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자18

천자(天子)와 황제(皇帝): 중국고대왕권의 이중성 글: 와타나베 신이치로(渡邊信一郞) 모두 알다시피, 중국고대의 왕권은 천자와 황제라는 두 개의 칭호가 있다. 니시지마 사다오(西嶋定生)씨는 이 두 개의 칭호구별에서 출발하여 연구를 계속한 후, 처음으로 천자와 황제로 구성된 왕권의 이중성을 주제로 하여, 황제권력의 기능분화를 보여주었다. 니시지마씨는 황제육새(皇帝六璽)제도를 고찰한 후, 그중 천자삼새(天子三璽)와 황제삼새(皇帝三璽)의 구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천자삼새는 만이(蠻夷, 외국)과 제사에 사용되었고, 황제삼새는 국내정치에 사용되었다; 나아가 한나라때의 즉위의식에서도 천자즉위-황제즉위의 두 단계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밝힌다. 그후, 오가타 이사무(尾形勇)씨는 즉위의식에 관하여 고찰하고, 가네코 슈이치(金子修一)씨는 옥새제도,즉위의식에 관한 .. 2023. 5. 11.
주(周)왕조의 작위(爵位)에 관하여 글: 유지사(有志社) 주왕족의 작위는 5등급으로 나뉘어진다. 공후백자남(公侯伯子男). 이건 아마도 모두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다만, 많은 친구들이 선진(先秦)의 역사서를 읽을 때마다, 혼란이 온다. 예를 들여, 제(齊), 노(魯)등의 국가의 작위는 분명히 "후작(侯爵)'이고, 진(秦), 정(鄭)등.. 2019. 1. 16.
진헌공(秦獻公)의 정치지혜 글: 연비(燕飛) 진헌공의 이야기는 중국판 '사자왕'이라고 할 수 있다. 전기적인 색채가 넘친다. 그의 인생은 사자왕보다 훨씬 재미있다. 진헌공이 어떻게 맨손으로 일어났는지, 그리고 어떻게 인생의 최고봉에 올라 칭패하게 되었는지를 보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무슨 교훈이 있는지도 .. 2018. 12. 1.
괴뢰황제 유분자(劉盆子): 신하들에게 퇴위하게 해달라고 눈물로 호소하다. 글: 풍전사감(瘋癲史鑒) 이런 말이 있다. 털뽑힌 봉황은 닭보다 못하다고. 서한 말기, 번숭(樊崇)은 산동 거현(莒縣)에서 적미군(赤眉軍)을 이끌고 거병했다. 반군은 용맹하게 싸워서 연전연승하며, 규모를 계속 확대해서 장안 부근까지 쳐들어간다. 승리를 눈앞에 두었는데, 병사들은 피.. 2018. 11. 21.
촉한(蜀漢) 멸망시, 맹획(孟獲)등 남방부락은 왜 구원하러 오지 않았는가? 글: 춘지와(春之蛙) 263년, 위나라는 대장 등애(鄧艾)를 파견하여 촉한을 정벌한다. 위군의 기세가 대단하여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왔다. 금방 성도성 아래까지 간다. 그러나 촉한정권이 멸망하려 할 때, 서남지구에 있는 오랑캐족부락은 왜 병력을 보내어 촉국을 구원해주지 않았을까? 오.. 2018. 8. 2.
주(周)나라이전에는 여성만이 성권력(姓權力)을 가졌다. 글: 정정(丁丁) 성명(姓名)을 얘기하자면 현재의 사람들은 이미 부친의 성을 따르는 것에 익숙해져 있다. 남녀평등이 점차 강조되면서 현재는 일부 자녀들이 모친의 성을 따르기도 한다. 다만, 아마 여러분은 생각지 못했을 것이다. 성권력은 인류모계사회와 부계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특.. 2017.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