 정실부인 사이에는 2남1녀가 있다. 유방의 모친 유온은 동모이부(同母異父)의 두 아들이 있다. 8명의 가족이 한 지붕 아래에서 살면서 두 가지 서로 다른 가풍을 가졌고, 이는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그러했다. 유방이 황제가 된 후에.. 2018. 10. 23.
유방이 이성왕(異姓王)을 제거할 때,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은...? 글: 유병광(劉秉光) 천하를 빼앗는 것과 천하를 다스리는 건 서로 다른 일이다. 창업할 때는 군주가 될 자라면 부하들이 그를 위해 목숨을 바치야 하므로, 그들이 원하는 것을 다 해준다. 모두가 겉으로 볼 때는 화목하고 단결하며 그럭저럭 잘 지낸다; 그러나 수성할 때는 군주가 되는 자.. 2017. 1. 28.
한신은 도대체 모반을 했을까? 글: 조성명(曹聲明) 한신은 중국역사상 대명이 자자한 대군사가이다. 유방은 일찌기 그가 자신이 천하를 얻는데 세운 공로를 높이 평가한 바 있다: "백만대군이라 하더라도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 공격하면 반드시 함락시킨다. 이 점은 내가 한신보다 못하다." 이렇게 말할 수 있다. 한신.. 2016. 3. 23.
유방은 왜 소하에 대하여 가장 마음을 놓았는가? 글: 이치아(李治亞) 유방의 수하에 많은 대신이 있었다. 이들 개국공신은 어떤 사람은 육국의 옛부하들이고, 어던 사람은 함께 혁명을 한 의형제들이다. 그리고 어떤 사람은 일찌기 유방의 상사였던 경우도 있다. 유방은 한신을 죽이고, 팽월을 죽이고, 영포를 죽였다. 머리가 좋은 장량도.. 2015. 4. 25.
여후(呂后): 불행한 가정에는 각자의 불행이 있다 글: 후홍빈(侯虹斌) 1 섬서(陝西) 함양(咸陽) 진도구(秦都區) 교점향(窖占鄕) 부근, 한고조 유방의 능묘인 장릉(長陵)이 있다. 장릉의 동쪽에 200여미터 떨어져서, 여후의 합장릉이 있다. 한나라때 제왕능묘를 살펴보면, 한나라 장릉의 건설은 한나라 제왕능묘중에서 가장 특별하다. 그 .. 2015. 3. 26.
항우가 죽은 후 항우의 부장(部將)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글: 장공성조(長空星照) 유방이 항우를 물리친 후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이어서 그는 즉시 공신들에게 작위를 내리고 상을 내리지 않고 그가 생각하기에 더욱 중요한 한 가지 일을 처리한다. 그것은 항우의 부하들을 정리하는 것이다. 그는 원래 그를 옹호했던 몇몇 제후를 다시 한번 확.. 2014.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