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원장142

명나라의 해금정책(海禁政策)은 쇄국정책(鎖國政策)인가? 글: 유앙(劉仰) 명나라 역사를 얘기할 때, 많은 사람들은 주원장의 해금(海禁)정책을 우매하고 낙후된 쇄국정책이라고 비난한다. 표면적으로 보면, 확실히 그렇다. 그러나, 우리가 깊이 원인을 따져본다면, 이 정책은 특정한 대상을 가지고 있었고, 간단하게 전면적인 쇄국정책이라고 말하기 힘들다는 .. 2007. 7. 6.
주원장의 장례에는 어떤 일이 발생했는가? 작자: 예방육(倪方六) 주원장(朱元璋)의 사망시간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는 홍무31년(1398년) 윤5월 초9일이라는 설이고, 둘째는 윤5월 초5일, 셋째는 윤5월 17일이라는 설 등이 그것이다. 왜 중요한 개국황제의 사망에 대하여 이렇게 여러가지의 견해가 나타나게 되었는가? 표면적인 이유.. 2007. 3. 21.
주원장의 16종 화상(畵像) 1. 주원장 민간화상 2. 주원장 민간화상 3. 주원장 민간화상 4. 주원장 민간화상 5. 주원장 민간화상 6. 주원장 민간화상 7. 주원장 궁정화상이라고 전해짐 8. 주원장 궁정화상이라고 전해짐 9. 주원장 민간화상 10. 주원장 민간화상 11. 주원장 궁정화상이라고 전해짐 12. 주원장 민간화상 13. 주원장 민간화.. 2007. 3. 17.
명나라 종실 : 인구역사상의 기적 명나라 종실(즉,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후손)의 규모는 가장 컸고, 아마도 전무후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주원장은 26명의 아들을 두었으며, 그 중 24명의 아들이 후손을 두었다. 명인종 주고치는 10명의 아들을 낳았고, 명영종 주기진은 9명의 아들을 낳았으며, 헌종 주견심은 14명의 아들을 낳았다. 명.. 2007. 1. 9.
서달(徐達)은 왜 원나라 마지막 황제를 붙잡지 않았는가? 홍무원년(1368년), 중원에는 농민반란군이 사방에서 일어났고, 원나라 관군과의 전투에서 계속 연승했다. 그러나, 원나라는 각지의 장군들이 병권을 장악하고 내부에서 다툼이 심하였다. 원나라 조정은 고립무원의 상태가 되었다. 역사의 저울은 농민반란군쪽으로 기울기 시작하였고, 주원장쪽으로 가.. 2006. 11. 19.
유백온에 대한 재평가 유기(劉基 1311-1375). 자는 백온(伯溫). 현재 많은 책에서는 그를 지혜가 탁월하고, 일을 예측하는 것이 신과 같으며, 문도무략이 뛰어나며, 주요한 전투마다 계책을 내고, 묘책을 기획하여 주원장을 도와 천하를 통일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군정, 재무등 각 방면에서 명나라의 제도를 완비하였고, 명초.. 2006. 11. 16.